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조건

Search Result 1,79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치유농업(케어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라이프스타일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Go, Eun-Ju;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9-24
    • /
    • 2020
  • 치유농업은 현재 많은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나, 학술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으로 공급조건이나 제공프로그램에 대한 파악과 소비자의 성향에 대한 연구가 종합적으로 고려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유농업 소비자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급조건과 제공프로그램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및 전라남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적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치유농업 공급조건이 소비자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공급조건의 하위요인 중 일부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둘째, 치유농업 제공프로그램이 소비자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제공프로그램의 하위요인들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유농업 공급조건이 소비자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모든 하위요인은 이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치유농업 제공프로그램이 소비자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하위요인 중 건강추구는 치유농업 제공프로그램의 자연활동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Direct Measurement of the Shear Stress of Levee Materials through Large-scale Experiments. (실규모 실험을 통한 제방재료의 한계소류력 실측에 관한 연구)

  • Jung, Dong Gyu;Kim, Young Do;Park, Yo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1-21
    • /
    • 2022
  • 충적하천의 하상과 제방은 흐름에 의해 쉽게 침식되는 사립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흐름이 더욱 강해지면 커다란 입자들도 움직이게 되고 더욱 커지면 결국 모든 입자들이 움직인다. 이렇게 흐름에 의해 하상과 제방을 구성하는 사립자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상태를 한계운동이라 하며, 이때의 흐름조건을 한계조건이라 한다. 한계조건은 이동상 수리학의 시작으로, 이때부터 흐름은 물과 유사의 혼합이라는 이상류가 되어 순수한 물의 흐름보다 더 복잡하게 된다. 개수로는 관수로와 달리 반드시 자유수면이 있으며, 따라서 물과 공기와의 마찰은 상대적으로 매우 작으므로 개수로의 전단응력 분포는 관수로와 달리 근본적으로 비대칭이다. 따라서 전단응력은 수로 바닥이나 측벽에서만 작용하게 된다. 한계조건은 이러한 추상적인 의미에 앞서 바닥이 침식되지 않는 하도나 수로의 설계 등에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개수로에서 경계면의 전단응력을 힘으로 표시하는 것을 통상 소류력이라 하며, 개수로 경계면에서 전단응력의 분포도; 이른바 단면의 평균 전단응력의 개념을 도입하여 해석하고 설계기준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하천과 유사한 조건의 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의 급경사수로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제작된 소류력 측정장치를 이용하였다. 하천의 설계나 평가에 적용되는 평균 소류력 개념은 복잡한 난류흐름에서 평가지표로써 대표하기 힘들기 때문에 유사 하천환경의 바닥에서 발생하는 소류력을 직접 측정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결과를 기존의 소류력 산정방법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장치는 실규모 실험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실규모 적용성 검토를 위해 실험실에서 충분한 검증실험을 거친 후 실규모 실험에 적용하였다.

  • PDF

The surface morphology control of the polymeric material using a linear ion source (선형 이온 소스 적용을 통한 폴리머 소재의 표면구조 제어)

  • Sin, Min-Ho;Kim, Byeong-Jun;Park, Yeong-Bae;Kim, Do-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41.2-141.2
    • /
    • 2016
  • 디스플레이, 센서 등 전자소자는 소형화 단계를 지나 인체 부착형 소자로의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 인체 부착을 위해서는 민감한 피부에 장시간 부착시 무해성과 탈부착의 자유로움이 요구되기에 기존의 화학물질을 활용한 접착 방식에서 개코도마뱀 또는 딱정벌레 발바닥에서 영감을 얻은 자연모사형 건식 접착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폴리머를 이용하여 자연모사형 마이크로/나노구조 형성은 기계적으로 가공된 금형 몰딩과 후처리를 통한 매우 복잡한 공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폴리머 소재에 플라즈마를 활용한 나노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며, 건식 접착용 폴리머 소재(PMMA, PDMS)에 따른 표면구조 변화와 표면에너지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위해서 본 연구실에서 자체 개발한 선형이온소스를 활용하였으며 입사에너지, 노출시간, 사용가스에 따른 표면형상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을 활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처리조건에 따른 표면에너지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물접촉각 변화를 측정하였다. PMMA는 입사에너지, 노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쉽게 나노기둥구조가 형성되었으나, 과도한 입사에너지 또는 노출시간에서는 표면구조가 에칭되면서 무너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PDMS는 동일한 조건에서 주름구조 형태를 보였으며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주름구조의 간격이 늘어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나노 구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PMMA가 피부 부착형 접착 패치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from a hot body in the square enclosure with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다른 경계조건을 갖는 밀폐공간 내에 존재하는 고온부로부터의 자연대류 열전달)

  • 권순석;정태현;권용일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6 no.12
    • /
    • pp.2395-2406
    • /
    • 1992
  • Laminar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from a hot body in a square enclosure has been studied for various center positions of a hot body at Grashof number Gr=1.5$\times$10/sup 5/, Prandtl number Pr=0.71 and dimensionless thermal conductivity K/sub s//K/sub f/= 14710. In case of vertical cold walls, the natural convection at the dimensionless center position of a hot body, X/sub c/Y/sub c/=0.2, 0.5 shows the most strong and at X/sub c/, Y/sub c/=0.5, 0.8 the most weak. In case of horizontal cold walls, the natural convection at the dimensionless center position of a hot body ; X/sub c/ Y/sub c/=0.5, 0.2 shows the most strong and at X/sub c/, Y/sub c/=0.2, 0.5 the most weak.

Experimental research trends on Gas hydrate Production (가스 하이드레이트 생산 실험 연구 동향 분석)

  • Lee, Joo Yong;Lee, Jaehyung;Kim, Sejo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47.2-147.2
    • /
    • 2011
  • 새로운 에너지원으로서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개발 연구는 한국에서는 2005년 산업자원부에 의해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 연구 사업이 정식으로 출범하면서 활발히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2007년도에 종료된 1단계 연구를 통하여 동해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이 확인됨에 따라 2단계에서 부터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 연구가 연구의 중심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생산 연구는 물성/생산 실험 연구, 전산모사 연구, 해외 현장 시험 생산 연구로 크게 나뉘어 질 수 있는데 현재 한국에서는 물성/생산 실험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보다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연구를 위하여 기 실험된 연구를 종합 분석하여 체계적인 실험 결과의 활용과 향후 연구 계획을 하고자 한다. 본 발표에서는 기 실행된 실험 연구를 수행기관, 시료의 크기, 경계조건 등의 실험 규모, 시료의 종류, 하이드레이트 형성 조건, 측정 물성, 채택 생산 기법 등의 실험 내용 등을 종합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1단계에서는 주로 실험실 스케일, 인공 모래 시료, 인공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이용한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2단계에서는 중규모, 자연시료, 자연 하이드레이트를 이용한 실험연구가 시작되었다. 초기 단계에서 생산 기법으로 감압법, 열수 주입법, 열자극 법, 화학 억제제 주입법, 치환 생상법 등이 연구되었으며 그 결과 감압법을 주 생산 기법으로 하여 열수 주입법, 열자극법, 화학 억제제 주입법 등을 하이드레이트 재생성 억제기법으로 혼합하여 쓰는 하이브리드 기법들이 연구 되었으며 현재 세계적인 수준의 실험 연구 기술 수준을 보유 하고 있는 치환 생산법 연구가 또한 현재까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PDF

합성섬유를 증발매체로한 저농도 방사성액체폐기물 처리

  • 김태국;김길정;이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513-518
    • /
    • 1996
  • 저농도 방사성 액체폐기물의 최종 처리를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면 35%와 Polyester 65%가 함유된 합성섬유를 증발매체로 하여 자연상태의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자연증발처리시설에서 증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에 따라 증발 단위 면적당 Cs-137, Co-60을 함유한 방사성 폐액의 증발량측정 및 제염계수를 조사하였다. 증발효과는 유입공기의 습도가 낮고, 공기의 유속과 공급액의 유량이 증가하고 유입공기 및 폐액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발량이 증가하였다. 실험결과 유입된 공기는 1$0^{\circ}C$ 이상, 습도는 80% 이하, 공급폐액의 유량이 3.4 $\ell$/hr $m^2$ 이상, 공기유속은 1.14~l.47 m/sec 범위가 조업조건이며 이때 제염계수는 5.1 $\times$ $10^3$, 배출공기의 방사능 농도는 4.7$\times$$10^{-13}$ $\mu$Ci/$m\ell$ air로 측정되었다. 공급유량이 4.6$\ell$/hr.$m^2$와 공기유속이 1.47 m,/sec일때 최대 증발조건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증발량은 총 증발면적 11,250$m^2$ 에서 1.2 ㎥/hr로 측정되었으며 대기의 온.습도 및 풍속에 따른 실험을 통하여 달톤형 증발식의 Wind Factor [Eh = (0.0168 + 0.0141V)$\Delta$H]를 도출하였다.

  • PDF

Seasonal and Diurnal Changes of Antioxidant Enzymes in Four Subtropical Plant Species (아열대성 식물 4종의 항산화효소 활성과 Isoenzyme의 계절적.일주기적 변화)

  • 오순자;고석찬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11b
    • /
    • pp.67-67
    • /
    • 2002
  • 아열대성 식물 4종 (문주란,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박달목서, Osmanthus insularis; 죽절초, Chloranthus glaber; 파초일엽, Asplenium antiquum)을 대상으로 자연 환경요인의 변화에 의한 항산화 효소 (superoxide dismutase, peroxidase, catalase, ascorbate peroxidase)의 활성과 isoenzyme 패턴의 변화를 전기영동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peroxidase의 활성과 isoenzyme 패턴이 식물종이나 환경조건에 따라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Peroxidase는 4종 모두에서 여름철보다 겨울철에 활성이 높았고 문주란, 박달목서, 파초일엽에서는 겨울철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isoenzyme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Catalase는 문주란, 박달목서, 파초일엽에서 검출되었다. 문주란 잎에서는 겨울철에 비해 여름철에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박달목서와 파초일엽에서는 겨울철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문주란과 박달목서에서는 겨울철에 새벽이나 밤보다 낮시간에 높은 활성을 보였는데 파초일엽에서는 낮시간의 catalase 활성이 낮았다. Superoxide dismutase는 문주란, 박달목서, 파초일엽에서 검출되었으며, 특히 박달목서에서는 겨울철에 높은 활성을 보였다. Ascorbate peroxidase는 문주란과 파초일엽에서 관찰되었으나 계절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겨울철에는 isoenzyme 패턴의 일주기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 종별로는 문주란, 파초일엽에서 4종의 항산화효소가 모두 검출되었고, 박달목서에서는 ascorbate peroxidase가, 죽절초에서는 peroxidase를 제외한 모든 항산화 효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식물종에 따라 또는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라 항산화효소의 활성 또는 isoenzyme 패턴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항산화효소의 계절적 그리고 일주기적 변화가 관찰되어, 본 연구에서 조사된 4종의 아열대성 식물이 자연환경 조건 하에서도 산화적 스트레스에 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Analysis of physical conditions and veget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Han river estuary (한강하구습지에서 물리적 조건과 식생분포 특성 분석)

  • Chung, Sang-Joon;Ahn, Hong-Kyu;Oh, Joon-Seok;Kim, Si-N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08-208
    • /
    • 2011
  • 하구는 하천의 담수와 염수가 교차되고 혼합되는 기 수역으로서 수생 생태계의 중요한 서식처이며 바다와 하천의 중요한 생태통로가 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4대 하천 중에서 한강하구가 유일하게 하구 둑이 없는 자연하구이며 나머지 대하천은 둑으로 인해 담수와 해수의 자연스러운 흐름이 제한되고 생태적인 연결이 단절된 형태이다. 한강하구에는 대규모 습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장항습지는 종단길이 약 7.5km, 폭 최대 500m에 달하는 대규모 습지로서 고라니를 비롯한 동물과 줄, 선버들을 비롯한 식물의 대규모 군락이 분포하는 등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하구의 장항습지와 산남습지를 대상으로 특정구간의 물리적 특성, 식생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포괄적인 현장조사를 통해 전체 식생군락과 분포를 파악하고 특징적인 식생군락을 선정하였다. 2차적으로는 선정된 줄 및 선버들 군락지를 대상으로 토양단면, 토양입경을 분석하고, 새섬매자기 군락지를 대상으로 측량을 실시하였다. 3차적으로는 대상 군락의 지하수위를 측정하여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우선 한강하구의 지역적 특징에 국한되지만 향후 타 지역과의 비교연구가 수행된다면 대상 식생과 물리적 생장조건과의 정량적인 관계가 도출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imulation of Events Using Contour Map in the Virtual Environment (등고선을 이용한 가상환경 시뮬레이션에서의 이벤트 표현)

  • Park Jong-Hee;Oh Kyu-Y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5
    • /
    • pp.42-55
    • /
    • 2006
  • In most multimedia systems, the environment is considered as a passive background. In virtual environment simulating real world, however, terrain affects many events such as wind, rain, clou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del terrain and meteorological phenomenon in order to simulate realistic virtual environment. In those modeling, not only height and location information but als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important. An event is composed of many activities and subevents based on causality and consists of precondition , procedure and effects. Each part of an event is formulated in terms of a number of parameter variables, which correspond to its associated factors on existence or states of entities and relation. This paper represents terrain and environmental factor using contour map. Moreover, we define various events and their procedures in terms of causality in virtual environment.

  • PDF

Development of Image sensor based automatic sun tracking system (이미지 센서기반의 태양광 자동 추적 시스템 개발)

  • Kim, Se Yoon;An, Seo Kil;Kim, Sung Ho
    • Smart Media Journal
    • /
    • v.3 no.1
    • /
    • pp.22-27
    • /
    • 2014
  • Recently, domestic energy environment is facing new challenges owing to the depletion of fossil fuel such as oil. Renewable energy resources including solar and wind energy are attracting more interests than ever before. However, solar power system is costly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power generation systems and also the energy density is low. Furthermore, large area is required in order to install solar power system. Generally, performance of solar power system is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and alignment of sun and the solar cell modules. In this study, a new type of sun tracking system for solar power system is propos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actual implementation of prototype system and experiments are carried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