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수명공동주택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9초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통한 벽식 구조 공동주택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제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fe Cycle Cost of Wall Type Apartment and Beam-Column Structural Apartment)

  • 이지희;김규리;손정욱;이준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35-43
    • /
    • 2014
  •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무분별한 재건축, 재개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고 주택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장수명 공동주택의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 장수명 공동주택은 기존 아파트 건설에 적용되는 벽식 구조와는 달리 기둥과 보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구조이기 때문에 내구성, 가변성, 유지관리 및 리모델링 용이성 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우 기존의 벽식 구조방식의 주택에 비해 초기 투자비가 다소 상승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장수명 공동주택의 보급 확산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총 생애주기 관점에서 기존의 벽식 구조 공동주택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우 일반 벽식 구조 공동주택에 비해 초기 신축미용은 약 18% 정도 증가하지만, 50년간의 총 생애주기비용을 산정해보면 벽식 구조 공동주택에 비해 약 7% 정도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장수명 공동주택의 도입이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충분히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일 장수명 공동주택관련 제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ystem concerning Long-Life Housing)

  • 이보라;황은경;김수암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48-451
    • /
    • 2006
  • Multi-residential housing in Korea has many problems basically because maintenance, management, and remodelling have been done without considering building elapse and residents' needs. Residential open building has been suggested as one of the solutions. Even though the technique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for residential open building in Japan and the Netherlands, some obstacles are still existing. Especially in Korea, due to the lack of studies for facilitating residential open building,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residential open building are delayed. With the concern that the facilitation of process and systems is as important as technical development, the evaluation of process and systems is needed for promoting residential open building. As result, strong investigation of current situation can offer basic foundation to facilitate residential open buil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lans to facilitate residential open building in Korea through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ystem.

  • PDF

100년 가는 장수명 아파트 개발-미래 주거 문화 개선.건설 기술 선진화

  • 김혜영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19호
    • /
    • pp.62-63
    • /
    • 2008
  • 최근 지속 가능한 개발이 도시 및 주택 정책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면서 주거 문화에도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중 미래 주택 문화 개선의 첫걸음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로 공동 주택의 장수명화다.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지속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100년 주택 건설을 목표로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 PDF

장수명공동주택의 사용자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 일반공동주택의 입주자 생활안내서 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Maintenance on Long-Life Housing for User - Focus on the Analysis of Housing Living Guide Book -)

  • 지장훈;김수암;정준수;윤상조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84-287
    • /
    • 2009
  • This study is aim to analyze out Living Guide Book for residents in Housing and to have application to Long Life Housing as a precedent study based on Maintenance Guideline to make residents inhabitate, in case of suppling Wet type Short Life Housing with S(Support) and I(Infill), and Long Life Housing with devised SI, durability, alterability, available Remodeling and maintenance effect. Housing with large scale complex and brand-name offers Living Guide Book for residents that contains maintenance contents. Maintenance contents for residents in Housing are complex guide, use method of the each part, guide for repair of defect, repair and change of built -in items ended up life or damaged items. Maintenance contents for residents in Long Life Housing are important because the Manager takes charge of public area and public equipment in S, but the user takes charge of private area and private equip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out Living Guide Book for residents in Housing as a precedent study based on Maintenance Guideline of Long Life Housing users.

  • PDF

차세대 장수명 공동주택의 가변성능향상을 위한 건축요소기술 우선순위결정에 관한 연구 (Selection on the Order of Priority Factor of Construction Key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Flexibility for a Long Life Apartment Housing at the Next Generation)

  • 이정석;조건희;손정락;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84-92
    • /
    • 2009
  • 최근 가변성능에 관하여 공간, 재료, 구조, 공법 등 건설 산업 전반에 걸쳐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와 더불어 공동주택의 노후화 문제로 인하여 건축요소기술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가변성능에 관한 공동주택의 요소기술 선정 및 대상사례를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와 전문가 의견을 거쳐 건축요소기술의 평가항목을 1차적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선정된 건축요소기술 항목 중에서 타당성 및 객관성 검증절차를 통하여 건축요소기술을 재정립 및 분류하고, 최종적으로 적용 가능한 다양한 건축요소기술 가운데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들을 결정하여 분석 및 평가함으로써 향후 장수명 공동주택의 가변성능향상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장수명 공동주택 표준모델 개발을 위한 실험주택 건립과 현장적용성 평가 (Constructing Mock-up House and Evaluating Field Application for Development of Standard Long-Life Housing Model)

  • 진주원;장한두;최경렬;박준영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7-172
    • /
    • 2008
  •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technologies for the construction of 100-year housing as the first task for improving housing environments.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100-year housing makes it possible to advance construction technologies and part development, to develop long-life housing with durability and Flexibility responding to customers' needs for future living space. At first, for this purpose, the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Standard Model of Long-life Housing are proposed to respond to the life-cycle of near-future demographic and socia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Mock-up House execute based on the location selected during the 2nd year and the basic plan. Then the Standard Model of Long-life Housing are advanced and proposed through evaluating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Mock-Up House.

  • PDF

저탄소 및 장수명 공동주택 구현을 위한 Green Frame(GF)의 타당성 분석 (A Feasibility Study of Green Frame(GF) for the Implementation of Low-carbon Emissions & Long-life Housing)

  • 홍원기;김선국;김형근;윤태호;윤대영;김승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7-63
    • /
    • 2010
  • 현재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근간을 이루는 벽식 공동주택은 가변성의 부족, 보수 및 리모델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단수명화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재건축에 의한 경제적 손실 및 환경 문제는 점차 누적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국가적 차원의 난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내 대표 주거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공동주택은 앞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 및 생활양식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평면 가변성에 제약이 있는 벽식 공동주택은 앞으로 지양되어야 하며 가변성이 확보된 새로운 형태의 신개념 공동주택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GF 공동주택은 기존 벽식 공동주택의 단점을 개선하여 공사비 절감과 공사기간 단축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측되며, 가변성이 확보된 장수명 구조물로서 국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자원 및 에너지 절감 정책에 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에 발맞추어 국내 건설 산업의 지속가능한 질적 성장을 가능케 하고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CO2 절감 원천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내구성 및 가변성을 갖는 장수명 공동주택의 가변요소 시스템 개발 : 실험주택 건립 및 적용성 평가를 중심으로 (Infill-system Development for Long-Life Housing with Durability & Flexibility: Focused on the Constructing and Evaluating Application of Mock-up House)

  • 정소이;박준영;천영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4호
    • /
    • pp.397-406
    • /
    • 2011
  •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주거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실천전략의 하나로서 100년의 내구성과 가변성을 갖는 장수명 공동주택 표준모델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가변요소 시스템 개발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장수명 공동주택 표준모델을 적용한 '실험주택'을 대상으로 개발한 각종 가변요소 시스템과 기술들을 통합하고 단계별 현장 적용성 평가, 전문가 의견조사 및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3단계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고정요소인 전체 구조체와 가변요소인 건식외벽, 창호 등을 시공함과 동시에, 전용면적 $84m^2$에 가변요소 시스템을 시공하면서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2단계에서는 전용면적 $50m^2$ 3세대를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수직통합형 세대(전용$50m^2$+전용$40m^2$)와 수평확장형 세대(전용$50m^2$+전용$10m^2$)를 대상으로 다양한 가변요소시스템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건식 온돌의 현장검증을 위한 각종 성능평가 실험과 기 사용한 주택부품의 해체, 이동 및 재시공을 통한 3R 구현 정도 파악 등 실용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검증 작업도 함께 실시하였다.

장수명 공동주택 인터페이스의 친환경적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method of the environmental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 손영민;왕우철;최영호
    • KIEAE Journal
    • /
    • 제9권3호
    • /
    • pp.3-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design for the environmental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Research,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interface, is underway at the research organization of Long Life Housing. Infill system should accommodate the various changes in the space. So dismantlement,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act are essential. In this process, A lot of substance, which can damage or spoil the environment, may be produced. However, the eco-friendly aspects of the interface design of infill system is not made in the approach or evaluation. Therefore,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in terms of eco-friendly, and it try to find a design method, complemented in the next research.

장수명공동주택의 유지관리업무프로세스 구축에 관한 연구 - 관리자를 위한 유지관리업무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cess in Long-Life Housing - Focus on the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cess for the Manager -)

  • 지장훈;김수암;윤상조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44-349
    • /
    • 2009
  • To be Low Carbon and Green Growth, it is necessary that Long-Life Housing based on Green Technology is supplied. The main concern at the moment is developing Sustainable Housing relative to Life-Cycle or Life-Style of the residents, and the resident of Remodeling or Redevelopment. This study is aim to be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cess in order to make steady dwelling when supplying Long-Life Housing that separates Support(Skeleton) and Infill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hort-Life Housing, and has durability, alterability, available remodeling, easy maintenance. Long-Life Housing should consider the maintenance about movement and variableness. In contrast, the maintenance of the existing Housing is regular maintenance, change and repair by damage. As well as Long-Life Housing should be demanded proper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cess because of difference of Housing in concept, design and Co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looks into problems when applying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cess in Long-Life Housing, and shows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cess about the efficient Long-Life Housing for the manag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