• 제목/요약/키워드: 장식 디자인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5초

현대복식에 나타난 단추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양리나;한성지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3-64
    • /
    • 2003
  • 의복이란 인간이 생활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의ㆍ식ㆍ주 중의 하나로 외부로부터 몸을 보호 해주고 성별, 직업, 신분 등을 나타내주기도 하며 몸을 장식해주는 역할을 한다. 인간은 석기시대 이전부터 자신의 몸을 장식하였으며, 그 수단으로 여러 가지 종류의 장신구가 발달하였는데, 단추도 그러한 장신구 중의 하나이다. 단추는 의복의 일부분이지만 각 시대에 따라 그 사회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의복과 마찬가지로 기능성, 장식성과 상징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중략)

  • PDF

'지적 감수성' 일구는 출판미학의 전위들

  • 박천홍
    • 출판저널
    • /
    • 통권243호
    • /
    • pp.8-9
    • /
    • 1998
  • 대부분 3-8명 정도의 정예로 구성된 디자인 업체들은 기업체 사보 등도 병행 작업한다. 북디자인만으로 수지타산을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출판사쪽에서는 지나친 장식성, 기획의도에 대한 안목부족 등을 지적하고 디자인 개념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 PDF

죽세장식타일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mboo Decorating Tiles)

  • 조규춘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117-126
    • /
    • 2001
  • 대나무의 시대적 사상 의미를 재분석하여 21C 문화산업 시대에 천연 소재로서 새로운 의미와 환경친화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대나무의 잠재유효성과 함께 미래 죽재산업과 죽세공예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죽매합판 및 대나무 모양지가 개발됨에 따라 지역 직능별 기술제휴로 시장 활성화를 꾀하고, 고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죽세장식타일을 개발하였다. 대나무 수종과 특성, 원자재 가공 및 표현 방법을 고찰하였고 급변하는 기술로 전통 기능과의 접목 표현상 기술(記述)적 오류를 재 규명하였으며, 죽재합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외 응용 개발 사례를 분석하였다. 죽세장식 타일은 대나무 모양지를 바탕으로 한 가구문(door)장식과 실내장식용으로 개발하였다. 문양 디자인은 한국 전통 문양으로 십장생의 장수, 새천년을 의미한 거북, 학, 사슴을 단순하게 패턴화하여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으며, 해, 산 시리즈는 대쪽의 바림 효과를 통한 빛살 이미지와 죽재질의 효과를 극대화했다. 卍 문양은 우주의 신비, 불교시찰 의미와 함께 전통 조각보완 칠교판 놀이, 아리랑 등의 이미지를 총합하여 한국 문양으로 장식성을 높였다. 죽세장식타일은 본 연구자의 20여 년 간 죽세가공 기술경험 축척과 담양 죽물공예단지 설비 및 가구 제작업체의 공조하에 이루어졌다. 현재 원자재 가공은 현지(담양) 설비를 이용하고 있으며, 시제품 개발과 함께 대학 내 디자인 벤처 '조선대방'에서 제작 납품하고 있다. 개발 제품은 가구 업체 주문에 의해 가구문에 장식되어 시판 중에 있다.

  • PDF

21세기 고령화세대 복지산업 활성화를 위한 신변장식용품 디자인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sonal belongings design management strategy of the revitalize for 21st century of the aged generation welfare industry)

  • 전현태;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321-326
    • /
    • 2012
  • 본 연구는 고령화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신변장식용품을 디자인연구와 발전 방안을 모색하여 신변장식용품산업을 활성화 시키고 고령화세대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한 정신적 복지개선을 위해 연구하였다. 정책보고서, 학회지, 단행본 등을 통하여 고령친화산업과 고령친화용품에 대해 조사한 결과 빠른 고령화진행, 베이비부머 세대의 고령화세대 편입, 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인하여 고령친화용품 관련 산업은 발전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책적인 법제도, 표준화 제정 및 기준마련이 부족하였고, 관련 R&D투자가 취약하여 전문인력이 부족한 현실이었다. 하지만, 이를 역으로 이용하면 수요자가 확실한 시장에서 니치마켓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디자인 및 다양한 연구를 한다면 고령화세대뿐만 아니라 국가경제적인 차원에서도 발전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조 담${\cdor}$굴뚝에 나타나는 전${\cdor}$와편 장식문양의 유형 -조형 특성을 중심으로 (Decorative Bricks and Roof Tiles used in Walls and Chimneys in the Chosun Dynasty -focusing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 이기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87-98
    • /
    • 2001
  • 조선조(1392∼1910)의 궁궐·사원·상류민가의 담과 굴뚝에는 장식 문양이 다채로운 조형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도자벽제작에 관한 환경디자인 연구의 일환으로서, 전(塼)과 와편(瓦片)으로 만들어진 조선조 담과 굴뚝의 전통적인 장식문양의 유형화를 시도하여 그 조형의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전국에 걸쳐 현지조사에 의해 수집된 685점의 문양 18종을 유형별, 대상별, 건축종별, 구성재료별, 장식기법별의 5가지로 유형화하여 상호 조형의 관련성을 검토했다. 그 결과 조선조의 담과 굴뚝에 나타나는 장식문양은 유형마다 명확한 조형의 차이와 공통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았다 또, 이들 문양의 유형을 궁궐형·사원형·민가형으로 종합하여 보면 일부의 예외적인 것도 있지만, 각각의 유형은 독특한 조형적 규범을 갖고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궁궐형의 담과 굴뚝은 궁궐전유(專有)의 붉은색과 회흑색의 전을 사용해서 정교한 길상(吉祥)과 벽사(벽邪)문양을 조형화하고, 사원형과 민가형에서는 구조보강을 겸하여 와편을 겹쳐 쌓은 문양을 수평으로 연속시켜 조형화 한 것이 담과 굴뚝의 기본적인 장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조선시대 행사도에서 찾아 본 상화(床花) 양식 (The Styles of Sanghwa, Table Flower, found from Paintings for the Joseon Dynasty Court Banquets)

  • 한상숙;이부영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5호
    • /
    • pp.57-76
    • /
    • 2021
  • 음식상의 꽃 장식인 상화(床花) 양식을 조선시대 행사도와 민간 생활에서 찾아보았다. 궁중 행사도에는 음식 위를 장식하는 상화가 꼭 있었으며, 참석자의 지위에 따라 상화의 종류나 사용하는 재료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궤(儀軌)에는 상화의 종류와 개수가 기록되어 있었고, 행사의 목적이나 대접받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서 장식하는 숫자가 다르고, 상화가 미리 꽂혀져 옮겨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민간생활에서도 상화가 있었으며, 음식 위의 장식뿐만 아니라 음식상 위에도 장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근대건축물 문화재의 실내장식 수복에 관한 연구( I ) - 보존의 개요와 벽체 및 천장수복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Interior Restorations in the Pre-Modern Architecture - Focused on Concepts of the Preservation, Restorations of the Wall and Ceiling -)

  • 김란기;윤영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1호
    • /
    • pp.36-44
    • /
    • 2003
  • This study is arranged the principles of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in pre-modern architecture, presented guideline of the interior restoration in there, and attempted relative-analysis by cases of Japan in wall and ceiling. The method of Original-restorations and Repairs must be preserved in materials and technologies in order to hand over the future generations. The process and method of restorations are the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as Architecture's itself.

중세 직금금(織金錦)의 동서교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course reflected on the gold brocade of East and West Asia in the Middle Ages)

  • Kim, Moonsook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778-1790
    • /
    • 2002
  • 본 논문은 중세 동서 아시아 사이 의 직금금(織金錦;gold brocade) 장식적 교류에 대한 연구이다. 중세 직금금에 대해서는 선행 학자들이 기술적인 측면이나 디자인과 관련하여 논의한 바 있다. 그러나 동서 아시아 직금금의 기술적 및 장식 적 교류와 관련된 연구는 진행 된 바가 없다. 특히 한국에 보존되어 있는 고려시대 의 직금금은 다른 나라의 직금금과 비교하여 연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 보존되어 있는 고려시대 직금금을 포함한 동서 아시아 직금금의 장식적 교류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의 직금금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직금금 21점과 서아시아의 직금금 37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동서아시아의 직금금 각각을 그 장식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고 동서 아시아 직금금 사이에 교류된 문양과 패턴의 장식적 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