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환경조사

Search Result 1,63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Reptiles in the Republic of Korea (한국산 파충류의 현황과 분포)

  • Song, Jae-Yo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5 no.2
    • /
    • pp.124-138
    • /
    • 2007
  •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reptiles currently inhabiting the Republic of Korea, the results of survey data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reptiles were distributed into two orders, seven families, and 21 species, with the exception of six marine reptiles, including Dermochelys coriacea schlegelii, Chelonia mydas japonica, Caretta caretta, Hydrophis melanocephalus, Hydrophis cyanocinctus, and Pelamis platrrus. Also, the taxonomic revisions of several species were suggested, although this would be ill-advised before further studies can be conducted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marine reptiles in the region.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Passive Solar Post Offices (자연형 태양열 우체국사 실태 조사연구)

  • Lim, Sang-Hoon;Auh, P.Chung-Moo;Jeon, Hong-Seok
    • Solar Energy
    • /
    • v.10 no.1
    • /
    • pp.80-91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aterials necessary for planning and designing of passive solar post offic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atisfaction degree on old passive solar post offic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ost office pattern. In conclusion, passive solar systems are effective and economical when they are applied to post offices for heating systems.

  • PDF

Geomorphological Landscapes Research and Utilization of DMZ and Borderland (DMZ와 그 인접 지역의 지형경관 조사와 활용 방안)

  • Kim, Chang-Wh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3
    • /
    • pp.317-327
    • /
    • 2009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survey data on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of demilitarized zone(DMZ) and borderland which are collected through the national pilot study of natural environmen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to explore applications on analytic results. Of total 356 geomorphological landscapes, River terraces have the highest share of the total, and the first grade is 57 landscapes(16.1%). This survey is significant in that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of DMZ and borderland by being access to the Northern Boundary Line is explored. The landscape has the only spatial characteristic over the world because it is within DMZ,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o use for a geopark which is selected by UNESCO.

  • PDF

The Flora of Munsu Mt. in Gimpo (김포 문수산의 식물상)

  • Jong-Won Lee;Yu Cheol Park;Seung Se Choi;Shin-Ho K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35-35
    • /
    • 2020
  • 본 연구는 한남정맥의 최 북서쪽에 위치한 경기도 김포시의 문수산(376m) 일원을 중심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97과, 241속, 340종, 41변종, 6아종, 2품종 등 총 38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특산식물은 병꽃나무, 복사앵도 및 산이스라지 등 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등급은 부싯깃고사리, 비목나무, 삿갓사초, 소사나무 등 15분류군, II등급은 꼬리조팝나무, 돌단풍, 피나무, 오리나무 등 6분류군, III등급은 좀작살나무, 좀개미취, 산벚나무, 병아리꽃나무 등 5분류군, IV등급은 복상앵도, 산복사 등 3분류으로 확인되었다. 환경부에서 지정한 외래종 및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도깨비가지, 미국쑥부쟁이, 애기수영, 털물참새피 등 53분류분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 조사되었던 멸종위기종 II급인 매화마름과 산림청지정 희귀식물 위기종 깽깽이풀 2분류군이 조사되지 않아 추후 추가 조사 및 유전자원 현지내외 보전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PDF

Influence of Users' Connectedness to Nature on Their Support for Ropeway Establishment in Mudeungsan Provincial Park (자연과의 유대가 휴양객의 케이블카 설치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 무등산도립공원을 대상으로 -)

  • Kim, Sang-Oh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2
    • /
    • pp.235-246
    • /
    • 2011
  •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nectedness to nature (CN) and belief on consequences (social, economic, and ecological) of establishing cable car and supportiveness to its establishment in a natural park. It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and visiting characteristics and CN. Data were collected from 134 visitors in Mudeungsan Provincial Park (MPP) in September, 2010 through field questionnaire survey. CN was measured by using a connectedness to nature scale (CNS) revised from the Mayer and Frantz's (2004) original CNS. CN consisted of two factors: interdependence and independence. CN increased as respondents' age, education level, number of visits to MPP and number of visits to Jungbong area of MPP increase. Respondents with higher CN ratings showed stronger beliefs on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cable car establishment. CN, however, was not related with beliefs on positive consequences of establishing cable cars. Respondents with higher CN showed lower support about establishing cable cars.

A study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uvial Habitat (하천 생물서식처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n, Tae-Ung;Choe, Lee-Song;O,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37-441
    • /
    • 2009
  • 1990년대 이후 하천환경에 대한 관심은 치수적 과점에서 이수적 관점, 환경적 관점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하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1990년대 말부터 자연형 하천개발이라는 이름으로 확산되어 우리나라의 하천환경을 크게 변모시켜 나가고 있다. 실제로 자연형 하천은 우리 주변의 하천경관 및 수질을 많이 개선하는 효과를 거두어 왔으나, 하천의 보전 및 복원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개발이 없는 상태에서 경쟁적으로 시행되어 비효율성, 비생태성, 비안전성의 문제를 노출시키고 있다. 특히 하천의 다양한 물리적 인자와 복합되어 형성되는 하도서식처 환경들에 대한 이해의 부족은 하천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태계의 순환과정 및 연계성을 단절시키고 근본적인 하천환경복원을 어렵게 한다. 최근에 하천환경 복원사업의 근본 목표는 그 하천 고유의 하천경관이나 생태계 등의 특성을 회복(Rehabilitation)시키거나 복원(Restoration)시키는 것으로, 평여울, 급여울, 폐쇄형 하도습지, 웅덩이 등과 같은 하도서식처로서의 물리적 자연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원활한 생태환경이 자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그러나 하천 생태계는 물리적 환경에 의해서만 지배되는 것은 아니며, 하천생태계가 원활하게 조성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적정한 수질이 유지되는 것 또한 중요하다. 물론 자연생태계의 순환과정이 원활해진다면, 하천의 자정능력 향상을 가져오게 되고 그로 인하여 수질도 생태환경에 적합하게 유지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이치이다. 결국 자연적으로 조성된 하천에서의 물리적 서식처 환경이 수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은 앞으로 하천환경 복원사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인 하도서식처 환경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화학적 특성을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하천복원에 있어서 물리적 서식처 조성과 수질의 상호 연계성 및 복원기술의 타당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ole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 Green Amenity in Space Design - a focus on ecology designs using green materials - (공간디자인에 있어서의 환경친화와 Green Amenity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그린(Green Materials)을 이용한 에콜로지디자인을 중심으로 -)

  • 이정민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1
    • /
    • pp.137-148
    • /
    • 2003
  • Environment-friendly design becomes one of the main issues of the contemporary design. It has been developed with the advent of the organic view of the wend. It started as the environment-protective orientation and then enlarged its boundary including the designs which aims to revive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Recent design approach in environment design emphasizes to be 'synchronized with the nature' and its basic attitude is the revival of the right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t also can be described as the design for Green Amenity. This paper researches on the concepts, types and the roles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design. There are two basic concepts : one is environment-protective attitude and the other is the attitude which emphasizes the function of Green Amenity. This paper focuses on the latter approac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ecessity and the function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design, it aims to prove the fact that valuable human life need the design which connects human life aye with natural environment.

  • PDF

Construction of Vege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GIS를 이용한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 Song, Ji Hye;Kang, In Joon;Hong, Soon Heon;Park, Dong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4
    • /
    • pp.99-106
    • /
    • 2014
  • After 1960 forest and ecosystem are rapidly destroyed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ccordingly, studies that produce vegetation map continue for forest and ecosystem management. Since 1986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is being conducted in Korea. Also, vegetation information is managed properly through forest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FGIS) of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when NGIS project was promoted since 1995. But it provide dominant species information based on text. In particular, some vegetation information dose not provide to end-user. Therefore, we suggest construction method of vege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GIS to solve the problem. Also, we suggest connection method of related system for an accurate analysis, planning and decision-making support.

The Evaluation of Stream Naturalness at Gokreungcheon River Basin (곡릉천 유역의 하천 자연도 평가)

  • Song, Hyung-Soo;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1-211
    • /
    • 2011
  • 근래에 들어 환경문제의 사회적 부각과 함께 생태파괴적인 하천 정비 방식에 대한 대안으로 자연형 하천 환경 복원기법에 대한 시험 적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하천 복원에 앞서 하천 환경의 상태를 파악하고 진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에 개발된 하천 질 평가 방법은 수질에 편향된 경향이 있으나 수질의 개선만으로는 생물 다양성의 발생 기반으로서 물리적 구조가 훼손된 상태에서는 생태적 복원의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하천의 물리적 조건에 의한 구체적이고 비교적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상기 평가를 바탕으로 작성된 하천 자연도 평가 지침에 의거하여 곡릉천 하류 일부 구간과 곡릉천의 지류인 벽제천을 대상으로 자연도를 조사하였다. 평가 결과 곡릉천 봉일천교 상류 2km구간의 저수로는 사행을 보였으며, 강변 사주 및 하중도는 없었으나 갈대 등과 같은 저수로변 식생이 있고 흙으로 조성된 인공제방으로 되어 있어 도심지의 정형화된 하천들에 비해 비교적 자연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었다. 한편 하천 인근에 있는 아파트 등 주거지와 논, 밭 등의 경작지로 인한 오염원 유입 및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등 사람의 접근이 용이한 제외지의 이용으로 동식 물서식처로서의 기능이 저하될 것으로 우려된다. 곡릉천의 지류인 벽제천은 저수로가 사행을 유지하고 하중도와 사주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울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천 인근에 경작지와 제방도로가 있으나 인적이 드물고 차량 통행량이 적어 생태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는 적은 것으로 판단되 었다.

  • PDF

Evaluation on The Actual Vegetation and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 사정에 관한 연구)

  • 김용식;김갑태;김준선;임경빈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 no.1
    • /
    • pp.9-18
    • /
    • 198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both the actual vegetation and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the Chiaksan National Park. The results obtained are in the follows; The actual vegetation in the Chiaksan National Park were classified into 11 communities, including with the farmland and afforestation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inus community, as 36.83%. were the most largest community, and the Quercus mongolica, 22.35%. Quercus mongol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which is mixed forest, 7.37%, and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were 6.63%. The pure and mixed forest with these two specie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the comunities of the area.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9 was the widest area as 35.9% in the total area, the second was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8 at 28.5 %.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