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업현장

검색결과 2,254건 처리시간 0.033초

지그비 기술을 이용한 지하광산 내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현장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eal-tim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in Underground Mines using Zigbee Technology)

  • 박요한;이학경;서만근;김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9권2호
    • /
    • pp.108-123
    • /
    • 2019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하 광산 내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실시간 작업자 위치추적, 모니터링 시스템, 원격 제어 등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광산안전관리 기술 개발이 한창 진행 중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네트워크 구축의 유연성을 위해 주로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하 광산 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한 사례들이 있지만 국내 기준에 맞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그비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국내 석회석 광산에 적용한 결과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개발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실시간 통기 모니터링 인터페이스인 $VentSim^{TM}$ LiveView와 연동하여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통기 설비 제어 등 광산 통기 시스템 최적화에 관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외팔보 엑츄에이터 시스템 구조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System and Implementation of Cantilever Actuator System)

  • 윤근영;백수황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651-656
    • /
    • 2019
  • 본 논문은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외팔보 엑츄에이터 시스템 구조 및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외관 자재들 중 특히 유리의 경우 외부 노출로 인해 단기간에 오염이 된다. 이와 같은 오염물질은 미관상의 퇴색은 물론 사용자에게 보건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태양광 패널에 대한 수요가 많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은 먼지 등에 의해 감소될 수 있으며, 입사량의 감소는 결국 발전량을 저해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전문 작업자가 외벽에 붙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경우가 많은데,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하더라도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돌발 변수로 인해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외팔보 엑츄에이터 구조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외팔보 엑츄에이터에 대한 구조적인 시스템을 구성하고 시제품을 제작하여 동작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외팔보 엑츄에이터의 오염물질 제거에 대한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시민참여형 초학제적 연구의 성격: 비판적 문헌연구 (Characteristic of Citizen Participatory Transdisciplinary Research: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 임홍탁;송위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37-179
    • /
    • 2019
  • 본 연구는 아직까지는 생소한 초학제적 연구, 특히 시민참여형 초학제적 연구의 기본 성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일반시민이 참여하는 과학기술지식생산의 방식, 성과물의 성격을 파악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문의 두 가지 핵심질문 중 첫 번째 질문은 지식의 생산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시민들과 과학자들이 어떤 방식을 통해 지적인 측면의 공동작업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며, 두 번째 질문은 초학제적 연구의 결과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R&D는 논문과 특허 등이 기대되는 주요 성과물이라 할 수 있는데, 초학제적 연구에서는 다른 결과물도 발생하는 지 살펴보는 것이다. 모드 2 논의, 지식의 종류와 학습방식, 과학기술지식이 종종 새로운 사회질서와 함께 만들어진다는 공동생산 논의 등 기존의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일반시민, 현장종사자들의 입장에서 초학제적 연구의 성격을 밝히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UHD(Ultra High Definition)영상기술이 다큐멘터리 제작과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UHD(Ultra High Definition) Video Technology on the Documentary Production Process)

  • 전민규;최원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13-515
    • /
    • 2014
  • 차세대 영상기술인 Ultra High Definition(이후 UHD)는 보다 높은 임장감을 향해온 제작자와 수용자의 오랜 요구 속에서 태동했다. 역사를 통해 입증되듯이 매체의 변화는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과 구체적인 콘텐츠의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UHD의 등장도 독자적인 제작기술이 요구되리라 예상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상콘텐츠 가운데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UHD영상기술에 따른 제작과정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보다 세부적으로 고해상도, 확장된 화면 등의 UHD영상기술이 다큐멘터리 영상제작에서 가져올 변화와 사실성의 전달이라는 다큐멘터리와의 합목적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문제점으로 예상되는 촬영소재의 선택, 방대해진 데이터에 따른 백업과 후반작업 상에서의 개선점에 대해서도 탐구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계획을 통해 다큐멘터리 제작에서의 UHD영상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발전적 측면을 도출하여 기술의 발전에 따른 콘텐츠 제작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비즈니스 문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RPA(Robotics Process Automation)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PA(Robotics Process Automation) For Productivity Of Business Documents)

  • 현영근;이주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199-212
    • /
    • 2019
  • 디지털화(Digitalization)가 우리의 비즈니스 환경에 다양한 변화와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제조업에서는 오래전부터 자동화를 위해 로봇을 활용하여 처리속도 및 품질에 혁신을 이루었다. RPA는 이러한 제조현장의 혁신을 사무공간으로 가져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공간에서 단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업무에 대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생산성 향상과 관련하여, 비즈니스 자동화(Business Automation)에 대한 개념을 살펴본 후, 비즈니스 문서 작업과 관련하여 자동화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5가지 업무영역을 대상으로 애자일 방법론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품질점검 관련 97.3%, 편집 디자인 관련 31.7%의 생산성 향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방향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IPA(Intelligent Process Automation)의 적용방안에 대해 진행하고자 한다.

가상현실 용접 훈련을 위한 쉐이더 기반 특수효과 표현 (Visualization of Welded Connections based on Shader for Virtual Welding Training)

  • 오수빈;조동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79-481
    • /
    • 2019
  • 최근, 가상현실(VR)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의 훈련 시스템을 제작하여 교육에 널리 활용하고 있다.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스템은 안전할 뿐만 아니라 재료의 낭비도 없고, 언제 어디서든 실습을 해 볼 수가 있어서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가상현실 용접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몰입형 환경에서 철판 모재의 접합을 실제와 같이 수행할 수 있어서 현장 작업자 및 신입 교육 훈련에 널리 쓰이고 있다. 이 때 철판 모재 접합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훈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중요하지만 기존의 기술로는 접합의 효과를 자연스럽게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용접 훈련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접합 효과를 쉐이더 기반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경험 DB와 수학적 모델 기반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논문의 결과를 용접 훈련 시스템에 적용하면 철판 모재의 접합 가시화를 사용자에게 정밀도 높게 제공하여 용접 훈련 효과를 보다 향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겠다.

  • PDF

타워크레인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아두이노 기반 구조적 안정성 탐색 (Exploring Structural Stability using Arduino for the Prevention of Tower Cranes' Safety Accident : focused on ardu)

  • 김준석;이원희;김성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31
    • /
    • 2019
  • 건설 현장에서는 건설 기계의 운전 미숙, 안전 설비 미비 등으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 중 타워크레인에 대한 안전사고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워크레인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 장치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안전 장치를 탐색한 후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타워크레인 모형을 제작하였다. 물건의 무게, 추의 무게 그리고 중심 축과의 거리를 변인으로 한 실험과 돌림 힘 공식에 따라 기존 안전 장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안전장치로서 이동형 추를 제안하였다. 이는 타워 크레인의 인양거리 범위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에서 벗어나 보다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인공지능 기반 플랜트 도면 내 심볼 객체 자동화 검출 (Automatic Recognition of Symbol Objects in P&I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신호진;전은미;권도경;권준석;이철진
    • 플랜트 저널
    • /
    • 제17권3호
    • /
    • pp.37-41
    • /
    • 2021
  •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는 플랜트의 장치 및 계장 정보를 집약적으로 담고 있는, 엔지니어링 핵심도면이다. 한 장의 P&ID에는 심볼로 표현된 수백 여개의 정보들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디지털 전산화 작업이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기존 연구들은 CNN 모델을 이용하여 도면 객체 검출에 성공하였으나, 도면 한 장당 약 30분, 인식률은 90% 정도로 현장에서 구현하기에는 부족한 성능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역 검출과 객체 인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1-stage 객체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미지 레이블링 오픈소스 툴을 이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고 딥러닝 모델 학습을 통해 도면 내 심볼 이미지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공공삼각점 위치자료를 이용한 DEM의 위치 정확도 향상 (Accuracy Improvement of DEM Using Ground Coordinates Package)

  • 이효성;오재홍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67-575
    • /
    • 2021
  • 고해상도 스테레오 위성영상에서 제공되는 초기 RPC의 보정과 이로부터 생성된 DEM 보정을 위해서는 지상기준점 획득이 선행되어야 한다. 기준점 획득은 현장답사와 GPS 측량, 지상기준점에 대응하는 영상좌표 독취 등을 수행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그리고 접근이 힘들거나 불가능한 지역(갯벌, 극지대, 화산지대 등)에는 기준점 설치와 측정이 힘들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WorldView-2 위성영상과 초기 RPC로부터 제작된 DEM 보정을 위해 기준점의 지상좌표와 영상좌표 측량을 피하고 기 구축된 지상좌표 패키지만을 활용한 3차원 표면매칭 기법을 제안한다.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에서 공공삼각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제작된 DEM과 3차원 표면매칭을 실시하여 DEM을 보정하였다. 3차원 표면매칭으로 얻은 3축 이동과 회전량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검사점으로 확인한 결과 평면오차는 2 m, 수직오차는 1 m 이내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일개 대학의 선행 현장수업의 필요성과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Needs of Prior Field Learning in a College)

  • 이재홍;박은미;김상수;권원안;김한수;정태은;최한성;김인규
    • PNF and Movement
    • /
    • 제12권2호
    • /
    • pp.81-88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eds of prior field learning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a college.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May 1 to October 30, and students were given questionnaire. The research questionnaire as follows: (1) to investigate the academic achievement after field experience learning, (2) to verify the needs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7.0 for window version. Results: The results was as follows : First, satisfaction of field learning had scored good(47.2%) in lesson goal, good(51.8%) in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echniques, good(51.0%) in preparation of study and good(45.9%) in association. Second, curriculum of field learning had scored normal(35.5%) in prior education, good(47.4%) in composition, good(50.8%) in guidance and good(47.2%) in contents. Third, curriculum of field learning had scored good(44.6%) in duration, good(46.1%) in numbers, good(51.3%) in convenience and normal(38.1%) in means of transportation. Forth, needs of field learning had scored good(46.6%) in field learning of practicum, good(48.2%) in field learning of theory subject, 3-4 times(42.0%) in frequency of field learning and 2hours(57.3%) in a field learning hour.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 thinking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is positive. Field experience learning provided that college students have directly an opportunity of gaining valuable experience to feel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