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래수질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tudy on water quality management of lake Pyeungtaek for the reduction of pollutant loadings in upstream watersheds (상류 유역의 오염부하량 삭감에 따른 평택호 수질관리 보존 대책 연구)

  • Hwang, Byung-G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3
    • /
    • pp.1465-1472
    • /
    • 2011
  • Water quality surveys has been performed to establish water quality improvement strategy for the lake Pyeungtaek, and WASP model was used to simulate to identify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pollutant loadings for the upstream watersheds. Assuming that present loadings was continued up to the future, the water quality of the lake was found to be getting worse resulting from the increase of pollutants due to the planned future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made various scenarios to predict the future water quality, scenario 6 made a large contribution to improve the lake water quality compared to others. Even the scenario 6, COD concentration of year 2016 in the lake was examined to be under the 4th rate of water quality level for the lake (COD less than 8 mg/L), similar to year 2021. Even though additional reduction of loadings for the scenario 6 was made, the water quality in lake was a little improvement, and was though to be inappropriate action in the economic point of view.

WASP7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및 수문학적 조건에 따른 수질예측

  • Seo, Myeong-Jun;An, Seung-Seop;Lee, Byeong-Cheol;Lee, Hyo-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23-226
    • /
    • 2007
  • 수질모의를 위해 WASP7 수질모델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지역인 임하호의 일부분을 선정하여 수리${\cdot}$수문 조건적용 및 segment 를 구분하였다. 선정된 연구대상지역의 매개변수를 추정한 후 민감도 분석을 임의로 -50%, -25%, 0%, +25%, +50% 로 조정, 적용하여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장래 연구대상 지역의 수질모의 분석에 적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Establishment of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Prediction System Considering the Dam Outflow Effects (댐 방류영향을 고려한 수리 및 수질예측 통합체제 구축)

  • Han, Kun-Yeun;Ahn, Ki-Hong;Cho, W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478-48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댐 건설로 인한 수자원환경이 변화된 낙동강 유역에 대해 국내외 다양한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CE-QUAL-RIV1모형을 이용한 비정상상태의 수질예측을 위한 최적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수질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은 절대량의 변화를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구축된 수리 및 수질예측 통합 모형을 2001-2002년에 걸쳐 낙동강 유역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 및 보정을 실시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주요 지점의 실측치 및 하류부 취수장에서의 일별 실측치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본 연구 모형의 적용성을 입증하였고, 댐 방류영향 및 지류의 무처리하수 유입시의 각 댐의 방류영향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댐방류영향을 포함한 하천수질예측 모형체제 구축은 하천 수질 및 생태계의 수학적 표현을 통해 장래의 수질을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에 따라 합리적인 수질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Instream Flow for Water Quality Preservation used to Integrated Water Quantity and Quality Analysis (수량-수질 연계모의를 통한 수질보전 필요유량 산정 방안)

  • Seo, Jae-Seung;Lee, Dong-Ryul;Choi, Si-Jung;Kang, S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75-87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지유량 중 수질보전 필요유량 산정을 위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SEI-US가 공동으로 개발한 K-WEAPq(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Linked QUAL2K) 모형을 이용하여 충주댐상류 수계를 대상으로 수량-수질연계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질 보전 필요유량은 환경기초시설 등을 이용하여 하천에 유입되는 수질오염원을 최대한 처리한 후 남는 오염부하량을 고려하여 적정수질을 유지할 수 있는 유량이다.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수질보전 필요유량 산정시, 수질이 악화된 경우에는 적은 유량으로 수질개선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수질이 좋은 경우에는 많은 유량으로도 수질개선효과가 크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목표수질을 달성하는 유량과 수질개선효과가 큰 유량을 비교 검토하여 대상지점의 적정수질 관리 유량을 선정하고, 이때의 수질(수량관리수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면 장래 하천 수량 및 수질의 연중변화를 파악할 수 있고, 대상지점의 목표 수질 및 적정 수질에 따른 수질보전 필요유량을 산정하여 하천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of K-WEAP in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국가 수자원 계획의 수립을 위한 K-WEAP의 적용)

  • Choi, Si-Jung;Seo, Jae-Seung;Kang, Seong-Gyu;Moon, Jang-Won;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28-932
    • /
    • 2006
  • 지금까지의 수자원계획평가는 유역별 권역별로 이루어져 왔다. 다시 말해 지역적인 수자원계획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한 지역의 수자원계획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물이용 순환시스템을 분석해야 하며, 이를 통해 유역의 기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환구조 및 현황 문제점 파악, 시스템 개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종합적으로 물순환 및 물이용에 대해 제시된 연구결과는 거의 없으며, 각 순환요소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가 수행된 경우가 있다. 도시용수의 순환시스템의 경우 전체적인 순환시스템에 대한 연구보다는 주거형태에 따른 회귀율의 산정과 같은 특정 분야에 대한 연구결과가 제시된 경우가 있으며, 농업용수에 대해서도 회귀율의 추정과 같은 연구가 제시되어 있는 정도로 관련 연구의 수행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산 지역의 물이용 순환시스템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기 수립된 서산 지역의 장래 계획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에 대한 대책 및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하며 장래에 일어날 수 있는 수량 및 수질 변화에 대한 상황들을 시나리오로 개발하여 분석함으로써 장래에 대한 수량, 수질을 연계한 수자원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서산 지역의 대표적인 수원인 보령댐의 댐운영 및 가뭄 모니터링에 이용할 수 있도록 보령댐에 대한 가뭄지수(물공급능력지수, 표준물공급능력지수)를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K-WEAP Model For Integrated Water Quantity and Quality Analysis (통합 수량-수질 분석을 위한 K-WEAP 모형)

  • Lee, Dong Ryul;Park, Hee Seong;Kim, I Tae;Jeong, Kyu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532-536
    • /
    • 2004
  • 최근 수자원개발의 한계와 수질의 오염으로 인하여 제한된 수자원의 적절한 배분과 지속 가능한 수자원의 이용이라는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어 개발의 한계 속에서 수질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수량과 수질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수자원계획 도구는 흔치 않다. 이러한 종합적인 수자원계획 수립 및 분석을 위할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SEI-B(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 - Boston Center)와 공동으로 기존에 SEI-B에서 개발된 WEAP(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을 국내 실정에 맞도록 수정보완 한 K-WEAP을 개발하였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K-WEAP에 수질 모의 기능을 추가하여 개발함으로써 수량-수질을 연계하여 수자원계획수립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K-WEAP은 원단위 개념을 이용한 발생량의 산정과 보존성 물질의 수질 모의와 일반적인 지수감소형 물질 및 BOD, DO 등과 같은 1차 분해성 물질의 모의가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수자원 계획 시 수질등급을 만족시키기 위한 하수처리장의 설치 계획과 유역관리를 위한 여러 가지 대안의 수립이 가능하며, 여러 가지 대안에 대하여 장래 수질의 변화 경향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K-WEAP에 탑재된 수질 모형의 내용을 분석하고 수량과 수질의 통합과정을 알아본 후, 가상의 시험유역에 적용한 길과를 바탕으로 수량-수질 통합수자원계획의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 PDF

Estimation of Instream Flow in Han River (한강에서의 하천유지유량 산정)

  • 오규창;정상만
    • Water for future
    • /
    • v.24 no.1
    • /
    • pp.119-128
    • /
    • 1991
  • This study was focused on establishing the concepts of the instream flow to prevent the problems for the conceptual ambiguity and the difference in the instream flow estimation methods. The average drought flow is defined as the flow required to guarantee the minimum function of the river such as prevention of drying. The environmental control flow is defined as the flow required to control optimal river environment, the flow required for navigation, prevention of sea water-intrusion, protection of river management facilities,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fishing, prevention of river mouth closure, control of groundwater level, protection of animals and plants, and landscape. The average drought flow was obtained by flow duration analysis for the natural flows in the Han River at Indo-Bridge gaging station. When considering the 9 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 conservation, the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was proved to be most important. The pollutants for the river flows were estimated and the water qualities were forecasted. After comparing the water qualities in the future and water quality standards, there quired optimal dilution flow was estimated. The average drought flow and environmental control flow are all non-consumptive flows. Therefore larger flow between them, i.e., Max. (average drought flow, environmental control flow) can be the instream flow. The river management flow can be added to the flows for water utilization in the downstrea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ery helpful in the systematic river management on the other main rivers in Korea.

  • PDF

Determination of Instream Flow in Bocheong Stream Basin (보청천 유역의 유지유량 산정)

  • Ahn, Sang-Jin;Kim, Jin-Geuk;Yoon, Seok-Hwan;Han, Sang-K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52-1056
    • /
    • 2006
  • 하천의 수질이 악화되고 물수요량이 증대됨에 따라 쾌적하고 자연스러운 하천을 보전하고자 하는 하천유지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상하천의 유지유량을 산정하기 위해 수위관측망 자료를 이용하여 갈수량을 산정하였으며, 대표어종을 선정하여 하천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질을 고려한 필요유량을 산정하기 위해 각 소유역별로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을 조사하였으며 설정된 하도구간별 목표수질을 만족할 수 있도록 소유역별 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보청천유역에서 환경기준달성을 위한 장래수질보전유량은 종곡천 합류후 구간에서는 1.71 CMS , 항건천 합류후 구간에서는 2.28 CMS, 삼가천 합류후 본류구간에서는 4.03 CMS, 산계교 지점은 4.74 CMS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에 대한 유역특성에 따른 갈수량, 하천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하천 수질을 고려한 필요유량을 산정하여 대상유역의 유지유량을 결정함으로서 적정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