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지역

Search Result 3,65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stimation of Ecology of Urban Areas Natural Rivers that use LAWA (LAWA를 이용한 도심지역 자연형 하천의 생태성 분석)

  • Kim, Joo-Hwan;Choi, Gye-Woon;Koo, Bo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98-21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자연형 하천의 복원이 이루어진지 5년 이상이 된 도시지역의 하천을 LAWA(Laenderarbeits-gemeinschaft Wasser = 연방물관리연구공동체)(2000)를 이용하여 하천의 물리적 구조를 평가하였다. 물리적 구조 평가에서는 하천의 종적특성 및 종단면, 횡단면, 하상구조, 하안구조 및 하천변의 토지 이용성 등 6개항의 25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하천의 자연성과 하천의 인공성 정도를 가늠하였다. 그 결과 기 조성된 국내의 하천의 생태성이 크게 개선되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볼 때에 과거의 자연형 하천 조성방법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책을 찾아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도심하천의 경우 이, 치수의 기능 위주로 정비가 되어 있었기 때문에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 후에도 주변의 좋지 않은 구조물들에 의해서 물리적 등급이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하천 스스로 생태성, 자연성을 회복할 수 없는 구간에 대한 하천설계에서는 물리적 구조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방안이 시도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Design Study of the Mountainous Contemporary Han-ok based on Regional Tradition in Gangwon-do (지역적 전통에 기반을 둔 강원도 산간형 현대한옥 계획 연구)

  • Kim, Do-Kyoung;Choi, Sung-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6
    • /
    • pp.2789-279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the Contemporary Han-ok based on the natur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territory in Gangwon-do.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Eco-friendly Contemporary Han-ok adaptable to the natural environment feature focused on the local climate was proposed based on the tradition of mountainous territory housing in Gangwon-do. In addition, proposed Mountainous Han-ok in Gangwon-do planned to keep the out feature of traditional Korean Han-ok and have the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same as traditional Korean Han-ok. Despite of several limits, this study has the meaning in terms of propose the prototype of adaptable contemporary han-ok based on the Natur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Territory and regional tradition in Gangwon-do in cognition of local natural environment difference. the proposal of contemporary han-ok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give a support to the wide planning of Han-ok and the development plan of contemporary Han-ok.

학술조사연구시리즈-선운산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20
    • /
    • pp.3-16
    • /
    • 1982
  • 본 협회는 자연공원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학술조사연구활동을 벌여 그 결과를 본지에 발표함으로써 자연공원의 다목적 종합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 또한 일반국민들의 관심을 일깨우고자 합니다. 이 조사연구는 자연공원별로 순차에 따라 "시리즈"로 엮어 나가고 있읍니다.

  • PDF

화보-세계의 국립공원-카나다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21
    • /
    • pp.41-44
    • /
    • 1982
  • 카나다의 국립공원은 국토의 광역성에도 있지만 개개의 면적이 광대하고 또 과거 인위적간섭를 적게받은 자연지역을 찾아 지정된 것이므로 원시성과 자연성이 매우 높다. 농록의 침엽수림과 감벽의 호수가 펼쳐주는 원시의 절경은 카나다의 국립공원의 대체로 공통된 위대성이라고 말할수 있다.

  • PDF

자연환경교육확충을 위한 표본조사 연구-국립공원의 환경교육장화를 중심으로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9
    • /
    • pp.25-30
    • /
    • 1978
  • 본 연구는 산학협회의 기반구축과 국민복지향상을 위하여 자연환경교육장 조성이 가능한 국립공원지역을 연차적 계획에 따라 연구확충 할 것을 목표로 한국산학협동재단의 특수사업을 위한 연구비 지원으로 당협회에서 수행한 "자연환경교육확충을 위한 표본조사연구" 결과를 요약 게재한 것임.

  • PDF

Analysis of Land Use Change using Agent based Modelling Approach (행위자기반모형을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 분석)

  • Ko, Jin-Seok;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61-1364
    • /
    • 2009
  • 최근 몇 년동안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수자원 관리는 전체적인 접근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사회와 경제발전과 생태계 보호 및 토지이용과 수자원 이용의 적절한 관리와 연결된 개념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역을 간단한 고정된 지역적인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보다 전체로서의 유역 기능을 개선하는데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와 경제발전으로 인해 도시화, 여가 관광지역 및 사회기반시설의 확장 그리고 자연환경의 변화가 발행하고 있다. 효과적인 토지이용 배분과 자연지역의 보호도 중요하지만 잠재적인 홍수피해 저감도 중요한 문제이다. 토지이용의 변화는 많은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유발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다양한 관계자와 자연환경과의 연결과 상호작용 유형을 이해하고 다양한 정책선택과 자연환경 상태가 토지이용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토지이용의 변화를 모의하기 위해서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 ABM)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ABM은 유역관리의 이해당사자간의 정책과정을 도출하고 다양한 유역관리 대안을 평가하기 위해서 홍수위험, 자연개발 및 비용과 같은 유역관리의 영향을 설명하는 통합된 유역모델이다. 여기서 토지이용은 경제적, 지형학적 상황, 공간계획 및 홍수방어정책에 좌우되며, 토지의 속성과 규칙을 통해 토지이용이 선택되게 된다. 본 모형을 통해 공간적으로 분포된 행위자의 운영을 기반으로 종합적인 토지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토지이용 결정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추정하여 통합홍수관리 목적에 맞는 관리 대책의 결정 및 설계를 가능토록 하였다.

  • PDF

A Legal Proposal for Drought Damage Reduction (가뭄피해 경감을 위한 법적 정비 방안)

  • Yi, Young-Kune;Park, Sung-Je;Lee, Jong-Keun;Kim,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88-392
    • /
    • 2010
  • 본 연구는 가뭄이 발생한 경우에 그 피해를 최소화하고 가뭄지역에 대한 적절한 행정적인 구제를 수행하기 위한 기본 연구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자연재해에 대한 대책으로서 자연재해대책법,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 농어업재해대책법 등에서 몇몇 조항이 적용되고 있으나, 가뭄에 대한 대책으로서는 대단히 미흡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가뭄의 특성상 피해지역의 특정이 어렵고 피해기간이 장기간에 걸치며, 가뭄 그 자체의 정의가 어렵다는 점 등이 가뭄피해 구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우선 피해구제의 관점에서 가뭄의 정의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가뭄의 법적인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은 재난으로서의 가뭄을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모호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가뭄지역 선포 및 구제책의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가뭄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가뭄이라고 하는 자의적 해석이 강한 재해로부터 보다 합리적인 대응책의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피해구제의 관점에서도 공정하고 효율적이며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Biotope Mapping between Korea and Germany (한국과 독일의 비오톱지도화에 대한 비교)

  • Choi, Il-Ki;Ahn, Geun-Young;Lee, Eun-Heu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1 no.6
    • /
    • pp.565-57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tical implications and to look into the establishment of new directions for the biotope mapping across the Korean territory so that such biotope mapping process could be used as a means of actual plan for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biotope mapping methodology with that of the biotope mapping pioneer-Germany. As for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literature and data related to the biotope mapping of Korea and Germany and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clinations about biotope mapping of both country, at a level of the national territory, federal government, provincial government, city and settlement areas.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first, it was found that Germany drew up a landscape eco-type map and ecological landscape grade map throughout the nation in order to preserve and manage effectively by differential landscape eco-type unit. In contrast, Korea drew up a map on which Degree of Green Naturality and Ecological Nature Status are reflected for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t a nationwide unit. Secondly, the biotope mapping of German was worked centering on natural areas and their corresponding areas at German provincial government level and it drew up a Red-list by each province, while Korea has yet to carry out biotope mapping at a provincial level corresponding to Germany's. Thirdly, the biotope mapping on German cities and settlement areas includes not only big city areas but also medium &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whereas Korean biotope mapping is conducted mainly centering on urban area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iotope mapping including natural areas and anti-natural area, not limited to city areas should be revitalized in order to be a real means of the all territory's balanced natural environment and biotope preservation & management.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 on biotope pattern catalog and biotope red-list applicable to all territory should be preceded.

Regional drough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natural drought index (자연가뭄지수의 지역별 가뭄특성분석)

  • Kim, Seon-Ho;So, Jae-Mi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9-149
    • /
    • 2016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가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뭄은 홍수와 더불어 그 피해가 가장 큰 자연재해 중 하나이며, 장주기적이고 광역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구체적인 발생시기, 장소,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가뭄극복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가뭄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례로 2014~2015 가뭄으로 소양강 댐은 역대 최저수위를 기록하였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제한급수, 농업용수 부족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처럼 가뭄으로 인한 피해는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더욱 빈번할 것이라는 보고가 있어 가뭄해석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가뭄해석에는 일반적으로 가뭄의 시작, 끝, 지속기간, 발생간격, 누적심도 등을 사용하며, 이를 가뭄특성인자라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시설물의 영향을 배제한 자연가뭄지수(Natural Drought Index, NDI)를 이용하여 국내 5개 행정구역의 지역별 가뭄특성을 분석하였다. 자연가뭄지수의 산정을 위해 입력자료는 3개월 누적강수량, 누적유출량, 평균토양수분량을 사용하였으며, 강수량은 국내 ASOS 59개 지점 자료, 유출량 및 토양수분량은 지표수문해석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였다. 가뭄특성 분석기간은 1977~2012년이며, 가뭄특성인자는 가뭄의 시작, 끝, 지속기간, 발생간격을 활용하였다. 과거 가뭄피해사례와, SPI, SRI, SSI 및 NDI의 가뭄특성인자를 비교하였으며, 정량적 비교를 위해 평균오차, 평균절대오차를 사용하였다. 가뭄특성인자 분석 결과 NDI는 가뭄의 시작과 끝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가뭄의 지속기간은 NDI, 발생간격은 NDI와 SPI가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가뭄지수는 단일변량 가뭄지수에 비해 지역적 가뭄특성을 정확하게 재현한다는 점에서 추후 가뭄감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