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잠재생산

Search Result 46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ppraisal of Farmland Potential Productivity Using GIS (GIS를 이용한 농지 잠재생산성평가)

  • 박승기;이창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9 no.2
    • /
    • pp.341-352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ed that appraisement model of Potential Productivity Index(PPI). PPI model was used Farmland Productivity Index(FPI) and Labor Productivity Index(LPI) by GIS, and PPI model applied to farm land consolidation region which has been completed recently. FPI was determined by overlapping Poly Grid of the soil properties at the analyzed project region. LPI was estimated by addition productive wages ratio of total direct productive cost. Addition productive wages determined by GIS Network analysis GIS Network analysis of working distance between farm house to paddy and each paddy. PPI variation of each the analyzed paddy of Masu and Weoncheon region was 0.967~0.780 respectively, and could be showed relative largely PPI value. PPI will provide basic element for large scaling and gathering of farm land and a substitute lot of farm land consolidation, and will be maximize productivity of paddy.

  • PDF

A Study on the Potential Small Hydro Energy Calculation in Anyang River (안양천의 잠재 소수력 에너지 산정에 관한 연구)

  • Gwon, Yong Hyeon;Kang, Yong Hyeok;Jung, Sung Eun;Jung, Seung 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70-270
    • /
    • 2015
  • 소수력은 물이 가지는 위치 에너지나 운동 에너지를 동력으로서 이용하는 것 또는 그렇게 얻을 수 있는 에너지로 소수력발전에 의해 생산되는 에너지는 부존자원이 풍부하여 다른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개발가치가 충분한 부존자원이다. 또한, 친환경적인 청정에너지 중 하나로 대체 에너지원에 비해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개발가치가 큰 부존자원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초기투자비에 비해 유지관리비용이 낮은 편이다. 이러한 개발가치가 있는 잠재 소수력 에너지를 알아보기 위해 한강권역의 표준유역인 안양천을 대상으로 산정해 보았다. 안양천의 잠재 소수력 에너지 산정을 위해 2004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의 구로 강우관측소의 일강우자료와 신정수문관측소의 일수위자료 및 유량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하상정보를 파악하였다. 낙차는 수차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여 상용발전이 가능하며 소수력 발전을 최대치로 생산할 수 있는 조건의 낙차인 2m로 선정하여 소수력 산정공식에 적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름인 7월에 1,421.1Kw로 최대값으로 나타났으며, 겨울인 12월에 최소값인 141.9Kw로 나타나 안양천에는 월간 최소 100Kw이상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 소수력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국토교통부와의 협력을 통해 관측되는 수문자료(강우, 수위, 유량)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일단위, 월단위, 년단위, 계절단위의 잠재 소수력 에너지를 실시간으로 산정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지속적으로 잠재 소수력 에너지를 평가하고 재생에너지 확보를 통해 추구할 수 있는 경제적 이익 또한 분석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ource and Sink Relationship in Diallell Grafting among Sweet potato Cultivars (고구마 품종 간 이면접목에 의한 생산능력과 저장능력)

  • 남상영;정승근;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4 no.2
    • /
    • pp.89-93
    • /
    • 2001
  •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varietal improvement and cultural practice, source and sink relationship in the diallel grafting was analyzed among five sweet potato cultivars, Yulmi, Shinyulmi, Gunmi, Hongmi and Seonmi, whose source and sink capacities are different one another. General grafting effect(GGE), specific grafting effect(SGE) and reciprocal grafting effect(RGE) of top weight, tuberous root weight and total weight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Grafting decreased total dry weight but its effect was different among grafting combinations. Growth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top were affected more by scion, while those of underground were influenced more by stock. Shinyulmi which has great potential source and sink capacities resulted the highest total dry weight, while Hongmi and Yulmi which have low potential source capacity resulted the lowest total dry weight.

  • PDF

The literature review of global innovation capability (글로벌혁신역량에 관한 이론적 고찰)

  • Yang, dong-woo;Jeon, woo-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9-120
    • /
    • 2011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글로벌 혁신역량에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한 연구이다. 국내외 중소기업의 글로벌혁신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를 광범위하게 조사한 후 중소기업의 글로벌 혁신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잠재변수를 선정한다. 각 잠재변수별로 유의적으로 판명된 지표를 분석하여 기업내부역량 중 글로벌혁신역량에 중요한 요인인 CEO역량, 기술역량, 마케팅역량, 생산역량, 인적자원역량, 재무역량, 네트워크역량으로 재분류한다. 향후 잠재변수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호교호작용효과를 배제한 잠재변수별 순효과(net effect)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안전관리 평가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차순;임동호;김윤화;고재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147-150
    • /
    • 1998
  • 현대의 고도화된 산업발달과 함께 생산품의 고품질, 다품종, 대량생산을 위한 설비의 대형화, 공정의 복잡화, 위험성이 높은 물질의 대량 사용 등으로 인하여 잠재위험이 더 한층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 여러 가지 잠재위험으로 인하여 화재, 폭발, 독성물질 누출 등 대규모 중대산업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커졌으며 사고 발생시 현장의 근로자, 인근지역 주민, 주변의 환경에까지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중략)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Hindrance Factors to Labor Productivity in Each Construction Site Using the IPA (IPA를 이용한 건설 현장별 노동생산성 저해요인 비교)

  • Jeong, Jae-Ho;Lee, Suk-Won;Ahn, Byung-Ju;Jee, Nam-Yong;Kim, Jae-Ju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5 no.6
    • /
    • pp.71-82
    • /
    • 2014
  • Korea's labor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sites is dependent on experience and act in accordance with the human element of the construction workers.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site that requires a strategic management to potentially hindrance factors of labor productivity. However, without considering the potential problems, management of labor productivity in prior studies is focused only on the immediat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ite-specific analysis of labor productivity impediments using easy IPA to identify potential cau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as to identify the realistic problems of job insecurity and poor working conditions as well as economic problems. It is expected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strategy suggestions for long-term labor productivity improve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Estimation of change in futur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using multiple RCMs (다중 RCMs를 이용한 미래 잠재증발산량 변화 추정)

  • Kim, Sangdan;Won, Jeongeun;Choi, Je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79-179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기후변화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드러나며 가뭄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수자원 관리에 있어 가뭄 예측은 반드시 필요한 항목이다. 우리나라는 기후변화로 인해 강수량과 기온이 변화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증발산량의 변화를 초래한다. 증발산량은 가뭄에 대한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며, 따라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 잠재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미래의 잠재증발산량을 분석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주로 기후모델을 이용한 미래예측자료가 사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 RCMs를 이용하여 미래 잠재증발산량의 변화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독일의 전지구기후모델(Global Climate Model)인 MPI-ESM-LR를 기반으로 다양한 지역기후모델(Regional Climate Model)로부터 생산된 미래 자료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RCM은 MM5, RSM, WRF이며, RCP 8.5 시나리오에 대하여 부산 지점에 해당하는 격자로부터 잠재증발산량 추정을 위한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각 기상자료에 대해 Penman 방법을 적용하여 미래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한 후 Quantile Mapping 기법을 이용하여 편의보정을 수행하였다. 산정된 미래 잠재증발산량을 분석한 결과, 부산지점의 경우 미래 잠재증발산량이 현재대비 다소 증가 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gional Economic Impact of Potential Utilization of Ligneous Biomass (목질계 바이오매스에너지의 지역별 잠재적 파급효과 추정)

  • Bae, Jeo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217-220
    • /
    • 2006
  •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신재생에너지원에 비해 국내 잠재량이 가장 풍부한 에너지원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주요 공급원인 간벌목 부산물의 10%, 폐목재의 1/3 정도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관련법제도 개선 및 지원을 통해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경우 잠재적 기여도는 2005년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의 29.4%에 달하며, 신재생에너지의 일차에너지 소비대비 2.13%에서 2.76%로 증가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16개 시도별로 잠재되어 있는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 가능량을 추정하고 이를 바이오열병합발전소의 주연료로 이용할 경우 지역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경기, 서울, 전남, 경북, 강원, 충남 등에서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지역별 파급효과를 합할 경우 부가가치 파급효과가 15,736억원, 고용효과가 2,630명으로 나타났다.

  • PDF

잠재(潛在)GNP 및 통화(通貨)에 의한 물가상승압력(物價上昇壓力)의 추정(推定) - 향후(向後) 성장(成長)·투자(投資)·통화정책(通貨政策)의 방향(方向) -

  • Park, U-Gyu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1 no.2
    • /
    • pp.1-17
    • /
    • 1989
  • 본고(本稿)에서는 최근 미국연방준비은행(美國聯邦準備銀行)의 Hallman Porter Small이 개발한 인플레추정방법, 즉 화폐수량식에 장기균형유통속도(長期均衡流通速度)($V^*$), 잠재생산력(潛在生産力)($Q^*$), 장기균형기준물가(長期均衡基準物價)(P*)등의 개념을 적용하여 인플레식(式)을 추정하는 방법을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V^*$는 인플레의 변동에 의해 구조적(構造的)으로 변동(變動)될 수 있다는 점과 $Q^*$는 고용(雇傭)뿐 아니라 투자의 함수라고 가정하고 자본스톡 및 $Q^*$를 내생적으로 추정하는 등으로 $V^*$, $Q^*$의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추정결과(推定結果)에 의하면 87년초 이후부터 실질생산(實質生産) 잠재(潛在)GNP를 초과하게 되었으며 통화공급(通貨供給) 역시 확대되어 $P^*$가 P를 넘어서는 현상, 즉 물가상승압력(物價上昇壓力)이 누적되어 왔으며, 이에 따른 물가불안이 해소되기에는 정책대응여하에 따라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수도 있을 것으로 냐타났다. 즉, 시뮬레이션결과 종합해 보면 물가상승압력(物價上昇壓力)의 완화를 위해서는 투자진작을 통한 잠재생산력(潛在生産力)의 확충과 아울러 긴축기조(緊縮基調)의 유지라는 일견(一見) 상반(相反)되는 정책기조(政策基調)를 동시에 추진해 나가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경기국면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통화공급(通貨供給)을 확대시키는 단순한 총량적 정책보다는 긴축기조(緊縮基調)를 유지하면서도 통화(通貨)의 신축적(伸縮的)인 공급이 투자(投資) 고용(雇傭) 등의 생산부문(生産部門)으로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금융구조(金融構造) 경제구조(經濟構造)를 개선해 나가는 미시적이고도 포괄적인 정책이 요구된다 하겠다.

  • PDF

Analysis of Forest Resources and Timber Production Potential of Larix kaempferi in South Korea (국내 일본잎갈나무림의 자원량 및 목재생산 잠재량 분석)

  • Kim, Young-Hwan;You, Joung-Won;Yim, Jong-Su;Lee, Seung-Hyun;Park, Joo-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9 no.4
    • /
    • pp.454-460
    • /
    • 2020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area of Larix kaempferi forest available for timber production, considering the leg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technical constraints, and to optimize the forest resources and the potential of timber production in South Korea for 50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ea of Larix kaempferi forest available for timber production is limited to 124,000 ha, 48% of the total area. Without further efforts in resource management, sustainable timber production of Larix kaempferi cannot be guaranteed even at the current level of timber supply. To enhance the potential of timber production for this species, two alternatives were considered: a 705-km annual increment of forest roads (alternative 1) and a 1,000-kmannual increment of forest roads (alternative 2) to enlarge forest areas available for timber produ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lternative 1 is feasiblefor sustainable timber production both at the current level and with a 5% increment of timber supply. However, alternative 1 is not sufficient in the case of a 10% increment of timber supply with a low growing stock, whereas alternative 2 is sufficient. Therefore, an increase in forests roads as well as regeneration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timber production potential of Larix kaempferi i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