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초 추출액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자초 추출액을 이용한 염색직물의 항균성 및 소취성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Deodorization of Fabrics Dyed with Lithospermi Radix Extract)

  • 박영희;남윤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0-66
    • /
    • 2003
  • This study shows the colorfastness, antibacterial activity, and deodorizing effect about cotton and silk fabrics dyed with Lithospermi Radix Extract. In the case of colorfastness, the light colorfastness showed the lowest grade, the other colorfastness was relatively good.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fabrics and mordants. In the case of antibacterial activity to Staphylococcus aureus, the cotton fabrics had the most antibacterial effect at the dyed fabrics that had been mordanted SnC1$_2$ㆍ2$H_2O$, and the silk fabrics had the most antibacterial effect at the dyed fabrics that had been mordanted A1($CH_3$COO)$_3$. In the case of deodorizing effect, the cotton fabrics showed the most deodorizing effect at the dyed fabrics that had been mordanted SnC1$_2$ㆍ2$H_2O$, and the silk fabrics showed the comparatively high antibacterial effect at the dyed fabrics that had been mordanted both SnCl$_2$ㆍ2$H_2O$ and Al($CH_3$COO)$_3$.

수삼부패억제 활성물질 선발연구 (A Study on Suppression Components of Spoiling Ginseng)

  • 손현주;주인선;성창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67-73
    • /
    • 1999
  • 수삼부패와 관련된 미생물을 선발 및 동정한 결과 부패한 수삼으로부터 20종의 미생물을 분리하고 이중 수삼을 빨리 부패시키는 균주 6종(세균 5종,사상균 1종)을 분리하였다. 수삼부패 세균은 Pseudomonas putida, Pseudomonas putidaa biotype A, Bacillus spp., Enterobacter cloecae 및 Klebsiella pneumoniae로 각각 동정되었으며, 수삼부패사상균은 Rhiaopu oryzae로 동정되었다. 이중 수삼부패를 가장 빨리 일으키는 균주는 Bacillu spp.이였다. 수삼부패 억제물질을 선택하기 위하여 생약추출물과 정유 50여 종으로부터 가자 및 오미자의 물추출물과 감국, 누노, 선복화, 자초 및 지유의 정유를 Bacillus spp.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한 물질로 선발하였다. 이 중 가자추출물과 오미자추출물은 Bacillu spp의 생육을 크게 억제하였다. 특히 가자추출물은 천연 보존제로 시판되고 있는 DF-100(자몽씨 추출액)과 비슷한 수준의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가자추출물의 항균활성물질은 약한 지용성을 띠는 극성의 산성물질로 판단되며 현재 이물질을 분리,정제 중에 있다. 수삼을 가자 추출물의 $1\%$수용액에 5분간 침지하였으나 $30^{\circ}C$에서 보관하였을 때 Bacillus spp에 의한 부패가 다소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가자 및 오미자의 물추출물과 감국, 누노, 선복화, 자초 및 지유의 정유를 수삼부패 억제활성물질로 선발하였으며 앞으로 원료삼(수삼)의 장기저장에 이들 생약추출물의 활용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김치의 보존성 증진을 위한 자초.감초의 혼합 첨가와 Chitosan 침지 효과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Glycyrrhiza uralensis and Dipping of Chitosan on Shelf-life of Kimchi)

  • 이신호;조옥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67-1372
    • /
    • 1998
  • 한약재 혼합 효과와 chitosan 병용효과가 김치의 보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초·감초 추출액 혼합 첨가(LG)와 절임 배추를 1% chitosan 용액에 침지 후 혼합 한약재를 첨가한 김치(LGDC)를 $10^{\circ}C$에서 25일간 발효시키면서 김치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김치 숙성 중 pH, 산도 총균수, 유산균수, 유산균 분포의 변화, 색택, 기호성을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 LG군과 LGDC군은 대조구와 비교시, pH 감소속도는 완만하였고, 산도증가도 더 낮게 나타났으며, 총균수, 유산균수, Leuconostoc sp., L. plantarum 균수의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LGDC군은 그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특히 Leuconostoc sp., L. plantarum과 김치 유산균에 대해 초기부터 높은 억제능을 나타내었으며 이로써 chitosan에 대한 유산균 특이성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김치의 관능검사 결과 신맛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향, 종합적 기호도 등은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자초, 감초 및 chitosan은 김치 숙성을 지연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항균활성이 있는 한약재의 복합첨가가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xed Medicinal herb Extract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Shelf-life of Kimchi)

  • 이신호;조옥기;최우정;김순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04-1408
    • /
    • 1998
  • 울금과 자초, 자초와 고삼, 고삼과 감초, 감초와 오미자 추출물 혼합액 1% 첨가가 배추김치의 보존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10^{\circ}C$에서 25일간 숙성시키면서 조사하였다. 김치의 pH와 산도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한약재 추출물을 혼합 첨가한 김치는 대조구에 비해 이의 속도가 매우 완만하게 나타났다. 특히 SG, GS 첨가구의 pH 감소속도와 산도 증가속도는 매우 느려 pH는 숙성 20일경 각각 4.19, 4.16을 나타내었고, 산도는 0.62, 0.64%를 나타내었다. 미생물 변화는 한약재 추출물 혼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균 성장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특히 GS, SG 첨가 김치는 적숙기인 숙성 15일째 대조구에 비해 총균수는 각각 1.3, 1.32 $log_{10}$ cycle, 유산균수는 1.24, 1.14 $log_{10}$ cycle 정도 억제되었다. 김치의 신맛은 김치 적숙기인 $10{\sim}15$일경 대조구에 비해 한약재 추출물 첨가구에서 약하게 나타났으며, 종합적인 맛은 한약재 고유의 향과 맛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나쁘게 나타나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식물체(솔잎, 자초)의 에탄올 추출물이 유탁액의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s in Pinus densiflora, Lithospermum erythrorhizon on the Lipid Oxidation of Oil Emulsion)

  • 김수민;조영석;성삼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84-989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n lipid oxidation of oil emul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for hydroxyl radical was found, and plant extract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strong chelating agents to bind iron if Fe2+ ion exists in oil emulsion. Pinus densiflora(PD), Lithospermum erythrorhizon(LE) and PD+LE acted as strong chelating agents to bind iron to reduce lipid oxidation in oil emulsion. The content of Fe2+ ion in ethanol extracts from LE and PD+LE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at of ethanol extracts from PD. The content of total iron has same tendency. The ascorbic acid content of PD(16.36ppm) was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LE(13.08ppm).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D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ose of LE. However, the superoxide(SOD) like ability of LE showed a little higher than those of LE and PD+LE, which means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of LE.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s were dependent on pH value, however, they decreased as pH value increased. Especially, they almost didn't show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in pH 6.0. In conclusion, the PD and LE extracts may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 sources to reduce lipid oxidation in oil emulsion.

  • PDF

민속주 부재료로 이용되는 식물성 방향재료 및 약용재료중의 Asarone, Coumarin, Thujone의 분석 (Analysis of Asarone, Coumarin and Thujone in Medicinal Plants Used in Brewing a Korean Traditional Folk Wine)

  • 조정옥;김선민;김경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10-217
    • /
    • 1999
  • 전통민속주 제조에 이용되는 부재료 가운데 휘발성 향기성분인 asarone, coumarin, thujone등 식품에 허용기준이 제한된 독성 관련 향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성 방향재료 및 약용재료를 확인, 분류하기 위하여 이들의 20% ethanol 추출액으로부터 고상추출(solid phase extraction)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을 흡착, 용리시킨 후 GC-FID와 GC/MS로 검출, 확인하였다. 조사대상 87종의 식물성재료 중 창포(Acorus asiaticus Nakai),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er), 당귀(Angelica gigus Nakai), 백단향(Santalum album) 등 6종에서 asarone이 검출되었으며, coumarin은 소회향(Anethum graveolens), 회향(Foeniculum vulgare Gaertner), 자초(Lithosperum erythrorhizon Siebold et Zuccarinii) 등 22종에서 검출되었다. 한편, 우실(Achyranthes japonica Nakai), 사인(Amomum xanthiodes Wallich), 약쑥(Artemisia asiatia Nakai), 대마자(Cannabis sativa L.)씨, 골담초(Caragana sinica R.), 국화(Chrysanthem morifolium Ramat), 사삼(Codonopsis lanceolata Bentham et flooker), 회향(Foeniculum vulgare Gaertner) 등 24종에서는 thujone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