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외선차단율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1초

Vinylanisole을 포함한 고굴절률 안의료용 렌즈 재료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hthalmic Lens Materials with High Refractive Index Containing Vinylanisole)

  • 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55-760
    • /
    • 2010
  • 본 연구는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를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 1.4496 - 1.4894, 함수율 22.93 - 35.50%, 가시광선 투과율 88.8 - 90.8%를 나타내었다. 또한,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굴절률은 증가하였으며, 함수율은 감소하였다.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을 15%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UV-A 52.8 - 82.2%, UV-B 13.2 - 26.2%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자외선 차단성과 고굴절률을 가진 안의료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곰보배추 추출물로 염색한 면직물의 자외선 차단율, 소취성 및 항균성 (Study of UV Protection, Deodorization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otton Fabrics Dyed with the Liquids Extracted from Salvia Plebia R. Br.)

  • 장현주;정진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80-386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stainability and functionality of cotton dyed with the extract of Salvia Plebia R. Br. as a research preceding the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 materials and fashion products with a healing motif. The CIELAB measurements of the cotton fabric dyed with the extract of Salvia Plebia R. Br. showed 73.32 for $L^*$, 1.7 for $a^*$, and 37.78 for $b^*$, while the Munsell measurements exhibited 2.63Y in color, 7.18 of brightness, and 5.49 of chroma. The degree of staining resulting from color fastness to laundering, and that resulting from color fastness to perspiration (acid and alkaline), as well as the level of color fastness to crocking (wet and dry) all stayed between relatively higher levels of 4 and 5. The fabric dyed also exhibited SPF 50+, an outstanding sun blocking performance. The deodorization rate was also excellent, rising from 97% to over 99% when the time elapsed increased from 30 minutes to 120 minutes. The fabric dyed also showed a 99.6%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and a 71.4%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The aforementioned findings indicate that fabrics dyed with the extract of Salvia Plebia R. Br. contain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for use as health-related materials and fashion products that promote healing.

자외선 및 고에너지 가시광 차단 기능을 갖는 눈 건강을 위한 폴리머 안경렌즈 (Polymer Eyeglass Lens with Ultraviolet & High-Energy Visible Light Blocking Function for Eye Health)

  • 김기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0-15
    • /
    • 2020
  • 파장 400 nm 이하의 자외선은 눈 건강에 매우 해롭다. 또한 고에너지 가시광도 망막 세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최근에 밝혀졌다. 따라서 자외선 및 고에너지 가시광 차단 기능의 안경렌즈 개발이 시대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와 2,3-bis((2-mercaptoethyl)thio)-1-propanethiol 모노머 및 벤트리아졸 UV 흡수제, 알킬인산에스터 이형제, 안료혼합물(CI solvent violet 13), 이염화부틸주석 촉매제 등의 혼합물을 인젝션 몰드 방법으로 열중합 공정을 적용하여, 굴절률 1.67의 고굴절률 폴리머 안경렌즈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머 안경렌즈의 양면에 전자빔 진공증착 시스템으로 다층 반사방지 코팅을 하였다. 제조된 안경렌즈의 자외선 및 고에너지 가시광 차단 기능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UV 흡수제를 0.5wt% 첨가한 폴리머 안경렌즈가 411 nm 파장 이하의 자외선 및 고에너지 가시광을 99 % 이상 차단하였다. 또한 460 ~ 660 nm 파장의 명소시 시각 민감도 10% 이상의 영역에서 평균 투과율이 97.9%를 나타내어 명소시에서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었다.

폴리카보네이트 특성 향상을 위한 고기능성 다층 박막 제조

  • 김성민;김경훈;이근혁;안세훈;임상호;한승희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75.2-275.2
    • /
    • 2014
  • 현재 자동차 분야에서 차량 경량화의 한 수단으로 자동차용 유리를 고강도 투명 플라스틱 소재인 Polycarbonate(PC)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PC의 낮은 내마모 특성과 자외선에 의한 열화 및 변색 현상은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에너지 소비 저감을 위하여 적외선 영역 반사율(reflectance)이 높은 저방사(low emissivity)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CP-assisted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장비를 이용하여 투과율(transmittance)이 확보되고, 고경도 특성을 갖는 Al-Si-N와 300 nm 파장 이하의 자외선 차단 특성이 있는 SiN:H 그리고 저방사 특성을 위해 Al을 증착하였고, 박막의 증착 순서는 SiN:H 박막을 가장 아래에 증착하고 그 위에 Al/Al-Si-N 박막을 다층으로 형성하였다. 박막의 chemical state와 crystallinity를 확인하기 위하여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RD (X-ray Diffractio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Knoop ${\mu}$-hardness tester와 Taber tester를 이용하여 경도 및 내마모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작된 샘플의 Al-Si-N 박막 경도는 Si 비율에 따라 다른 경도 특성을 갖는데, 실제 Si/(Al+Si) 비율이 24%에서 최대 31 GPa의 경도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250 nm~700 nm 파장의 투과율을 측정하였고, 자외선 영역의 경우 SiN:H 박막에 의해 300 nm 이하의 파장에서 2% 이하의 투과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2.5{\mu}m{\sim}15{\mu}m$ 파장의 반사율을 이용하여 방사율을 측정하였는데, 3*(Al/Al-Si-N) 구조의 다층 박막의 경우 방사율은 0.27로 측정되었다.

  • PDF

광반사체로 사용되는 $TiO_2$ 나노구형체의 합성과 화장품으로의 적용 연구 (The Synthesis of Nano-sphere Titanium-oxide and Cosmetic Applications)

  • 이지혜;김준우;김지만;정석진
    • 공업화학
    • /
    • 제24권3호
    • /
    • pp.231-238
    • /
    • 2013
  • 본 연구에서 제조한 나노구형체 $TiO_2$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노폐물 흡착을 하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Sol-gel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다공성의 특성으로 높은 표면적에 의한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 및 흡착능력을 얻기 위해 pH를 조절하였다. 염기 처리한 $TiO_2$의 경우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TGA로 글리세린을 흡착한 결과 1.16 mg의 높은 흡착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UV-A 영역에서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기분체의 최적의 분산제를 찾기 위해 ester oil과 silicon oil를 사용하여 입도크기를 측정하였으며 180 nm정도의 입자로 약 6개월간 유지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UV-A영역에서 우수한 능력을 가진 자외선 차단제로서 노폐물 흡착능력을 가진 $TiO_2$를 제조했으며 이로 인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Gallate group이 포함된 친수성 안의료용 렌즈의 광물리적 특성 (Optophysical Properties of Hydrogel Ophthalmic Lenses Containing Gallate Group)

  • 박세영;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725-730
    • /
    • 2012
  • 본 연구는 ethyl 및 propyl gallate를 첨가제로 사용하여 대표적인 친수성 렌즈 재료로 사용되는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AA (acrylic acid)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 1.433-1.435, 함수율 38.71-38.99%, 가시광선 투과율 85.4-88.8%, 인장강도 0.2468-0.2740 kgf 그리고 접촉각의 경우 $49.77^{\circ}$에서 $36.29^{\circ}$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Ethyl 및 propyl gallate를 0.1-1.0% 첨가한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경우, UV-B 영역에서 49.0-7.4%, UV-A 영역에서 71.0-43.4%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중합된 ethyl gallate와 propyl gallate를 첨가한 친수성 안의료용 콘택트렌즈 재료의 경우, 기본적인 의료용 렌즈의 물성을 만족하였으며 함수율의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습윤성과 자외선 차단효과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UV-A로 유발된 항산화효소의 변성에 대한 자외선 차단렌즈의 작용 (The Effect of UV Blocking Lens on the Denaturation of Antioxidative Enzymes Induced by UV-A)

  • 박충서;박영민;김대현;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7-103
    • /
    • 2007
  • 본 연구는 UV-A 노출에 의해 유발된 안구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효소인 catalase와 superoxide dismutase(SOD)의 변성을 차단할 수 있는 안경렌즈의 적절한 UV-A 차단율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Catalase와 SOD를 1, 3, 6, 24, 96시간 동안 365 nm의 UV-A에 노출시켜 노출시간에 따른 단백질의 변성 정도를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법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20, 50, 80 및 99% UV 차단 효과를 가진 안경렌즈로 UV-A를 차단하였을 때 catalase와 SOD의 변성이 억제될 수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Catalase는 3시간 이상의 UV-A 노출에 의해 변성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SOD는 6시간 이상 노출시에 변성이 되기 시작하였다. 99% 차단렌즈에 의해 3시간 동안의 UV-A 노출에 의한 catalase 변성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노출시간이 3시간보다 길어지거나 차단율이 99%보다 낮은 렌즈를 사용한 경우, 어느 정도까지는 변성 억제작용은 있었으나 완벽하게 변성을 억제하지는 못하였다. 비록 50% 차단율을 가진 렌즈는 UV-A에 대한 SOD의 변성에 대해 부분적인 억제 작용을 나타냈으나, 80% 및 99%의 차단율을 가진 안경렌즈는 UV-A에 의한 SOD의 변성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 PDF

σ, m, p-위치로 치환된 Difluoroaniline을 첨가제로 사용한 안의료용 렌즈 고분자의 물리·광학적 특성 (Opto-Physical Properties of Ophthalmic Lens Polymer Containing σ, m, p-Substituted Difluoroaniline as Additives)

  • 노정원;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9-77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플루오로로 치환된 아닐린 (2,4-difluoroaniline, 2,6-difluoroaniline, 3,4-difluoroaniline)을 첨가제로 사용한 기능성 콘택트렌즈를 제조한 후 각각의 물리 광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방법: 친수성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HEMA(2-hydroxyethylmethacrylate), NVP(N-vinyl pyrrolidone), MA(methacrylic acid), 교차결합제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그리고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을 기본배합으로 한후, 불소로 치환된 aniline을 첨가하였다.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은 cast mould법을 사용하여 공중합 하였으며, 제조된 콘택트렌즈는 0.9% NaCl normal saline에 완전히 침지시켜 24시간 수화 후 콘택트렌즈의 물리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2,4-, 2,6- 및 3,4-difluoroaniline을 비율별로 첨가한 sample의 함수율을 측정한 결과, 첨가제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함수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굴절률의 경우 첨가제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함수율과 반비례 하여 굴절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고분자에 대한 자외선 영역의 광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2,4-difluoroaniline를 첨가제로 사용한 경우, UV-B(9.8~51.4%), UV-A(58.8~79.2%) 그리고 visible transmittance(87.0~90.4%)의 투과율을 나타내었고, 2,6-difluoroaniline를 첨가제로 사용한 sample 렌즈는, UV-B(80.2~83.2%), UV-A(85.8~86.4%), 그리고 visible transmittance(90.8~91.4%)의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3,4-difluoroaniline를 첨가제로 사용한 고분자 렌즈는, UV-B(3.8~30.4%), UV-A(47.8%~74.4%) 그리고 visible transmittance(86.2~91.0%)의 투과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2,4-difluoroaniline 그리고 3,4-difluoroaniline은 자외선 차단성을 지닌 착색 안의료용 렌즈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actobacillus plantarum에 의한 흰 민들레 발효물의 항산화 및 광노화 억제 효과 (Antioxidation and Anti-photoaging Effects of White Taraxacum Coreanum Extract by Lactobacillus plantarum)

  • 홍지우;박하영;김준희;염서희;김진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54-562
    • /
    • 2021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β-glucosidase 생산하는 Lactobacillus plantarum SM4를 분리하여 흰 민들레 발효를 수행하고 미백과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생리활성 평가를 위해 총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자외선 차단율을 분석하였다. 흰 민들레 발효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41.8±0.26 mg GAE/g DW로 열수추출물 21.4±0.67 mg GAE/g DW에 비해 2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65.6±4.7%로 4배 증가하였다. 미백과 주름개선의 지표인 타이로시나아제 및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에 있어 흰 민들레 발효물이 87.9±4.73%와 66.7±3.48%로 열수추출물에 비해 각각 2.4배와 1.5배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흰 민들레 발효물과 열수추출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UVA(320 nm) 차단율이 각각 64.7%와 15.2%로 측정되어 흰 민들레 발효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김치로부터 분리한 L. plantarum SM4가 생산하는 β-glucosidase를 발효를 통해 피부 미백, 주름 방지,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기능성 연질필름 온실의 미기상 (Microclimate of Greenhouses Covered with Functional Film)

  • 전희;최영준;최영하;김학주;이시영;정두석;신용습;최충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6-100
    • /
    • 2007
  • 피복자재별로 전광선투과율은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물방울과 먼지의 부착량이 적은 J-2에서 시설 내 광투과율은 78.2%로 가장 높았다. 자외선 투과율이 완전히 차단된 필름은 J-2이었고, 나머지의 자외선 투과율은 $62{\sim}76%$ 정도이었다. 무가온 참외재배시기에 터널 안이 노지보다 기온은 $15{\sim}21^{\circ}C$, 지온은 $20{\sim}25^{\circ}C$ 정도 높았다. 피복자재별로 기온은 $6^{\circ}C$, 지온이 $5^{\circ}C$ 정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온과 지온 모두 J-2 에서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