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서 평가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9초

전자자원 선정을 위한 컨스펙터스 수정 모형 연구 (A Study on a Revised Conspectus Model for the Assessment of Electronic Resources)

  • 장덕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44
    • /
    • 2009
  • 이 연구는 전자자원 선정에 있어서 컨스펙터스의 적용가능성을 가늠하고자 한 연구이다. 컨스펙터스는 원래 단위 도서관에 있어서 주제분야별 자료 수집의 수준을 규정하기 위한 도구이지만 기존 인쇄기반 자료의 평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전자자원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한계점들이 지적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전자자원의 선정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한 수정된 컨스펙터스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컨스펙터스의 발전과정을 개괄하고 물리적 장서개발에 있어서 컨스펙터스의 중요성을 일별하였다. 이어서 전자자원의 속성을 고려하여 컨스펙터스를 수정, 제안한 연구들에서 제시한 모형들의 주요 특성을 조사한 후 주요 논점들을 종합하여 전자자원의 선정에 참고할 수 있는 컨스펙터스 모형을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 상호대차 장서 프로파일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Collection Profiles of Western Monographs with ILL Data for Academic Libraries)

  • 최원실;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09-129
    • /
    • 2019
  • 대학의 재정 악화는 대학도서관 예산 삭감으로 이어지고, 특히 자료구입비 예산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대학도서관 자원공유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호대차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흐름과 같이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 상호대차 장서 프로파일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KERIS 종합목록의 서지와 상호대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호대차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2011년에는 대규모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서양서 상호대차의 제공이 이루어졌으나, 2014년 이후 점차적으로 고유장서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상호대차 네트워크 내 주요 권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권역 내 영향력이 증가하는 기관이 다수 출현하였다. 둘째, 2012년에는 서양서 소장 종수가 많고, 공통장서의 비율이 높을수록 상호대차 네트워크 내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나, 2016년에는 이러한 경향과 더불어 고유장서의 비중이 높을수록 제공 측면에서 영향력이 증가하였다. 셋째, 서양서 소장과 상호대차 지수에 의한 계층적 군집 분석에 따른 6개 군집의 대학도서관이 규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 자원공유를 위한 정책 수립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국립중앙도서관 외국자료 개발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Foreign Materials Development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 배경재;김신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67-188
    • /
    • 2021
  • 국가도서관은 한 국가의 지식문화유산인 국가장서를 집중적으로 개발·보존하고 제공해야할 책무가 있다. 특히 국립중앙도서관의 사명을 완수하기 위한 4대 목표 가운데 '국가지식자원 접근·보존 기반 고도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외연적 범위를 국내자료뿐 아니라 외국자료로도 확대하여 국가지식자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즉, 국내에서 생산되는 최신자료와 소급자료를 최대한 수집·제공·보존하는 기능은 물론이며 외국에서 생산·유통·보존되고 있는 고품질 학술자료 및 한국과 관련된 자료를 가능한 한 많이 수집하여 국가지식정보센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선진국 국가도서관의 외국자료 수집 및 서비스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외국장서 수집수준을 비교·평가한 다음 고품질 학술자료 및 한국 관련 외국자료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연구: 2010 공공도서관 운영 평가 이용자만족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y Users in Korea)

  • 차성종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85-308
    • /
    • 2011
  • 본 연구는 전국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자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후,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서비스가 이용자의 만족을 얼마나 성취하고 있는 가를 분석하고, 도서관의 서비스별 품질을 나타내는 세부항목별 요인들이 도서관의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용자만족도 지표는 공공도서관에 대해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도서관의 전반적인 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6개 변인(장서, 직원, 시설, 프로그램, 온라인서비스, 정보제공정도)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도서관 전체 이용자만족도는 정보제공정도, 시설, 직원 변인이 높게 나타난 반면, 온라인서비스 및 프로그램 변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도서관의 서비스별 품질 중 장서, 직원, 시설, 프로그램, 온라인서비스, 정보제공정도 전체 요인이 전반적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정보제공정도와 시설, 장서 요인 순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디지털 도서관 평가기준: 이용자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Digital Library Evaluation Criteria: What do Users Want?)

  • Xie, Iris;Joo, Soohyung;Matusiak, Krystyna K.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8
    • /
    • 2014
  • 기존의 여러 연구들에서 디지털 도서관 평가를 위한 기준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평가기준에 대한 이용자 관점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도서관 평가 기준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의견을 미국 내 5개 대학교에서 10명의 교수 이용자와 20명의 학생 이용자에게 설문을 통해 직접 조사하였다. 설문 참여자들은 본 연구진에 의해 제시된 8개 영역 (장서, 정보조직, 맥락 등) 내 평가 기준들의 중요성에 대해 7점 척도로 응답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이용자들이 장서의 이용과 품질, 서비스와 관련된 항목들을 도서관 운영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용자 중심의 디지털 도서관 개발과 관련하여 이용자의 요구와 선호를 반영하는 도서관 평가체계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 효과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me Collections in Public Libraries)

  • 백지원;표순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15-139
    • /
    • 2020
  • 본 연구는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 서비스의 효과를 이용자 관점에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효과 요소들을 서비스 이용, 사서, 도서관 차원에서 도출하였고, 테마 컬렉션 서비스를 주요한 도서관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는 A공공도서관 이용자 294명을 대상으로 효과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테마 컬렉션을 알고 있는 이용자들의 장서 만족도가 그렇지 않은 이용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생각지 못한 새로운 도서의 이용에 대한 만족에 높은 효과 인식을 보였다. 또한, 테마 컬렉션 효과 인식도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인식은 오래전부터 도서관을 이용해왔던 이용자, 자주 이용하는 핵심 이용자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브라우징을 많이 하는 이용자들일수록 사서의 역량에 대한 효과 인식도가 높았다. 이러한 테마 컬렉션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평가를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효과와 의의를 반영하여 장서개발, 장서의 활용 및 정보서비스 제공, 이용자 중심의 분류, 도서관 및 사서에 대한 인식 개선의 관점에서 테마 컬렉션 서비스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학문의 주제별 특성에 따른 자동 색인 기법의 비교 연구 - 약학분야와 도서관. 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Automaic Indexing Techniques in Pharmacology and Libray & Infomation Science)

  • 조수련;사공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9-126
    • /
    • 1988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주제를 갖는 장서내의 통계적 용어 특성에 따라 적합한 자동 색인 기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약학분야와 도서과.정보학분야를 대상으로 하여 두개의 자동 색인 기법을 비교. 평가하였다. 사용된 자동 색인 기법은 역문헌 빈도 가중 기 법과 문헌 분리가 가중 기법이며 총 장서 빈도와 문헌 빈도로 정의되는 용어 특성과 자동 색인 기법으로 할당된 가중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