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잔존가스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PDP 불순가스 제거를 위한 nano size의 getter 재료 제조

  • 김헌창;황일선;정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5.05a
    • /
    • pp.121-124
    • /
    • 2005
  • Getter는 진공을 이루고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물질로, 잔존가스 및 불순가스를 흡수 & 제거하는 물질을 말한다. FPD나 PDP같은 평판 디스플레이는 내부에 진공을 요구하며 작동중에 발생하는 불순가스에 의해 진공도가 떨어져, plasma 방전시 방전개시전압이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이에 적절한 getter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PDP 제조시 발생하는 잔존가스 및 운전중 발생하는 불순가스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하여 PDP의 수명이 연장되는 고성능 getter 재료를 제조 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에 thermal plasma를 이용하여 nano size로 getter를 제조하였다. 전체적으로 $10\~30$ [nm] 크기의 Setter가 제조되었지만 응집이 많이 일어나 군집된 형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입자가 완전히 성장하기까지 충분한 열을 받지 못하여 응집이 먼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the Residual Strength of the Carbon Steel pipe using in Fuel Gas (연료가스 배관용 탄소강관의 잔존강도에 대한 연구)

  • Yim, Sang-Sik;Kim, Ji-sun;Ryu, Young-don;Lee, Jin-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0 no.5
    • /
    • pp.112-117
    • /
    • 2016
  • The standard(KS D 3631) should be obey for using fuel gas pipe in Korea and a carbon steel pipe is coated with synthetic resine for protecting the corrosion. The coating is just performed for anti-corrosion, and actual strength of pipe is given by the carbon steel pipe when the fuel gas is transported. When the flaws are occurred in the steel pipe, the estimation method which is used for residual strength is necessary. But the suitable method is not exist for applying the fuel gas pipe. Eventually, the residual strength is estimated by overseas regulation such as ASME B31G or DNV RP F101. But the method based on the relative regulations are not sufficiently valid and it can not estimate the 85% over even. Therefore, the test was performed for validation with pipe specimen. The specimen was made with artificial flaw. The test results showed the certain differences according to flaw depth and DNV RP F101 is suitable to estimate the residual strength in Korea. The results in this paper contain in case of the severe flaw depth and suitable mode for Korea, so the result can be expected as valuable and widely used in various field.

Experimental Study on Rupturing of Artificial Flaw of Pipes for Life Prediction of Underground High Pressure Gas Pipes (지하매설 고압가스배관의 수명예측을 위한 인위결함 배관의 파열실험)

  • Lee, Kyung-eun;Kim, Jeong Hwan;Ha, Yu-jin;Kil, Seong-Hee;Jo, Young-do;Moon, Jong-Sa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2 no.5
    • /
    • pp.62-71
    • /
    • 2018
  • According to own investigation conducted by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Gas Safety Research Institute in 2017, the length of underground pipes in domestic high-pressure gas pipelines is approximately 770km, of which 84% is buried in Ulsan and Yeosu industrial complexes. In particular, 56% of underground pipelines have been in operation for more than 20 years. This suggests urgent management of buried high pressure gas pipelines. PHMSA in US and EGIG in Europe, major causes of accidents in buried gas pipelines are reported as third party damage, external corrosion and loss of pipe wall thickn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valuate whether the defects affect the remaining life of the pipe when defects occur in the pipe. DNV and ASME have evaluated the residual strength of pipelines through the hydraulic rupture test using pipe specimens with artifact flaws. Once the operating pressure is known through the residual strength of the pipe, the wall thickness at the point at which the pipe ruptures is calculated. If we know the accurate rate of corrosion growth, we can predict the remaining life of pipe. In the study, we carried out experiments with A53 Grade.B and A106 Grade.B, which account for 80% of domestic buried pipes. In order to modify the existing model equation, specimens with a defect depth of 80% to 90% was tested, and a formula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fect and residual strength was made.

Characteristics of Coal Ash Melting in Bench Scale Entrained Coal Gasifier (Bench Scale급 기류층 석탄가스화기에서 회분의 용융 특성)

  • 정봉진;이중용;이계봉;윤용승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8 no.1
    • /
    • pp.127-136
    • /
    • 1999
  • Bench Scale급 기류층 석탄가스화기에서 배출된 슬form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Drayton 석탄과 Kideco 석탄으로부터 생성된 슬래그의 조성, 형상, 잔존탄소함량 및 중금속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Drayton 석탄 슬래그의 형상은 표면이 매끄럽고 단단하며 다공성을 띄면서 crack이 거의 없고 결정구조가 비정형인 반면에, Kideco석탄 슬래그의 경우는 표면이 거칠고 crack이 상당히 많이 존재하며 주결정상은 pyroxene과 anorthnite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슬래그의 재활용시 판단 기준이 되는 잔존탄소함량은 두 대상탄 모두 1% 이하를 나타내어 재활용이 가능하며, 슬래그의 용출수 분석결과 석탄중에 함유된 중금속은 슬래그중에 용융되어 안정한 화합물로 존재하므로 중금속 유출로 인한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ench Scale급 석탄가스화기 Slag의 거동

  • 정봉진;이중용;이계봉;윤용승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7.10a
    • /
    • pp.59-65
    • /
    • 1997
  • Bench Scale급 석탄가스화기에서 배출된 slag의 거동을 살펴보기 위해서 Drayton탄(호주)과 Kideco탄(인도네시아)으로부터 생성된 slag의 조성, 형상, 잔존탄소함량 및 중금속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Drayton탄 slag는 표면이 매끄럽고 다공성을 띄며 crack이 거의 없었고 결정구조가 비정형(amorphous)인 반면에, KIDECO탄 slag의 경우는 표면이 거칠고 crack이 상당히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lag중에 함유된 잔존탄소함량은 두 대상탄 모두 1% 이하를 보임으로써 slag의 재활용 기준인 3%를 만족하였다. Slag 재활용시 중금속의 2차적인 환경오염을 우려하여 석탄중에 포함된 중금속 함량 분석결과 대부분의 중금속이 slag중에 용융되어 안정한 화합물로 존재하고 있었으며, slag의 용출수 분석결과 중금속으로 인한 2차 환경오염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urge Burner for City Gas (도시가스용 퍼지 버너 개발에 관한 연구(II))

  • Lee, Hyun-Chan;You, Hyun-Seok;Lee, Jo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0.04b
    • /
    • pp.175-179
    • /
    • 2000
  • A combustion project was completed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 high-flow-rate purge burner in cooperation with three city gas companies(Pusan, Taegu, Samchulli). The project, started in May 1991, aimed at purging the line-packed-gas safely and quickly before getting into gas pipe working or relo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urging noise is less than 80dB due to silencer screen. multi-nozzle and outlet inserted tube employed. In addition, the developed burner shows an increased work efficiency of 40-50% more as compared to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purge equipments. The project result is regarded as the first high-flow-rate purge burner developed within Korea. contributing to shortening purge hours, safe field work and easiness of purge site selection.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Gas Accide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GIS (GIS 기반의 가스사고 관리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 Kim, Kye-Hyun;Kim, Tae-Il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106-112
    • /
    • 2002
  • 최근 급속한 도시의 팽창 및 신도시 건설과 산업의 발전으로 가스시설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94년 아현동 도시가스사고와 95년 대구 도시가스사고 이후로 도시 가스 시설물의 대한 안전 대책 및 시설물 관리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가스회사들은 GIS 기술을 도입하여 기존에 수작업으로 관리되고 있는 가스시설 정보체계를 전산화하여 항상 최신의 현황을 유지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처 방안 및 피해예측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이 중요시되는 가스시설물에 대하여 가스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처 및 처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GIS 기반의 가스사고 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GIS의 가스사고 관리시스템에서는 사고 발생시에 시설물 관리자가 사고 지점을 선택하여 우선적으로 공급을 중단해야 할 관로를 제시하고 사고지점을 검색하여 차단해야 할 밸브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여 대응 방안을 제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가스공급이 중단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피해범위를 산정하여 효율적인 사고 관리를 지원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이와 함께 잔존가스량을 구하여 사고후의 대처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원격으로 가스 시설물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SCADA System)과 연계를 통하여 가스사고 후에 신속한 피해예측 및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제시 및 GPS를 활용하여 신속한 사고처리를 할 수 있는 활용 방안을 연구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가스사고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사고 후의 긴급 대처방안 뿐만 아니라 잔존가스량을 이용하여 수용가에 가스의 신속한 재공급을 위한 정보의 제공까지 한 단계 발전된 시스템의 개발이 추진되어야 한다.남산지역에 대해 정사영상과 10m간격의 DEM을 제작하였으며 1:1000 수치지도를 통해 제작된 DEM과 비교한 결과 총 43990개 격자점의 표고 차이는 평균 5.98m였다.여재 높이 100 cm에서 원수를 하향류 및 상향류로 주입하면서 하향류 20, 40, 80, 100 cm, 상향류 20, 40, 60, 80, 100 cm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원수가 주입되는 부근 여재 높이 20 cm에서 가장 많이 제거되었다. 상향류 보다 하향류로 원수를 주입했을 때 제거효율이 높았다. $Fe^{+++}$$Fe^{++}$로 환원하는 $O^{-}_{2}{\cdot}$의 작용을 대신할 수 있음을 증명하며 이와같은 ascorbate 의존적인 $OH{\cdot}$ 의 생성은 ascorbate가 조직손상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었다. 정확한 예측치를 얻기 위하여 불균질 조직이 조사야에 포함되는 경우 보정이 요구되며, 골반의 경우 골 조직의 보정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불균질 조직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요구되며, 이는 CT 영상을 이용하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전시 슬러지층과 상등액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대사열량의 발생량을 측정하고 슬러지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enin과 Rhaponticin의 작용(作用)에 의(依)한 것이며, 이는 한의학(韓醫學) 방제(方劑) 원리(原理)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理論)에서 군약(君藥)이 주증(主症)에 주(主)로 작용(作用)하는 약물(藥物)이라는 것을 밝혀주는 것이라고 사료(思料)된다.일전 $13.447\;{\mu}g/hr/g$, 섭취 7일중 $8.123\;{\mu}g/hr/g$, 절식 14일후 $10.612

  • PDF

Analysis of organic Residues from Open-Air Hearths at Nambuk-dong, Yongyu-do (용유도 남북동유적 야외노지에 대한 잔존지방분석)

  • Yun, Eun-Young;Yu, Hei-Sun;Kim, Gyu-Ho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0
    • /
    • pp.31-42
    • /
    • 2007
  • The archaeological site of Nambuk-dong, Yongyu Island, Incheon which goes back to the Neolithic making it difficult to identify character of site, To get information for identifying utility and character of Open-Air Hearths within the finds, an organic residues analysis was conducted on soil and stone sample, sterol was analysis to determine the originality of archaeological sample, then percentage of fatty acid was identify the species of sample. As a result, it is assumed that No. 9, 10, 12 finds once had shellfish-related materials remain, No. 32 find seemed to have animal materials, No. 42, 43 finds were related to plant. In conclusion, it seems that open-air hearths of Yongyu Island had utility mainly related to making seafood.

  • PDF

Analysis of Residual Fatty Acid of the Fish Bone Excavated from Bupchon-ri in Wonju(II) (법천리출토(法泉里出土) 생선뼈에 대한 잔존지방산(殘存脂肪酸) 분석(分析)(II))

  • Yu, Hei-sun;Jeong, Young-ju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2
    • /
    • pp.51-55
    • /
    • 2000
  •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residual fatty acid of the unidentified 26 fish bone samples which were excavated from Bupchon-ri in Wonju, Kangwon provi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ish kind by comparing the residual fatty acid analysis with the reference data of croaker, shark, herring and weakfish. Fatty acid was separated by gas chromatography and distribution pattern was analyzed by calculating composition of each sampl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one of multivariat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fatty acid distribution data.

The Cause of Secondary Explosion after Blasting (발파 후 2차 연소의 원인)

  • 이영호;이응소;정천재;윤종화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1 no.1
    • /
    • pp.85-94
    • /
    • 2003
  • 발파후에 2차연소 또는 폭발(이하, 2차연소라 한다. )이 일어났다는 사실은 폭약이 폭발후에 어떤 가연성가스가 발생하고 그 가연성가스가 잔존하는 폭발열 또는 기타의 점화원에 의해 연소되었음을 의미한다. 폭약이 폭발하였을 때, 발생 가능한 가연성물질은 유리탄소, 일산화탄소, 수소 등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실험결과에서는 가연성물질의 주성분이 수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에멀존계 함수폭약이 산소평형, 알루미늄함량, 알루미늄형태와 크기 그리고 포장지의 두께에 따라 수소가 발생되는 양을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의 열거한 요인들은 모두 수소발생량과 관계가 있는데, 이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산소평형과 알루미늄의 함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예로 알루미늄이 15%가 포함되고 산소평형이 -10인 에멀존계 함수폭약은 폭발후에 19.4%의 수소를 함유하고 있는 후가스를 발생시켰으며 이 가스를 포집하여 공기중에 방출시키면서 성냥불을 가까이 하였더니 연소가 되었다. 따라서 에너지를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의 함량을 높이고 산소평형을 지나치게 마이너스로 설계한다면, 2차연소는 언제든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알루미늄의 함량을 가능한 적게, 산소평형을 가능한 0에 가깝게 설계해야 만이 2차연소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며 ㄸ한 최적의 설계뿐만이 아니라 정확한 제조와 품질검사도 2차연소 현상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몫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