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 지역

Search Result 3,65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Design Study of the Mountainous Contemporary Han-ok based on Regional Tradition in Gangwon-do (지역적 전통에 기반을 둔 강원도 산간형 현대한옥 계획 연구)

  • Kim, Do-Kyoung;Choi, Sung-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6
    • /
    • pp.2789-279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the Contemporary Han-ok based on the natur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territory in Gangwon-do.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Eco-friendly Contemporary Han-ok adaptable to the natural environment feature focused on the local climate was proposed based on the tradition of mountainous territory housing in Gangwon-do. In addition, proposed Mountainous Han-ok in Gangwon-do planned to keep the out feature of traditional Korean Han-ok and have the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same as traditional Korean Han-ok. Despite of several limits, this study has the meaning in terms of propose the prototype of adaptable contemporary han-ok based on the Natur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Territory and regional tradition in Gangwon-do in cognition of local natural environment difference. the proposal of contemporary han-ok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give a support to the wide planning of Han-ok and the development plan of contemporary Han-ok.

The Physical Region of China Divided by the Characteristics of Drainage Patterns. (하계망패턴의 특색으로 구분한 중국의 자연지역)

  • Hwang, Sang-Il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 no.1
    • /
    • pp.151-164
    • /
    • 1996
  • The regional division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inage patterns is important to understand its physical environment comprehensively, because the drainage network develops in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geological, geographical and climatical features in the drainage basin keenly. This study is the attempt to divide physical region in China whose drainage pattern is diverse. Chinese drainage basin is mainly divided into the interior drainage basin and the peripheral drainage basin. The interior drainage basin is divided into (1)the deranged pattern and (2)the centripetal pattern. The peripheral drainage basin is divided into (1)the dendritic pattern, (2)the parallel pattern, (3)the radial pattern and (4)the anastomatic pattern. Drainage patterns of the interior drainage basin are formed by affecting geographical features and climatic conditions mainly. In the peripheral drainage basin, drainage patterns are formed by other factors: the parallel pattern is connected with geological structure lineament by tectonic movement, the radial pattern with changes of the river channel resulted from the Yellow River's overflow, the anastomotic pattern with human's activities. The distributional features of the physical region in China are as follows: The deranged pattern appears in Zangbai Plateau, the centripetal pattern does in arid basin of the northwest China. the parallel pattern does in Hengduan mountains affected strongly by tectonic movement between Yangtze paraplatform and Indian Plate, does in the upper stream of Yangtze River and Ganges River in the south of Qinghai-Xizang Plateau, the radial pattern in Huaihe Haihe River drainage basin appearing in the alluvial fan region of Yellow River's downstream and the anastomotic pattern does in the delta of Yangtze River, in the northern coastal plain of the Jiangsu-Province and in the delta of Zhujiang River. Except these areas in the peripheral drainage basin, the dendritic pattern is usually found in the other areas.

  • PDF

학술조사연구시리즈-선운산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20
    • /
    • pp.3-16
    • /
    • 1982
  • 본 협회는 자연공원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학술조사연구활동을 벌여 그 결과를 본지에 발표함으로써 자연공원의 다목적 종합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 또한 일반국민들의 관심을 일깨우고자 합니다. 이 조사연구는 자연공원별로 순차에 따라 "시리즈"로 엮어 나가고 있읍니다.

  • PDF

자연환경교육확충을 위한 표본조사 연구-국립공원의 환경교육장화를 중심으로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9
    • /
    • pp.25-30
    • /
    • 1978
  • 본 연구는 산학협회의 기반구축과 국민복지향상을 위하여 자연환경교육장 조성이 가능한 국립공원지역을 연차적 계획에 따라 연구확충 할 것을 목표로 한국산학협동재단의 특수사업을 위한 연구비 지원으로 당협회에서 수행한 "자연환경교육확충을 위한 표본조사연구" 결과를 요약 게재한 것임.

  • PDF

A Legal Proposal for Drought Damage Reduction (가뭄피해 경감을 위한 법적 정비 방안)

  • Yi, Young-Kune;Park, Sung-Je;Lee, Jong-Keun;Kim,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88-392
    • /
    • 2010
  • 본 연구는 가뭄이 발생한 경우에 그 피해를 최소화하고 가뭄지역에 대한 적절한 행정적인 구제를 수행하기 위한 기본 연구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자연재해에 대한 대책으로서 자연재해대책법,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 농어업재해대책법 등에서 몇몇 조항이 적용되고 있으나, 가뭄에 대한 대책으로서는 대단히 미흡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가뭄의 특성상 피해지역의 특정이 어렵고 피해기간이 장기간에 걸치며, 가뭄 그 자체의 정의가 어렵다는 점 등이 가뭄피해 구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우선 피해구제의 관점에서 가뭄의 정의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가뭄의 법적인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은 재난으로서의 가뭄을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모호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가뭄지역 선포 및 구제책의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가뭄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가뭄이라고 하는 자의적 해석이 강한 재해로부터 보다 합리적인 대응책의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피해구제의 관점에서도 공정하고 효율적이며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Regional drough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natural drought index (자연가뭄지수의 지역별 가뭄특성분석)

  • Kim, Seon-Ho;So, Jae-Mi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9-149
    • /
    • 2016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가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뭄은 홍수와 더불어 그 피해가 가장 큰 자연재해 중 하나이며, 장주기적이고 광역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구체적인 발생시기, 장소,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가뭄극복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가뭄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례로 2014~2015 가뭄으로 소양강 댐은 역대 최저수위를 기록하였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제한급수, 농업용수 부족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처럼 가뭄으로 인한 피해는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더욱 빈번할 것이라는 보고가 있어 가뭄해석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가뭄해석에는 일반적으로 가뭄의 시작, 끝, 지속기간, 발생간격, 누적심도 등을 사용하며, 이를 가뭄특성인자라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시설물의 영향을 배제한 자연가뭄지수(Natural Drought Index, NDI)를 이용하여 국내 5개 행정구역의 지역별 가뭄특성을 분석하였다. 자연가뭄지수의 산정을 위해 입력자료는 3개월 누적강수량, 누적유출량, 평균토양수분량을 사용하였으며, 강수량은 국내 ASOS 59개 지점 자료, 유출량 및 토양수분량은 지표수문해석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였다. 가뭄특성 분석기간은 1977~2012년이며, 가뭄특성인자는 가뭄의 시작, 끝, 지속기간, 발생간격을 활용하였다. 과거 가뭄피해사례와, SPI, SRI, SSI 및 NDI의 가뭄특성인자를 비교하였으며, 정량적 비교를 위해 평균오차, 평균절대오차를 사용하였다. 가뭄특성인자 분석 결과 NDI는 가뭄의 시작과 끝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가뭄의 지속기간은 NDI, 발생간격은 NDI와 SPI가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가뭄지수는 단일변량 가뭄지수에 비해 지역적 가뭄특성을 정확하게 재현한다는 점에서 추후 가뭄감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Understanding of Region As an Interaction among Space, Time, and Society (공간, 시간, 사회/자연의 상호관계성에 의한 지역이해)

  • Park, Kyu-Taeg;Lee, Sang-Yo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5 no.2
    • /
    • pp.15-2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mprehensively and dynamically understanding region which is based on an interaction among space, time, and society. Region is not naturally and objectively given, but socially constructed based on material space, and such a socially constructed region takes an active role for changing society because of the conflicts either within the region or among the regions. Particularly the social theory which tries to establish the new perspectives to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society is not much concerned about the relations between space and time and also those between society and nature. The theory of space and time scale is needed to deeply understand space, time, and society/nature.

  • PDF

Regionalization of Rainfall-Runoff Model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Model Parameters and Watershed Characteristics (매개변수와 유역특성인자 사이의 상호연관성을 고려한 강우-유출모형 지역화)

  • Kim, Jin-Guk;Uranchimeg, Sumiya;Kim, Tae-Jeong;Kim, Jang-Gyeong;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93-293
    • /
    • 2021
  • 자연유량이란 인위적 행위에 의한 하천의 유량 변화가 없는 개발되지 않은 상태의 하천유량을 말하며, 실제 유량을 측정하거나 관측자료를 활용한 장기유출모형을 통해 산정할 수 있다. 미계측 유역에 대한 강우-유출 모형 구축시, 무엇보다 실제 미계측유역에 적용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모형 개발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강우-유출 모형 매개변수의 수가 많아질수록 과적합(over-fitting)의 발생 소지가 증가하게 되며, 지역화 모형 구축시 불확실성을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모형의 검정보다는 검증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야 하며, 더불어 사용되는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가 적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 강우-유출모형의 선정시 여러 평가 기준 중 예측의 정확성 측면에서 통계적 지표를 통해 모형의 수행능력에 중점을 두었으며, 적은 개수의 매개변수를 갖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 우수한 모의결과를 제공하는 GR4J(Ge'nie Rural a 4 parame tres Journalier)모형을 최적 유출모형으로 선정하여 댐 상류유역에 대한 자연유량 재현성능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강우-유출모형의 최적매개변수와 유역특성인자 사이의 상호연관성을 고려해 매개변수를 지역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변량에 대한 상관성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데 효과적이며, 자유로운 주변확률분포 선택과 결합확률분포의 추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Copula 함수를 활용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교차검증 관점에서 지역화된 매개변수의 적합성을 검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유역특성에 따른 미계측유역의 자연유량 산정시 지역 매개변수를 강우-유출모형에 활용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자연유량 산정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nstruction of Hazard Risk Assessment Systems for Urban Flooding (도시 침수피해 위험도 평가체계 구축)

  • Kim Weon-Seok;Kim Dong-Kyoo;Kim Eui-Myoung;Yoo Hw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49-54
    • /
    • 2006
  •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전 세계적으로 예측하기 힘든 규모의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고, 향후에도 증가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또한 인구의 집중화와 도시화로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엄청난 인명과 재산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그 지역에 대한 지형, 하수관건, 기후 등의 공간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자연재해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침수재해에 초점을 두고 도시의 강우 유출모형인 SWMM을 이용하여 우수관거 해석 및 월류량을 산정하고 해수위 상승에 따른 저지대 우수관망 월류량을 계산하여 침수구역 예상 및 침수심 산정을 하고 침수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해안 저지대 도시지역에서 빈도별 침수량을 예상하여 피해지역의 침수구역에 대한 홍수에 의한 위험도를 평가할 뿐 아니라 단계적 대피 계획, 주요시설 보호 및 이동, 위험지구에 대한 사전 개선대책 수립 등 홍수피해 경감계획 수립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Indicatrors of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Tree Growth in Natural Ecosystem (자연생태계 수목의 생장에 따른 탄소저장 및 흡수량 지표)

  • 조현길;안태원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3
    • /
    • pp.175-182
    • /
    • 2000
  • 본 연구는 자연생태계 소목의 생장에 따른 탄소저장 및 흡수량 지표를 도출하고 용인시를 대상으로 임상유형의 영급별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하였다. 침엽수 1주당 탄소저장 및 흡수량은 중부와 남부의 생장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활엽수의경우는 남부지역에서 중부지역보다 더욱 많았다. 수목 1주당 탄소저장 및 흡수량은 활엽수가 동일 직경의 침엽수보다 더욱 많았으며, 그 차이는 직경생장과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용인시 자연생태계의 단위면적당 평균 탄소저장 및 흡수량은 역시 영급이 높을수록 많았으며, II 영급을 제외한 동일 영급내에서는 침엽수림보다는 혼효림이, 혼효림보다는 활엽수림이 더욱 많았다. 중부지역에서 생장하는 흉고직경 20cm 의 활엽수 1주는 약 175리터의 휘발유 소비로 인하여 배출되는 탄소량을 저장하고, 1ha의 IV 영급 활엽수림은 시민 57명이 화석연료 소비로 연간 배출하는 탄소량을 저장하였다. 본 연구의 탄소저장 및 흡수 지표는 직경 생장에 따른 삼림수목의 대기탄소농도 저감 가치를 용이하게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