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성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에 미치는 영향분석: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성 척도를 중심으로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on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of undergraduates: focus on meaning of volunteering)

  • 허성호;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2호
    • /
    • pp.133-15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의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의 15문항의 의미성척도를 개발하였고, 428명(남 193, 여 235)의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거쳐, 280명(남 124, 여 156)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 947명(남 461, 여 486)을 대상으로 봉사활동 전/후 태도변화와 자원봉사활동 의미성이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 검증하였으며, 태도변화로는 자기개발요소와 사회성개발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자기개발요소는 자기평가, 자아존중감, 삶의 질로 구성하였고, 사회성개발 요소는 타인수용, 공동체의식, 민주시민의식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자원봉사활동 전/후의 태도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성이 갖는 설명력은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 봉사활동은 실천한다는 그 자체로는 효과가 없으며, 봉사활동 실천 후의 심리적인 만족도에 해당하는 의미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내재화하는 가치와 그들이 기대하는 자기개발 및 사회성개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노인의 지속적 자원봉사활동 경험 : 현상학적 연구 (Continuous Volunteering Experience in Elderly People : A Phenomenological Research)

  • 유정숙;김가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3호
    • /
    • pp.247-270
    • /
    • 2010
  • 본 연구는 노인의 지속적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그들의 삶에 부여하는 의미와 본질은 어떤 것인가를 이해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짧게는 6년, 길게는 23년 이상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전라북도 거주 노인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마음에서 우러나옴', '노후에 새로운 삶을 발견함', '아낌없이 주는 즐거움', '삶의 중심으로 들어온 봉사활동', '쉼 없는 봉사활동'이라는 5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본질적 주제는 '다시 찾은 활기 찬 삶의 기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노인의 지속적 자원봉사활동 경험의 본질은 '성공적 노후생활의 구성요소'와 대체로 일치한다. 따라서 자원봉사활동이 '개인적 차원의 선행'이라는 의미에서 '성공적 노후생활'의 실현을 위한 사회적 차원의 조건이라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는 인식론적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국가 및 공공차원의 지원 대책이 적극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자원봉사활동 직무특성이 활동만족도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n the Work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Will by Volunteer's Job Characteristics)

  • 강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22-330
    • /
    • 2012
  • 본 연구는 Hackman and Oldham의 직무특성이론에 근거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원봉사활동 직무특성이 활동만족도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내 6개 대학의 대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자원봉사참가율은 평균 71.6%로 나타났으며, 자원봉사활동의 직무특성과 활동만족도, 지속의지는 중간값 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 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직무특성의 효과에서는 기술다양성과 과업정체성, 피드백이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의지에 대해서는 자율성을 제외한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피드백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분석을 통해 자원봉사 활동만족도가 높으면 지속의지 역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관리자는 자원봉사활동의 직무를 직무특성이론에 기초하여 설계(design)함으로써 의미충만감이나 책임감, 결과의식을 높여서 최종적으로는 자원봉사를 통한 동기부여와 성과 향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자원봉사자의 활동참여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 -안산시 자원봉사센터 봉사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vergenc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Focused on Ansan Volunteer Center-)

  • 김영익;최영창;최윤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41-50
    • /
    • 2015
  • 이 연구는 자원봉사활동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영향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독립변수로 개인특성변인, 참여관련변인, 관리과정변인 등 융복합적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수은 지속적 참여의 두 가지 차원인 지속적 참여의사, 참여강도의 두 가지 차원으로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고 지속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높은 자원봉사에 대한 행동의사를 나타내고 있는 주부들에 대한 자원봉사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홍보방안이나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을 주관하는 기관에서는 월평균 참여횟수가 3회이상, 1회 활동시간이 3시간 이상으로 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원봉사활동 참여자들이 자원봉사활동이 지역사회의 발전과 공동체 발전의 원동력임과 자신의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의미있는 활동임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식시키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자원봉사활동 주관 단체는 활동 참가자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노력들을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지능정보사회기반에서 나타나는 중년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이 인지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volunteer activities on the cognitive health of middle-aged women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infrastructure)

  • 심영실;김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11-18
    • /
    • 2018
  • 지능정보기반의 신기술 사회변화 속에서 중년의 건강에 대한 연구는 우울과 안녕감 등 정신적인 건강 등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인지건강에 대한 구체적인 척도로 구성된 연구의 필요성도 요구된다. 이 연구는 인지건강의 하위영역으로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 인지건강의 내용을 포함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자원봉사활동이 인지건강에 얼마나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지건강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서 중년여성에게 얼마나 바람직하게 작용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40세에서 59세까지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자원봉사활동이 중년여성의 인지건강에 긍정적으로 작용되는지에 대해 검토하고 중년여성의 바람직한 삶의 유지와 노년의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와 영향요소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중년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이 다양하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하는 필요성을 인식조사를 통해 검증하여 도출하였다.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주관적 자아인식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Experience and Subjective Self-awareness)

  • 조지용;임효남;김두리;강경희;김설희;김용하;이종형;안상윤;김광환;송현동;황혜정;김문준;박아르마;구진희;장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449-460
    • /
    • 2021
  •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 의미를 살펴보기 위하여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주관적 자아인식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에 따라 할당표집방법으로 312명의 자원봉사활동 경험, 사회적 지지인식이 자아정체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경험자의 경우 전문적인 봉사활동을, 자원봉사비경험자는 비교적 단순한 봉사활동 참여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활동 경험여부에 따라 사회적지지와 자아정체성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과 자원봉사 참여여부, 자원봉사 참여의지수준을 비롯한 사회적지지는 연구대상의 자아정체성을 예측하는 설명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아인식을 긍정적으로 촉진시기기 위한 자원봉사활동은 사회적 의미 부여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생애주기에 따른 자원봉사 실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정책적 제언으로 성인기부터 노년기까지 웰에이징을 위하여 건강한 자아형성이 가능하도록 봉사활동의 요구도를 면밀히 분석하여 능동적 여가활동으로서 자원봉사 동기강화 정책과 제도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기업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ponses after Volunteering Activities among Corporate Volunteers)

  • 황창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492-506
    • /
    • 2016
  • 본 연구는 기업자원봉사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한 다음에 보이는 차등적인 반응에 주목하여 어떤 요인이 차등적인 반응에 기여하는가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원봉사에 대한 긍정적 반응은 만족도와 기여도로, 부정적 반응은 소진으로 개념화하였다. 자원봉사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가족의 지지, 회사의 자원봉사 지원제도, 그리고 자원봉사현장에서의 다양한 인간관계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250명의 기업자원봉사자를 표본으로 선정했으며 설문조사로 수집한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의 지지는 자원봉사에 대한 반응에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회사의 자원봉사지원 제도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봉사현장에서의 봉사대상자와의 관계와 기관의 자원봉사 담당자와의 관계는 자원봉사만족도와 인지된 기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정적 반응인 소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결과의 함축성으로 기업의 경우 기업자원봉사자를 적극적으로 동기화시키는 봉사지원제도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영리조직의 자원봉사관리자의 경우 자원봉사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인간관계의 영향과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기업자원봉사자의 만족도와 인지된 기여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봉사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질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Hospice Volunteers)

  • 심세화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1호
    • /
    • pp.45-60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한국 호스피스의 실천 현장에서 자원봉사자들의 세밀한 봉사활동 경험과 호스피스 팀 활동에 따른 상호작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시행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스피스 정책 입안자들과 행정가들 그리고 관리자들에게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의미와 자원봉사자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으로써 향후 한국 호스피스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기여를 행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 호스피스의 제도화된 4가지 유형(분산형 가정형 병동형 독립형)에 대해 심층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시행하였다. 질적 접근의 엄격한 연구방법 중 하나인 "사례 분석"과 관련해서, 연구 참여자들을 선정한 후 심층 인터뷰를 행하였고, 인터뷰 결과는 '사례 내분석'과 '사례 간 분석'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은 '종교적 신앙심'에 의해 이 일을 시작하였고, 그토록 힘든 봉사활동을 지속시키는 힘 또한 '신앙심'이라고 했다. 따라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활동 경험의 본질은 "종교적 신앙심에 의한 일 나를 위한 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들의 봉사활동 경험의 특성은 "아무런 대가 없이 행하는 진정한 봉사 아무나 할 수 없는 전문적인 봉사"로 나타났다. 덧붙여서, 호스피스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스스로가 달라진 점으로는 "내적 성장 - '좋은 죽음'의 의미에 대한 자기 성찰 -과 영적 다양성 존중의 중요성인식"이라고 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 호스피스의 실천가들과 정책 전문가들에게 호스피스 팀의 일원으로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의미와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시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 호스피스의 성공과 한국인들의 좋은 죽음 성취를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농촌·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oductive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Comparative Study between Rural and Urban Elderly)

  • 이혜자;전동일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419-437
    • /
    • 2011
  • 본 연구는 농촌지역과 도시지역 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생산적 활동 중 경제적 활동과 보살핌노동활동은 부적 인과관계를 나타낸 반면 사회참여활동은 정적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산적 활동 개념이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생활만족도에 있어 단일차원성을 확보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또한, Chow 검증한 결과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 계수의 구조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생활만족도의 설명 요인의 차이에 대해 삶의 만족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심리적 요인이 도농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결과로 해석하였다. 발견점은 노인들은 단체를 통한 자원봉사 활동 보다 개별적인 자원봉사가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기부와 자원봉사에의 참여 행동에 관한 연구 -누가 선택적으로 참여하고 누가 결합적으로 참여하는가?- (An Empirical Exploration on Selective & Combined Giving -Comparison of General Participation and Intensive Participation-)

  • 강철희;유재윤;박소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2호
    • /
    • pp.273-298
    • /
    • 2012
  • 본 연구는 나눔행동이 선택적으로 혹은 결합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나눔행동을 네 가지(비참여, 기부에만 참여, 자원봉사에만 참여, 기부와 자원봉사 모두 참여)로 세분화 한 후 다양한 형태의 나눔행동에의 영향 요인을 탐색해 보았다. 분석을 위해서는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고, 자료로는 서울복지패널 1차 및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다양한 나눔행동에의 참여여부 및 정기적 참여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과거의 나눔경험과 종교활동은 현재의 나눔행동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중, 성별(여성), 소득수준(+), 교육수준(+), 취업상태 등은 기부와 관련된 나눔행동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상태의 경우 미취업은 자원봉사행동과, 취업은 기부행동과 보다 큰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주관적 행복감 역시 기부와 자원봉사 모두에의 정기적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과되어온 질문인 '누가 각기 다른 형태의 나눔행동에 참여하는가?'와 관련해서 이의 영향 요인을 종합적으로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지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