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환경보전

Search Result 69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Analysis of the Coastline Data Registered in Cadastral Records (해안토지의 지적공부등록실태 연구)

  • Choi, Gyu-Myeong;Kwon, Jay-Hyoun;Choi, Yun-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4 s.38
    • /
    • pp.45-51
    • /
    • 2006
  • Recently the coast is an important area in terms of spatial land use and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such as the expansion of a national land and the development of a coastal industrial zone in Korea. We can not provide a proper solution for a boundary determination raised by a land ownership dispute due to the insufficient coast land registration. We observed the status of the coast land registration and analyzed the problem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a land title and a coast land in the study area. We selected the west coast with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e ebb and flow of the tide as the study area from a paper review, compared a cadastral line with a coast line and suggested a good guideline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understanding the status of the coast land title registration in Korea.

  • PDF

Saline Water Movement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낙동강 하구의 염수운동)

  • Chang, Sun-duck;Ryu, Cheong-ro;Lee, Mun-ok;Lee, Jae Chul
    • 한국해양학회지
    • /
    • v.16 no.1
    • /
    • pp.31-37
    • /
    • 1981
  • Saline water movements in relation to tidal condition and river discharge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a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observation data. The difference of salinity between the surface and the bottom layer was 1∼3 at spring tide forming a vertically homogeneous estuary, while at neap tide, it ranges up to 7∼15 indicating a sharp salt wedge. The maximum salinity appeared approximately at an hour after the high water, that is, three hours after the landward velocity maximum, while the salinity maximum at around an hour after the low water, that is, three hours after the seaward velocity maximum. The density current speed at a section located 10km landward from the river mouth was observed approximately to be 45cm sec$\^$-1/ at 8m layer.The relations between the salinity at Gupo and the river discharge at Jindong are estimated by means of the least square method. The maximum length of the salt wedge is calculated approximately to be 22km at neap tide and 16km at spring tide,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observed data. The salinity influence area is deduced to be 45km at spring tide and 35km at neap tide.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salinity was estimated approximately to be 1.5 10$\^$8/$\textrm{cm}^2$ sec$\^$-1/ at Samrak and 8 10$\^$5/$\textrm{cm}^2$ sec$\^$-1/ at Gupo at neap tide, while it was 1.4 10$\^$7/$\textrm{cm}^2$ sec$\^$-1/ at Dongwon at spring tide.

  • PDF

A study on historical changes of landforms and habitat structures in the mid-stream of the Mangyeong River by weirs (보 설치로 인한 만경강 중류의 하천지형과 서식처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Choi, Mikyoung;Kim, Ji-sung;Ock, Giyoung;Jung, Kwansu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spc2
    • /
    • pp.791-799
    • /
    • 2019
  • This study explained the historical changes in the habitat structures based on the aerial photographs (1948, 1967, 1973, 1989 and 2010) of the mid-stream reach of the Mangyeong River. The habitat structure was divided into landforms and aquatic habitats. The landform was classified into bare land, vegetated land, water surface, farmland and artificial land. The aquatic habitat was classified into natural riffle, artificial riffle, run, head wando, tail wando, mid wando, pond and chute channel. The ratio of bareland decreased, and water surface and vegetated land increased after the excavation in 1970s and since the construction of weir in 1980s. As historical changes of aquatic habitat, ratio of run decreased sharply while mid wando increased sharply. aquatic habitats such as head wando, tail wando, and pond located on bars decreased dramatically.

Study on Landscape Preference of Debris Barriers Types (사방댐의 유형별 경관선호 분석)

  • Lee, Sang-Won;Kang, Mi-Hee;Lee, Heon-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2
    • /
    • pp.283-29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ublic's preferences of different types of debris barriers and the impacts of construction materials, design, size, and planting on landscape preferences. On-site survey was carried out in Mt. Palgong during on December, 2009 and a total 122 visitors' data were analyzed. A total of 82 students Yeungnam and Donga University were also questioned in the classes during on December, 2009.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debris barrier constructed with natural materials such as stone were more preferred and the level of planting around the debris barrier impacted most on the landscape preferences. The results imply that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has been increased in term of not only environmental conservation but also people's preferences. Therefore, the factors for enhancing landscape of debris barrier should be considered synthetically in terms of construction material, design, size, and planting level.

Spatial Variations of Salt Marsh Plants Induced by Sandy Sediment in Hampyeong Tidal Flat (함평만 갯벌의 모래 퇴적물로 인한 염습지 식물의 공간적 변이)

  • Minki, Hong;Jaeyeon, Lee;Jeong-Soo, Park;Hyohyemi, Le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9 no.4
    • /
    • pp.247-258
    • /
    • 2022
  • Hampyeong Bay has a narrow seawater channel and a complex topographical structure. The sand content of the tidal flat soil is increasing due to asymmetrical sedimenta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vegetation distribution and the use of the line-transect method, sand flats were observed to gradually change the vegetation distribution of salt marshes. Comparing the vegetation area between 2016 and 2022, the obligate halophyte Suaeda maritima decreased by 74% and Zoysia sinica increased by 75%. Z. sinica seems to support the robustness of the dune environment by trapping sediments such as sand in the colony, because the underground rhizomes and stems are highly developed. To establish an effective conservation management plan for tidal flats, an integrated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assess the impact of changes in tidal flat soil and the interaction of vegetation communities in Hampyeong Bay.

Future changes in runoff characteristics of an estuarine reservoir watershed using CMIP6 multi-GCMs (CMIP6 다중 GCMs을 적용한 담수호 유역의 미래 유출특성 변화)

  • Sinae Kim;Seokhyeon Kim;Hyunji Lee;Jihye Kwak;Jihye Kim;Moon-Seong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19-419
    • /
    • 2023
  • 하천의 최종 유출부와 해양이 만나는 지점을 하구라고 하며, 우리나라는 주로 서해안 지역에 하구 방조제 건설에 따른 담수호가 조성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수자원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구 담수호는 바다로 유입되기 직전의 물을 저류시켜 수자원 확보에 긍정적이나, 일반적으로 유역의 최하류에 위치해 있어 오염물질 유입, 부영양화, 염분 침출로 인한 오염물질 용출 등에 취약하다. 따라서 담수호의 회복탄력성 향상과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분석이 필수적이다. 특히 기후변화는 거대규모의 홍수과 같은 자연재난, 농업가뭄 및 식생가뭄 등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미래 기후조건에 따른 하천의 미래 유출량 변화 예측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한 미래 수문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CMIP6(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 GCMs(Global Climate Models)의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를 유역 유출모델에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유출특성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간월호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모형을 적용하여 상류유역의 과거 및 미래 장기유출량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된 시나리오별 유출량을 기반으로 최빈유량곡선법을 적용하여 미래의 기준유량 발생시점 및 지속기간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CVDs(Center-of-volume dates)의 변화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기의 시기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 유역 환경변화를 고려한 담수호의 수자원 보전관리계획 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Verification of Breach Delay Effect of River Levee treated with Bio-polymer by Real-scale Experiment (실규모 실험을 통한 바이오폴리머 처리 제방의 횡월류 붕괴지연효과 검증)

  • Ko, Dongwoo;Kang, J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20-220
    • /
    • 2021
  • 2020년 장마는 6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전국적으로 평균 687 mm의 강수가 내려, 1973년 이후 역대 2위 강수량을 기록하였으며, 연이은 태풍으로 큰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섬진강 및 한탄천 등에서 계획홍수위를 초과하는 홍수로 인해 상당수의 제방이 월류로 인해 붕괴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연평균 강수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집중호우로 인한 제방 붕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고도화된 기술 개발을 통한 선제적 재발 방지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바이오폴리머라는 새로운 친환경 신소재를 이용하여 제방의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안동하천연구센터에서는 실규모에 준하는 제방모형(높이 3 m, 사면경사 1:2, 길이 10 m 이상)을 제작하고, 제방 표면에 바이오폴리머 신소재를 처리하여 전방 월류 흐름 유도에 따른 실규모 제방붕괴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신소재 보강 및 무보강 조건에 따른 영상분석 기반 붕괴지연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신소재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하지만, 기존에 수행된 실험은 댐 붕괴 흐름과 같이 홍수파가 발생하여 제내지로 퍼져 나가는 형태로 진행되어, 보강공법의 검증에 있어 실제 하천에서 발생하는 횡월류 흐름을 재현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횡월류 흐름(0.6 m3/s 이상)을 발생시켜 수리실험에 따른 축척효과(scale effect)를 최소화하고, 현장에 대한 충분한 자연성을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조건은 1) 신소재가 처리된 식생 제방, 2) 신소재가 처리되지 않은 식생 제방으로 각각의 조건에 따른 횡월류 흐름 및 제방 붕괴를 유도하여 영상분석 기법(이미지 픽셀분석 및 3D 포인트 클라우드 모델링)을 통한 침식 저항에 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Estimation of citizens' Willing To Pay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n urban rivers (도시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도시민의 지불의사 추정)

  • Kang, Ji Yoon;Kim, Kee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63-463
    • /
    • 2022
  • 도시하천은 급속한 경제성장과 개발 등 여건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되어왔다. 이에 하천은 본연의 모습과 가치를 잃고 인공적인 모습으로 변해 하천의 주요 기능인 자정작용, 생태계 건강성 유지 등의 기능을 잃고 도시 활동에 따른 오염물질에 노출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으로 도시민의 삶의 질과 만족도 또한 하락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대표하천인 수영강을 대상으로 도시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도시민의 지불의사를 추정하였다. 비시장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조건부가치측정법(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을 적용하여 수질개선에 따른 지불의사(WTP, Willingness To Pay)를 파악하고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가상시나리오는 EPA, water quality ladder의 개념을 이용하여 현재 수영강 수질이 오염된 물(4등급)이라고 가상시장을 설정하고 낚시가 가능한 수준(2등급)까지 개선을 시키고자 할 때의 지불의사를 물었다. 이때 지불수단은 기부금의 형태로 연 1회 향후 5년간 지불기간을 설정하였다. WTP 모형추정은 KDI에서 제시하고 있는 로지스틱분포 함수와 스파이크 모형을 사용하여 WTP를 추정하였다. 스파이크 모형의 추정결과 평균 지불의사액은 12,255원으로 부산광역시 전체 가구 수인 1,392,291가구(2019년)에 적용할 경우 향후 5년간 연 170억 원의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불의사 추정결과 수영강 인접 지역주민의 지불의사가 높게 추정되었고, 부산시민이 수영강을 자연과 생태보전 기능하천으로 인지하고 있음(56.5%)을 고려 할 때, 하천환경개선을 통한 지불의사의 상승은 도시하천 가치 향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시민의 기대수준 충족과 더불어 도시하천 가치상승을 위한 부족한 재원까지도 조달 할 수 있는 방안의 기초를 마련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Need For Standardization of Generic Color Name for Utilization of Dye Plant Resource and Cultural Succession (염료식물 자원활용 및 문화계승을 위한 관용색명의 표준화 필요성 연구)

  • Youngju Kim;Min-Im Cho;Seulgi Lee;Chunghee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48-48
    • /
    • 2023
  • 지역의 역사성을 지니고 발전한 전통색은 지역 문화와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전통색은 일반적으로 관용색명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세계인의 공용어가 아니므로 우리의 천연염색을 국내외 일반인과 공유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색명(KS-계열색, RGB, CMYK)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염료재로 활용된 염료식물은 393종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료식물의 자원 활용과 그 보전적 가치를 알리고자 염료식물을 언급한 고문서 및 현대자료를 바탕으로 사용 부위, 매염제의 종류, 염색 시 발현 색상의 관용색명을 조사하였고, 이를 국가표준색상환에 대입하여 표준화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염료식물 393종 중 관용색명을 가진 염료식물은 312종이었고, 관용색명의 정보가 없는 식물은 81종으로 나타났다. 염료식물의 사용 부위 정보를 가진 식물은 187종이었고, 이용부위는 식물체 전체(전초), 뿌리, 줄기(껍질), 줄기(심재), 나뭇가지, 잎, 열매(껍질), 꽃이었다. 염료식물에 활용되는 매염재는 15가지(천연 6종, 화학 9종)로 나타났다. 관용색명을 가진 염료식물 312종에서 조사된 540개 관용색명을 표준화 시키기 위하여 국가표준색상환에 대입한 결과, 표준화된 색명(KS계통색명, RGB, CMYK)을 갖는 식물은 127종, 관용색명은 있지만 표준화된 색명을 확인할 수 없는 식물은 185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염료식물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관용색명의 정보가 없는 염료식물에 대한 표준화된 색명을 찾아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Economic Value of Daegu Arboretum based on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대구수목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 Kang, Kee-Rae;Lee, Kee-Cheol;Lee, Hyun-Taek;Ryu, Byong-Ro;Kim, Dong-Pi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5
    • /
    • pp.787-798
    • /
    • 2011
  • An arboretum is defined as a collection of facilities that conserve plant species by surveying, collecting, and proliferating and preserving the plants in nature, perform diverse researches on plants and display the plants in exhibition spaces or outdoors as well as provide the public with educational programs and refreshment spaces according to the laws concerned. The public, however, recognize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functions on plants of arboretum more importantly compared with the roles to survey, collect, and proliferate plants as regulated by the laws. In particular, arboretum plays a role to offer a pivotal educational place in urban area where the public can obtain an hands-o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n a wide range of plant species and natural environment. The study aims to estimate the non market environmental values of Daegu Arboretum operated by Daegu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by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CVM), which yields the current monetary estimates for the arboretum. The value estimation was undertaken by using the Double-Bound Dichotomous Choice (DBDC) method, and each estimated value was derived from respective functions based on a logit distribution known to include relatively stable estimat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statistical fitness test results, the author estimated the amounts of the Willingness To Pay (WTP) such as mean WTP of 12,718 KRW, median WTP of 11,033 KRW, and truncated mean WTP of 11,468 KRW, which represented the annual recreational values per a person visiting Daegu Arboretum respectively. The analysis showed that Daegu Arboretum created the annual environmental values which were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6 to 19 billion KRW. The study also has an implication that the valuation method for the environment of Daegu Arboretum may be effectively applied for estimating the values of other types of environmental goods by altering the locations or goods to be analy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