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원동원성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6초

대학 펜싱선수들의 심리교육 효과: 자원동원성 수준에 따른 심리기술과 자기관리행동의 변화를 중심으로 (The change of Psychological skills strategy and Self-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Resourcefulness of Fencing-Athlete)

  • 이현영;장덕선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5호
    • /
    • pp.251-2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학 펜싱선수들을 대상으로 심리교육을 중재한 후 자원동원성 수준에 따라 심리기술과 자기관리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탐색하여 참여자의 심리적 역량에 따른 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 펜싱 선수(남 10명, 여 10명) 2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리교육은 지도자와 참여자에게 동의를 구한 후 팀의 훈련 및 시합일정을 고려하여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시행시간은 주 1회, 60-9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심리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1회기와 12회기에 자원동원성, 심리기술, 자기관리행동을 탐색하였다. 특히 자원동원성은 연구 참여자들의 사전 평균점수를 기준으로 고/저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동원성 고집단에서는 심리기술 하위요인 중 집중력, 심상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저집단에서는 극복의지, 목표설정, 자신감, 집중력, 심상 요인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둘째, 자원동원성 고집단에서는 자기관리 하위요인 중 몸관리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고 자원동원성 저집단에서는 훈련관리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 자원동원성 수준에 따라 다른 변화를 보였다.

비영리 사회복지조직의 재정자원동원 효과성과 조직의 관리능력 (Does Organizational Capacity Explain Fundraising Effectiveness in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 노연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3호
    • /
    • pp.5-26
    • /
    • 2006
  • 본 연구는 어떠한 요인들이 비영리 사회복지조직의 자원동원활동의 효과성을 설명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도권 지역의 사회복지조직에서 자원동원활동을 수행한 적이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의 일반 특성과 자원동원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조직의 관리능력이라는 새로운 요인을 투입하여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영리 사회복지조직에 있어서 자원동원활동의 효과성은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는 조직의 일반 및 자원동원관련 특성과 같은 객관적 조건보다 조직이 구체적인 기법을 활용하는지 그리고 조직이 이 활동을 어느 정도 지원하는지를 보여주는 조직의 관리능력이라는 주관적 조건이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결과는 실천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자원동원을 위해서는 조직의 적절한 지원과 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지닌다.

  • PDF

과거 재난사례를 통한 침수지역 자원동원 현황 분석 (Analysis of Resource Mobilization in Inundation Area through Past Disaster Events)

  • 장하영;김연수;장대원;김덕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4-404
    • /
    • 2023
  •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 등 기상이변의 영향으로 침수피해의 위험성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고,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 녹지공간의 감소, 도시의 난개발 등 물순환 체계의 왜곡에 따른 침수로 인한 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침수 발생 시 막대한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에 재난초기에 재난관리자원의 신속한 확보와 동원은 피해확산 방지에 매우 중요하고, 자원의 부족이나 동원의 지연으로 초기 대응이 늦어질 경우 피해가 확대될 수 있기에 침수발생 특성에 따른 필요 자원의 비축 및 동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재난관리자원은 종류가 다양하고 요구되는 비축량이 많기에 모든 재난관리자원을 보유하고,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침수피해재난을 중심으로 최적 자원 비축을 통한 효율적인 재난관리자원 운영 및 관리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20년(2001년~2020년) 동안 발생한 침수피해 관련 재난(호우, 태풍, 풍랑)사례를 통해 재난발생 시 동원된 자원현황을 분석하였다. 재해연보, 관련 백서 및 보고서, 침수흔적도 등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지자체 침수피해 현황을 분류하고, 침수재난과 관련된 자원의 비축 및 운용 사례 분석을 통해 장비 28종, 자재 6종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침수재난 발생 시 지자체별 침수피해 규모와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을 도출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으며, 향후 재난관리자원의 효율적인 비축 및 관리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재난관리자원 비축 및 동원 체계 연구 (A Study of the stockpile and mobilization framework for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 Lee, Changyeol;Kim, Taehwan;Park, Giljo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376-384
    • /
    • 2015
  • 재난 발생 시 신속히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을 투입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체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재난 발생 시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의 유형과 해당 필요량에 대하여 객관적 정보가 부족하여 현장 담당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해당 자원에 대한 보유기관과 해당 기관과의 응원 요청, 동원과 보상에 대한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축과 동원에 대한 기존 체계에 대한 분석과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방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비축과 동원에 대한 샘플 사례 분석과 가이드라인 수준의 방향성 제시로 한정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실제적인 비축 기준을 작성하는 것은 각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결정하여야 할 문제이다.

자원동원성 (Resourcefulness)의 개념 분석 (Resourcefulness : A Concept Analysis)

  • 서순림;박영임;김성재;김인자;구미옥;양영희;이은남;박송자;최은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29-340
    • /
    • 1997
  • Resourcefulness was analyzed by Walker and Avant's method to mak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nursing. Also, the appropriate Korean terminology was identified.“Resourcefulness”means the ability to use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to eliminate or to control stress. '자원동원성' is chosen to be the most appropriate term to reflect the concept of resourcefulness. Upon the concept analysis, availability, controllability, confidence, and self-instruction were identified as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resourcefulness. Contrary to other work, "availability" means the ability to use the social resources as well as the internal cognitive-behavioral resources. “Controllability” means the ability to delay or control immediate gratification of one's needs or to divert one's own mood in order to solve problem. "Confidence" is the self-efficacy belief in one's control ability. "Self-instruction" is the cognitive ability to instruct oneself positively. Resourcefulness is learned by active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and formal or informal instruction, and it is cued in the presence of a stressful situation or a need for change. As a result of the use of resourcefulness, the target behavior performed immediately and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r adap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instrument including the defining attributes identified in this study. Also,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analyze the related concepts of self-efficacy, self-control, and self-regulation for appropriate use.

  • PDF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자원동원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Clinical Nurses' Emotional Labor and Resourcefuln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 강소라;김윤정;서형은;방윤이;이건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02-311
    • /
    • 2017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감정 노동과 자원동원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예측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한지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38명이고, 자료 수집은 2016년 4월 10일부터 17일까지 온라인상에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와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감정노동은 연령, 결혼 유무, 직위, 임상 경력, 교대근무에 따라, 자원동원성은 성별과 임상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직 의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회귀 분석 결과에서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로는 감정노동(${\beta}=.19$, p=.048), 자원동원성(${\beta}=-.18$, p=.038)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이 이직 의도를 설명하는 정도는 3.7%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해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자원동원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병원 조직 관리차원에서 이를 활용하여 전략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다면 병원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회운동의 공간성: 사회운동연구에 있어서 지리학적 기여에 대한 탐색 (Towards the Spatiality of Social Movements: Exploring Geographical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Social Movements)

  • 정현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70-490
    • /
    • 2006
  • 본 논문은 현대 사회운동 연구의 대표적인 접근법인 자원동원이론, 프레임이론, 신사회운동이론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비교 고찰하며 이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사회운동의 공간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현대 사회운동 연구의 주류 패러다임을 형성해 온 자원동원이론과 프레임 이론은 최근 논쟁정치 연구로 통합되고 있는데 이들은 사회운동의 동원과 전략, 정치적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운동의 원리와 일반적인 법칙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사회운동의 전략적인 측면에 치우쳐 사회운동의 동인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하지 못하였고 이는 사회운동의 과정과 맥락에 대한 인식부족을 가져왔다. 신사회운동 이론은 새로운 사회운동의 발발을 거시적이고 구조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으나 추상적이고 대상지역이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를 노 정해 왔다. 사회운동의 공간성에 대한 연구는 사회운동의 지역적 차이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며 사회운동을 촉발시킨 갈등구조가 형성되고 집단행동이 조직되는 국지적 맥락에 대한 풍부한 통찰력을 제공해 준다. 또한 공간의 물리적 구조와 상징성은 운동의 규모와 방법을 제한하며 사회운동에 의해 활용되기도 하는 전략적 매개체이다. 사회운동의 공간성은 사회운동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설명해주는 유용한 개념이 될 수 있다.

간호사의 자원동원성, 의사소통유형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Resourcefulness and Communication Style on Nursing Performance in Hospital Nurses)

  • 이혜순;옥지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53-260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mpact of resourcefulness and communication style on nursing performance in nurses working in hospitals. Method: Thoug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312 nurses were recruited between from July 4 and 17, 2011.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items on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resourcefulness, communication style, and nursing performanc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performance and resourcefulness ($p$<.001), informative communication style ($p$<.001), affiliativeness communication style ($p$<.001), and dominance communication style ($p$<.001). 2) The nursing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in current department, resourcefulness, informative communication style, affiliativeness communication style, and dominance communication style in capability which explained 45.6% of variance in nursing perform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a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fulness, communication style, and nursing performance in hospital nurses indicating the need to use the study results to plan programs to prompt nurses in their use of resourcefulness and communication style in nursing care.

일부 병원 간호사의 기분상태, 자원동원성 및 건강지각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Hospital Registered Nurses - Mood States, Resourcefulness, and Health Perception -)

  • 윤은자;김희정;전미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8-208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mood state, resourcefulness, and health percept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hospital nurses. Methods: Convenience sampling was conducted for nurses working at three University hospital and 336 nurses were se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core for nurses' mood state was $41.76{\pm}18.90$; for resourcefulness, $11.30{\pm}20.63$; for health perception, $3.32{\pm}.77$, and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111.55{\pm}17.76$. Mood state, resourcefulness, and health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the effects of nurses' mood state, resourcefulness, and health percept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27.8%. Conclusion: Study results indicate that better mood state, higher resourcefulness, and higher health perception result in more health promoting behavior.

지역별 메가가뭄 복원력 정량화를 위한 AHP기반 인자 가중치 결정 (Determination of AHP-based factor weights for quantification of regional mega-drought resilience)

  • 이찬욱;문기훈;유도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1-361
    • /
    • 2021
  • 가뭄의 경우 타 자연재난에 비해 발생경로, 피해범위, 발생기간 등이 매우 다양해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극한가뭄에 대비한 지자체별 가뭄 역량 평가를 수행하는 것은 재난관리에 있어서 최우선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가뭄과 관련된 지역적 복원력을 평가한 사례는 매우 적다. 가뭄은 지진, 홍수 등과 같은 타 자연재난에 비하여 지속기간이 길고, 그 지속기간에 따라 피해의 영향 또한 파급력이 달라지므로 복원력 산정을 위한 항목, 복원력 곡선의 저하 형태 및 양상 역시 가뭄의 특성에 맞춰 도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별 극한가뭄에 대한 복원력 정량화를 위하여 가뭄과 관련된 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자원동원력의 세부인자를 정성인자와 정량인자로 구분하여 총 18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구성된 18가지 항목이 정량인자 뿐만 아니라 정성인자로 구성됨에 따라, 모든 인자를 동일한 가중치로 평가할 경우 최종결과가 상대적 중요도의 미 고려로 인해 왜곡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계층적분석기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통해 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그리고 자원동원력에 대한 가중치와 내구성, 대체성, 그리고 신속성에 대한 세부 지표별 가중치를 도출하여 지역별 메가가뭄 복원력을 정량화 하였다. 분석결과를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와 비교분석하였으며, 과거 가뭄사례를 통해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