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 안정성

Search Result 96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rmal Stability Test Evaluation of Applying the Artificial-Crack of Water-Leakage Repair Materials Used in the Maintenance of Concrete Structure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누수보수재료의 인공 균열을 이용한 온도 안정성 시험평가)

  • Kim, Soo-Youn;Kim, Byoung-ll;Oh, Sa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4 no.3
    • /
    • pp.322-329
    • /
    • 2016
  • This study is about the method to control the quality of material used to repair leakage and crack of concrete structure and suggests the "Temperature Stability Test Method" as a follow-up study. In the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for 45 samples of 15 types in 5 series, the temperature stability test showed different material changes including rolling down, volume change, and color change as they are frozen and melt repeatedly in the somewhat extreme conditions at low($-20^{\circ}C$) and high($60^{\circ}C$) temperatures, where 13 samples (approx. 29%) and 32 samples (approx. 71%) showed leakage, respectively, in the permeability test to evaluate leakage. This result shows the enough importance of setting the quality control criteria of leakage repair material currently used to maintain concrete structures considering the temperature conditions, and proves the applicability of the Temperature Stability Test Method as a standard test method to ensure long-term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

Evaluation of MR Safety of Breast Expander on 1.5T and 3.0T MRI (유방 조직 확장기의 1.5T와 3.0T MRI 환경 내 안정성 평가)

  • Jung, Dong-Il;Kim, Jae-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4 no.4
    • /
    • pp.361-36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breast tissue expander implanted patients who require MRI examination. Torques were 0ml, 150 ml, 300 ml, 450 ml at 1.5 Tesla forward direction, 4, 3, 3, and 2 respectively, and 1.5 Tesla reverse direction at 4, 4, 4, 3 respectively. In the 3.0 T environment, 4 was shown in all conditions. In the overturning experiment, no overturning occurred in more than 300 ml in the 1.5Tesla environment, and most of the overturning occurred in the 3.0 Tesla environment. In terms of safety, MRI scans of patients with breast tissue expanders should be avoided at 3.0 Tesla and conditionally at 1.5 Tesla.

Optimal Water Intake Scheduling for Water Treatment based on Linear Programming Method (선형계획법을 이용한 정수장 취수계획 최적화 방안의 적용성 분석)

  • Lee, Indoe;Jeong, Gimoo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02-402
    • /
    • 2019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용수사용량의 계절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용수 관리에 대한 관심은 배수지 및 송수 시스템의 운영을 넘어 정수장의 운영에서도 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수질관리 측면에 다소 집중되었던 정수장 운영의 중요도는 수량을 함께 관리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것으로 전망되며, 따라서 취수 단계에서부터 용수 공급의 전 과정을 고려하는 지능형 정수장 관리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상수도 공급을 위한 정수장의 운영은 크게 원수의 취수 및 도수, 정수처리, 정수된 용수의 저장, 배수 및 급수의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원수의 취수와 도수, 정수처리 과정에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정수장의 운영 관리자는 이러한 지연시간을 감안해서 배수지의 상태를 예측하여 취수계획을 결정해야 한다. 한편, 정수장 시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력이 소모되며, 산업전력 단가는 시간대별 변동폭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정수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용수의 수요예측과 배수지 수위변동, 취수 및 정수설비의 규모 등을 고려하는 동시에, 전력 단가가 낮은 시간대에 설비를 집중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계획법(Linear Programming, LP)을 이용하여, 수요예측을 바탕으로 장기취수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안을 세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장단점을 다음과 같이 예상하였다. 1) 24시간 간격으로 시간당 취수계획을 수립하는 최적화 방안, 2) 24시간의 시간당 취수계획을 1시간 간격으로 수립하는 실시간 최적화 방안, 3) 전체 모의기간 동안의 시간당 취수계획을 한번에 수립하는 최적화 방안. 24시간 간격 최적화는 수립 및 적용이 간단한 반면, 실시간 수요변화를 고려할 수 없어 단위시간(24시간) 후반부의 최적화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1시간 간격의 실시간 최적화는 수요변화를 가장 정확히 반영하는 반면, 최적화 수행 횟수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전체 모의기간 최적화는 장기 수요예측을 고려한 탄력적 취수계획을 수립하는 반면, 수요예측의 불확실성에 따른 오차 발생위험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H 정수장을 대상으로 각각의 최적 취수계획 수립 방안을 정수장 운영의 안정성, 탄력성, 경제성 등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 PDF

Deep Prediction of Stock Prices with K-Means Clustered Data Augmentation (K-평균 군집화 데이터 증강을 통한 주가 심층 예측)

  • Kyounghoon Han;Huigyu Yang;Hyunseung Choo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4 no.2
    • /
    • pp.67-74
    • /
    • 2023
  • Stock price prediction research in the financial sector aims to ensure trading stability and achieve profit realization. Conventional statistical prediction techniques are not reliable for actual trading decisions due to low prediction accuracy compared to randomly predicted result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improve accuracy by learning data characteristics and fluctuation patterns to make predictions. However, predicting stock prices using long-term time series data remains a challenging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stable and reliable stock price prediction method using K-means clustering-based data augmentation and normalization techniques and LSTM models specialized in time series learning. This enables obtaining more accurate and reliable prediction results and pursuing high profits, as well as contributing to market stability.

The Legal Improvement for Effective Planning of the Water Vision 2020 (효율적인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법적 개선방안)

  • Kim, Jinsoo;Lee, Gyu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4-254
    • /
    • 2017
  •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은 수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효율적인 이용 개발 및 보전을 위하여 "하천법" 제23조에 근거하여 수립되는 물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은 20년 단위로 수립되며, 5년마다 그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계획을 변경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6년 12월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제3차 수정계획(2016~2020년)을 수립 고시하였다. 그런데 수자원장기종합계획과 같이 상위 개념의 법정계획의 수립을 위해서는 관련 법정계획 및 부처 간의 수평적 수직적 연계가 중요한데, 현행 법체계는 이에 미흡한 측면이 있어 보인다. 우선적으로 수평적 연계를 위해서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과정에 이수 치수 및 방재 분야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관련 부처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하천법" 제23조제4항은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할 경우,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규정에 따른 부처별 '협의'는 국토교통부가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한 후 관련 부처의 의견을 수렴하는 소극적 형태의 협의라고 볼 수 있다. 효율적인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하천법" 소관 부처인 국토교통부가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적인 지침을 수립하여 관련 중앙부처인 환경부(환경), 국민안전처(치수), 산업통상자원부(공업용수) 및 농림축산식품부(농업용수)에 시달하고, 각 부처는 담당 분야별 계획을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에 송달한 후, 국토교통부는 이를 취합 검토하여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는 적극적 형태의 연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수직적 연계를 위해서는 기존의 하향식(top-down)에서 벗어나 상향식(bottom-up)의 계획수립이 필요해 보인다. 즉 국토교통부의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에 따라 하위 개념의 유역종합치수계획("하천법" 제24조) 및 댐건설장기계획("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4조) 등을 수립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별 유역별로 수자원계획을 우선적으로 마련하도록 하고 이를 기초로 전 국토를 대상으로 하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방안이 적절해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하기 이전에 지역별 또는 유역별로 수자원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천법"에 관련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으며, 이수뿐만 아니라 환경, 방재 분야의 하위 법정계획의 수립 시기 및 주요 내용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 PDF

Treatment and posttreatment changes following intrus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with miniscrew implants for open bite correction (Miniscrew implant를 이용한 상악 구치부 압하와 개방교합 치료의 효과 및 안정성)

  • Lee, Han-Ah;Park, Young-Chel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8 no.1
    • /
    • pp.31-40
    • /
    • 2008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keletal and dentoalveolar changes after intrus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using miniscrew implants during the treatment and posttreatment period.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11 adults (1 male, 10 females) whose open bites were treated by posterior teeth intrusion with miniscrew. The lateral cephalometric x-rays of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the retention period were evaluated. Results: The average intrus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at the end of the treatment period was 2.22 mm (p < 0.001) and the average extrus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at the end of the 17.4 month retention period was 0.23 mm (p = 0.359). The relapse rate was calculated at 10.36%. A decrease in overbite after the 17.4 month retention period was 0.99 mm (p < 0.05). The relapse rate was calculated at 18.10%. The skeletal changes and vertical height change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during the retention period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overbite (mean 0.99 mm, p < 0.05). The amount of intrusion and the overbite improvement from treatment significantly correlates to the degree of relapse.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intrusion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using miniscrews is an effective, non-surgical treatment modality which can reasonably be used to address adult open bite.

An Experimental Evaluation and Economic Analysis for LED Traffic Signal (LED 교통신호등 현장적용성 평가 및 경제성 분석)

  • 장덕명;이병철;안주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4
    • /
    • pp.33-44
    • /
    • 1999
  • LED(Light Emitting Diodes)는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로서 동화상 광고물이나 가변정보표지판(VMS)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외국의 경우 LED 기술을 교통신호등에 적용하여 시범설치 및 확대 적용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국내에서는 산업체, 학계, 연구소 등에서 연구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이러한 산 학 연의 노력에 의해 개발된 LED 교통신호등을 현장에 적용하기에 앞서서 실내실험과 현장실험을 통하여 에너지 절감효과 및 현장적용성을 검증하고 경제성 분석을 통한 타당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으로써 기존 전구식 신호등과 LED 신호등의 발광원리 및 특징 비교 분석, 실내실험을 통한 에너지 절감효과 검증, LED 보행자 신호등 현장적용성 평가, LED 신호등으로 서울시의 기존 신호등을 연차적으로 교체하는 경우에 대한 경제적 분석이 실시되었다. 실내실험을 통해 LED 신호등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평균 76% 임을 검증하였고 보행자 신호등에 대한 현장 실험에서 설문응답자의 83.7%가 LED 신호등의 시인성이 우월하다고 나타나 현장적용성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LED 신호등에 대한 경제성 분석결과 자본회수기간은 6년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기존 신호등의 고장 및 유지 보수 등에 의한 차량정체 비용, 교통사고 비용 및 소자기술 발전을 고려하면 이보다 단축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차량등에 대한 운전자들의 반응 및 장기적인 안정성 등에 대한 종합적인 실험이 추가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LED 신호등에 대한 규격서 제정 등 법 제도 측면이 이루어진 후 LED 국내 기술 수준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LED 교통신호등에 대한 보급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reatment strategies on Class III malocclusion based on Long term follow up study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전략)

  • Sung, Jae-Hyu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6 no.2 s.55
    • /
    • pp.125-139
    • /
    • 1996
  • The author obtained some useful information for the class III treatment from long term observation on the growing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8 patien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presentation. From these observation so far my conclusions might be as follows: First in the early correction of the anterior crossbite, considerable forward growth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maxilla Second, as for the growth modification of jaws by orthopedic treatment only limited effects were recognized from the long-term observation Thrid, at early age of patients with anterior crossbite, any data couldn't make me predict the stability after treatment on the long-term basis. Fortunately, however, genial angle showed a marginal possibility of it prediction. Fourth, at an advanced age/ retraction orthopedic force on the mandible and the rapid change in the mandibular position may cause some trouble in the T.M.joint. Finally, the followings are recommendable. As for the anterior crossbite, correct it early as possible, and use orthopedic force under the age of ten. Do not enter the phase II treatment directly. Just wait and observe until the growth were almost completed, focusiong on some important factors such as airway problem, tongue position, and third molar development. Of course, these factors may have some effects on the mandibular growth. for the female, at the age of around 14 years old and the male, around 17 years old, make a final decision whether the patients will continue to be treated orthodontically or surgically Thereby, (I think) the relapse and retreatment problem after treatemnt we have observed so far might be minimized. Furthermore, the active treatment time may be also reduced.

  • PDF

Prediction of Long-term Behavior of Ground Anchor Based on the Field Monitoring Load Data Analysis (현장 하중계 계측자료 분석을 통한 그라운드 앵커의 장기거동 예측)

  • Park, Seong-yeol;Hwang, Bumsik;Lee, Sangrae;Cho, Wanjei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7 no.8
    • /
    • pp.25-35
    • /
    • 2021
  • Recently, the ground anchor method is commonly applied with nail and rock bolt to secure the stability of slopes and structures in Korea. Among them, permanent anchor which is used for long-term stability should secure bearing capacity and durability during the period of use. However, according to recent studies, phenomenon such as deformation to slope and the reduction of residual tensile load over time have been reported along the long-term behavior of the anchors. These problems of reducing residual tensile load ar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which will inevitably lead to problems such as increasing maintenance cost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ensile load of permanent anchor from a literature study on the domestic and foreign, and investigated the prior studies that analyzed previously conducted load cell monitoring data. Afterwards, using this as basic data, the load cell measurement data collected at the actual site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tensile load reduction status of anchors, and the long-term load reduc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inally, by aggregating the preceding results, proposed a technique to predict the long-term load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permanent anchors through short-term data to around 100 days after installation.

Investigation of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and the 3-year follow-up (창의성 영역문제의 탐색 및 재접근)

  • Han, Ki-Soo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5 no.2
    • /
    • pp.1-34
    • /
    • 2005
  • This study is composed of 2 parts. Study 1 empirically examined (1)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creative performances measured by three product-based assessments (story-telling, collage-making, and math word problems) in three domains, and (2)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general creative thinking skills, measured by two divergent thinking tests, and children's creative performances. Study 2 is a three-year follow up study of the study 1. Study 2 followed up some (71)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study 1. In study 2, long-term stability of the performance based assessment involving story-telling, collage making, and math problem making were examined during the three-year time period. In addition, study 2 tried to look at the methods effect of the domain issue of creativity, comparing self-report scale and performance-based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position that creative ability in young children is rather (but not absolutely) domain-specific. The long-term stability of the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compares favorably with stability figures for other creativity tests.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method effect in explaining the domain issue of creativity. Implication of the study in connection with educational practices for gifted children i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