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방형평면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Characteristic of Anglican Church Architecture in Chungcheong Area (충청지역 성공회 성당건축의 특성)

  • Lee, Seog Bong;Kim, Soo Jin;Dho, Sun Boong;Han, Kyu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5 no.1
    • /
    • pp.42-6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ooden anglican church architecture in Chungcheong area. For this study, I have selected ten anglican churches, and have studied the characteristic through the actual survey and analysis. This study focuses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of wooden anglican church in chungcheong area, based on the actual survey and histo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1)The shape of plan is long axis composed of the entry and altar. 2)The shape of elevation is composed of the roof form and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bell-tower. 3)The shape of section in divided into one kan and three kan way, by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a row of columns in the interior. 4)The structure and design follows roof-framing.

  • PDF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Church Architecture in Andong Area (안동지역(安東地域) 목조교회건축(木造敎會建築)의 형성(形成)과 특성(特性))

  • Kim, Soo-Jin;Dho, Sun-Boong;Han, Kyu-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4 no.2
    • /
    • pp.39-4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xplain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ooden church architecture in Andong area from 1902 to 1975. Especially, I tri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of wooden construction and the influence of typical form of Andong church architecture to the small church of nearby Andong rural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actual inspection of existing architecture through analysis.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urface Diffusivity of Room Acoustics (실내음향의 확산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Park Kye-Kyun;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13-318
    • /
    • 1999
  • 본 논문은 1997년 Haan과 Fricke이 발표한 논문1)에서 제시한 확산성의 중요성에 대한 조사에 기초하여 실제홀에서 표면확산성이 실내음향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실의 규모가 비슷하고 각기 확산성이 다근 3개의 홀을 선정하였으며, 두 개의 홀은 장방형 평면이며 한 개는 부채꼴평면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홀에 대해서 한 개의 음원과 8개의 수음점을 설정하여 현장실험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RT와 SPL의 두 가지 음향평가요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확산성이 좋을수록 잔향시간이 길어지고 음압레벨이 높아진다.

  • PDF

A Study on the Structure of Combined Architecture of Dang and Si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Rectangular Plan and the Gable Roof Meeting at Right Angle- (조선전기 당(堂)·실(室) 결합 건축의 가구특성 분석 -방형 평면의 맞배직교형 지붕 가구를 중심으로-)

  • Kim, Bue-Dyel;Lee, Jong-Seo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
    • v.26 no.2
    • /
    • pp.31-42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spatial recognition structure is emerging through the case of rectangular plan combined with a combination of Dang-Sil(堂室) and Gong(工) shape roof, and identifies a type of architec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at has never been reveal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ang and the Si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pillars, frame, and windows are distinguished and appear as separate buildings. Second, the distinction between Dang and Sil is evident by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idges and the shape of the roof. In addition, the roof and roof framework of the independent rooms and the rooms were common in the right angled architecture where the direction and the expandability of each structure were maintained. Third, the construction of the Dang-Sil combined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structure frameworks were combined with the rectangular combined flat roof structure, gradually changed into a single structure with a single ridge. Fourth, this change means that peopl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recognized the Dang and Sil as separate architecture, but the strict sense of spatial separation has disappeared over time.

플로팅 건축의 출현배경과 유형구분 기준

  • Park, Seong-S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06-208
    • /
    • 2011
  • 플로팅건축물은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의 상승, 소득 증대 및 관광행태 변화에 따라 급증한 해양 레포츠 수요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건축물이다. 플로팅건축은 프로그램, 형태, 건축규모, 층수, 위치, 접근방법, 이동성, 에너지 자립도 등 8가지 기준에 따라 유형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시공된 주거시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플로팅건축의 디자인 특성은 (1) 2층 규모, (2) 면적 비율이 높은 데크, (3) 장방형의 균형감 있는 매스, (4) 조망 극대화, (5) 친수공간 확보, (6) 공간의 통합적 사용 및 합리적 면적 배분의 평면계획, (7) 수면 반사를 고려한 단면계획, (8) 모듈화 및 유닛화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 PDF

Research of water treatment system to reduce pollution by rainfall runoff (강우유출수 오염저감을 위한 수처리장치 개발)

  • Park, Jae-Young;Ko, Jai-Ung;;Chang, Jun-Youn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24-1228
    • /
    • 2005
  • 본 연구는 강우시 주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에 의해 하천으로 직유입 되는 다량의 오염물질을 사전에 저감시키기 위하여 하천의 제방사면부와 둔치부를 형상화한 Pilot 규모의 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Pilot Plant는 경희대학교 내 하수처리장 부근에 설치하였으며, 유입부, 사면수처리부, 평면수처리부, 유출부로 구성되며, 수처리조 내부에 다공성여재와 상부에는 식생을 조성하여 연속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설계되었다. 사면수처리부는 하천의 제방사면부를 형상화 한 것으로 2:1의 구배를 가지며, 15개의 육각형 모듈을 5개씩 3계열로 배치하여 여재의 처리효율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실시할 수 있도록 배열하였다. 평면수처리부는 장방형의 접촉산화조로서 하부에 슬러지 침전 및 저류를 위한 hopper를 설치하여 슬러지의 원활한 수집 및 인발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역세를 위한 배관을 설치하여 여재에 부착된 슬러지의 양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수처리시설물의 자연 친화성 확보 및 식생에 의한 수질개선 효과를 위해 수처리부 상부에 식생을 조성하였다. 본 Pilot Plant의 주요 오염물질의 제거기작은 수처리부 내부에 충진된 다공성 여재와 강우유출수 사이에 발생되는 침전, 여과, 흡착과 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 식생에 의한 영양물질 섭취 등으로 대별된다. 본 연구는 하천의 제방사면부와 둔치부를 형성화한 Pilot Plant에서 다양한 factor, 즉 유입수량과 농도, 다공성여재 형상 및 충진밀도 등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각각 비교, 검토하였다.

  • PDF

The Wave Diffraction in a Partial-Reflecting Harbor due to Submarine Pit (Pit에 의한 부분반사율을 갖는 항내에서의 파랑 회절에 관한 연구)

  • Kim, Sung-Duk;Lee, Hong-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9 no.5
    • /
    • pp.502-510
    • /
    • 2007
  • The present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 of diffracted wave fields inside a harbor, around harbor entrance and outer breakwater, when a navigation channel is dredged in the vicinity of the a harbor entrance. The wave field of the problem is considered to be two-dimensional plan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ubmarine pit on the sea bed is designated by a single rectangular type. The numerical simulat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solution of the Greet function based on the boundary integ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by applying the normal incidence and partially reflecting boundaries.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Jang-Dae of Castle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성곽 장대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 Kim, Ki-hyeon;Chang, Hun-duc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8 no.2
    • /
    • pp.120-141
    • /
    • 2015
  •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Jangdae (general's podium), which shows one of the technical changes in fortification of Joseon Dynasty. As a facility for commands of generals and training for officers and men, it was located inside a fortress. Although it is not certain when the first Jangdae was built, the number of them dramatically increased around 18th century. Since the top priority function of the Jangdae was the prospect, it was installed at the hilly spot with open architecture. In addition, the open structure of Eupseong fortress towers on the riverside banks could simultaneously offer the functions as viewing around and Jangdae. Since Jangdae was also a place for military drills and reviews of soldiers, a wide podium was positioned at the front to muster the soldiers. This feature was standardized in the space organization of Jangdae in Joseon, and a mere podium was installed unless the topographic restrictions allows enough space. On the other hand, as a place for a commander, the hierarchy of the Jangdae was revealed through a variety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 hierarchy was assigned to the commander's space through the altitude difference, and diverse ornaments were added to show a sense of class. The floor plan of the Jangdae building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rectangle and square, and the typical sizes of the former are $5{\times}4$ Kans (traditional measuring unit between two columns) and $3{\times}2$ Kans. Out of these two types, buildings of $5{\times}4$ Kans were found in flat land and eupseong fortresses with large space, and the relatively smaller ones of $3{\times}2$ Kans in mountain fortresses. All buildings of square floor plan had $3{\times}3$ Kans style, and the center Kan was twice wider than the side Kan to make the central space wide. It seems that the purpose was to secure the interior space of the upper story because the center Kan accounts for the floor area of the upper story. Some Jangdae's had internal story to form overhead space. The multi-roofed tower style with eave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tory is found exclusively in Jangdae. The buildings shows the Onkanmulim style which extends Naejinju (inner column) of the lower story to be the Byeonju (outer column) of the upper story, and the log-framed floor in the upper floor was structured by inserting the Changbang (connecting beam) between the Naejinju's and joining the log frames. In addition, the towers in eupseong fortresses had log-framed floor in the upper floor by setting up the high Nuhaju (column underneath a roof) and joining Cheongbang to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while it cannot be regarded as multi-roofed because only the upper part has a roof.

Purification Efficiency of Slop & Plane Water Treatment Part of SRT System Using Eco-Concrete (Eco-Concrete를 이용한 SRT System의 사면수처리부와 평면수처리부의 정화효율분석)

  • Jang, Won-Geun;Park, Jae-Young;Choi, I-Song;Chang, Jun-Youn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60-1864
    • /
    • 2006
  • 본 연구는 강우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와 합류식하수관거월류수에 의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한 공법으로, 고수부지 및 제방사면부와 둔치부를 형상화하여 pilot를 제작하였고, 연속적으로 시운전을 한 SRTS(Stormwater Runoff Treatment System)에 관한 것이다. SRT system 내부의 사면수처리부와 평면수처리부에는 다공성 콘크리트를 충진하였다. system 상부에는 식생을 조성하여 뿌리가 수면에 닿아 영양물질을 흡수하는 목적으로 사면수처리부와 평면수처리부에 각각 정육각형과 직사각형인 식생포트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안하였다. 내부에서는 토양과 수처리조 사이에 연결관을 부착하였고, 모세관현상에 의해 토양이 수분을 흡수하도록 구성하였다. pilot plant는 유입부, 사면 수처리부, 평면 수처리부, 유출부로 나누었다. 유입부는 유입펌프와 V-notch로 구성하였고, 유입펌프는 2대를 설치하여 1시간 간격으로 연속적 유입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교대 운전을 하였다. 평면 수처리부$(W(1.0m){\times}(L(2.4m){\times}H(0.6m))$는 장방형의 접촉산화조로서 하부에 슬러지 침전 및 저류를 위한 hopper를 설치하여 슬러지의 원활한 수집 및 인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유출부는 사각weir를 설치하였다. 강우유출수의 pH는 $7.27{\sim}7.92$이고, DO농도는 $7.12{\sim}7.88mg/l$로 관측되었다. 2차처리수의 pH는 평균7.4이고 DO농도는 최저 4.5 mg/l에서 최고 8.9 mg/l로 평균 6.8 mg/l로 관측되었다. 또한 강우유출수의 유입수의 T-N, T-P 농도는 각각 $17.5{\sim}22.5mg/l,\;8.9{\sim}11.4mg/l$의 범위이고, 2차 처리수의 유입수의 T-N, T-P 농도와 유사하였다.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첨두홍수량을 저류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저류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대등한 수위감소값의 홍수저감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On-Line 저류지 면적은 Off-Line 저류지에 비 두배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졌다.들에 관한 정보는 종종 현장관측에서 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특히 수리특성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된 수질모형은 QualKo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하천은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시점 부근인 회천 합류 전부터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종점 부근인 밀양강 합류 전까지의 경남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거래전략은 반전거래전략이고, 이 전략의 유용성은 투자자가 설정한 투자기간보다 더욱 긴 분석기간의 주식가격정보에 의하여 최대한 발휘될 수 있음을 확인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