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환경개선

Search Result 84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자료-작업환경 측정방법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산업보건소식
    • /
    • no.39
    • /
    • pp.25-29
    • /
    • 1987
  • 노동부는 유해물질의 허용농도를 작업환경측정방법과 분리하여 각각의 규정을 제정함으로써 허용농도설정의 근본취지에 부합되게 하는 동시에 허용농도 제정대상 유해물질의 종류를 394종(현재 60종)으로 확대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제18조 및 동법 제31조 규정에 의한 작업환경개선 및 평가의 기준 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해물질의 허용농도를 고시 제 86-­45호로 제정하고 현행 작업환경측정방법을 고시 제 86-46 호로 개정하였으며 '87.4.1 부터 시행한다.

  • PDF

Lead time check method of User centered USN environment Cell Line (작업자 중심 USN 환경 셀 생산라인의 실시간 표준 작업시간 측정 방안)

  • Kim, Han-Woong;Hwang, Byung-Hyun;Park, Peom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1a
    • /
    • pp.246-249
    • /
    • 2008
  • 본 연구는 기존의 셀 생산라인에서 관리자가 직접 체크하기 힘들었던 부분인 표준작업시간의 측정을 USN ( Ubiquitous Sensor Network ) 환경을 통해서 측정하여 셀 생산라인의 표준작업시간 측정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측정 방법의 개선 방안으로는 셀 생산라인 내 Sensor Network 및 웹 기반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USN 환경을 통해서 작업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는 서버로 전송되어 관리자는 웹을 통해 확인, 관리 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작업시간 및 불량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시스템 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생산 관리 부분에 정보 시스템을 도입하여 관리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Performance enhancement of Grid-based Large-scale Virtual Screening Environment (그리드 기반 대규모 신약후보물질탐색환경의 성능 개선)

  • Lee, Se-Hoon;Hwang, Soo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518-522
    • /
    • 2010
  • 그리드 기반 대규모 신약후보물질탐색환경에서는 (1) 대규모의 도킹 작업을 그리드 상에 제출한 후 이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2) 실행된 각 작업들은 동시에 그리드 스토리지 및 메타데이터 카탈로그 서비스에 접근한다. 우리는 위의 두 부분에서 성능의 개선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1)의 과정에서 제출된 작업의 상태 정보를 얻기 위해 그리드 스케쥴러를 사용하던 기존의 방식은 대규모 작업 제출에 의한 부하 문제로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얻는 데 어려움이 있어 제출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2)의 과정에서는 동시에 실행된 대규모 작업들의 접근 요청이 그리드 스토리지 및 메타데이터 카탈로그 서비스에 집중되면서 이로 인해 성능 저하가 일어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환경에서 찾아낸 위의 두 가지 주요 부분에서 발견한 성능 이슈를 밝히고 또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 PDF

단조품 후처리 공정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공정자동화 시스템 개발

  • 송신우;하인철;송병석;이경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82-282
    • /
    • 2004
  • 단조품 후처리 공정은 표면처리, 자분 탐상, 수 검사, 방청, 개수계량 공정으로 이루어져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단조품 제조 산업에서는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처리 공정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표면 처리 공정에서 소재를 장입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작업자는 중량물을 개수하고, 버킷에 담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소재의 이송은 지게차를 이용하고 있어 작업자와 지게차는 같은 작업공간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Harmfulness of Silicon Oxide Dust and Measures for the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in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산화규소분진의 유해성 및 작업환경 개선대책에 관한 연구)

  • Hwang, Jeong-Su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3
    • /
    • pp.478-486
    • /
    • 2022
  • Purpose: Although the working environment is measured at the construction site, only a few noise and vibration that are typically exposed for each process are performed without measuring the working environment by segmenting the exposed harmful factors. Therefore, it is intended to find the harmfulness of silicon oxide dust, which is most exposed at construction sites, and the complementary points of improvement measure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at construction sites. Method: The status was analyzed using the actual condition survey report issued by the Korea Occupational Health Corporation and the Korea Occupational Health Association and data from the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institution, and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ules on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Result: The harmfulness of silicon oxide dust was identifi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occupational diseases against silicon dust can be reduced if the harmfulness of silicon oxide dust at construction sites is derived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actively applied at the site.

Basic Investigation for Publicity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장애인을 위한 주거환경개선 기초조사)

  • Jang, Jong-Sik;Kim, Tae-Hwan;Kim, Ji-Hyu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5 no.1
    • /
    • pp.45-53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interest rate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o establish basic data for further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y through the results. Methods : This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April 1th and May 31st 2015 and 165 questionnaires were public. The questionnaires of 165 respondents were analyzed through Cosstab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study and t-test, ANOVA analysis using SPSS ver. 18.0 Results : Looking for recognition percentage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44.8% of people reply the changing the house structure and 26.8% of people reply the cure method. in contrast to 28.5% of people reply the architect, the only 9.1% of people reply occupation therapist. the most people agree tha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s important. but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answer between sex and age. 5.9% of people reply that improving live environments may be good for improving life quality but 7.6% of people reply independency may increase, it is not important because it must need lot of money for improving live environments Conclusion : The awarenes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n short supply, but Things that are significant in the distance, the need for furthe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was broad consensus.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economic assistance and occupational therapists and incursion of correlated to require institutional support.

  • PDF

Design on Supporting Tool of Process Capability Metric for Effectiveness Process Management (효과적인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PCM(Process Capability Metric) 지원 도구 설계)

  • Yeom, Hee-Gyun;Jung, Il-Jae;Chae, Hynn-Choul;Hwang, Sun-My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7.05a
    • /
    • pp.267-270
    • /
    • 2007
  •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SPICE와 CMMI 프로세스 심사 표준을 도입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표준을 통해 효과적인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선점과 위험을 식별하고 이들 이슈들을 개발환경에 적용시켜서 조직의 비전에 대응한 작업성능을 높여야한다. 지속적인 개선을 필요로 하는 조직은 현재의 작업성능을 측정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개선점을 찾아내는 능력과 경험을 축적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SPI 모델들은 무엇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은 제공하고 있지만, 정량적인 작업성능 측정 및 특정 환경의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의 SPI를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량적인 SPI룰 위해 프로세스 측정 메트릭 정의와 심사 경험이 분석되어 활용될 수 있는 PCM(Process Capability Metric) Experience Factory 모델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