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자원

Search Result 1,48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개정자원공원법 시행령(1987. 7. 1. 시행)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36
    • /
    • pp.37-43
    • /
    • 1987
  • 86년 12월31일 법률 4,000호로 공포되어 87년 7월1일에 시행된 자연공원법과 함께 같은날자 대통령령 제12205호로 시행된 개정자연공원법시행령은 다음과 같다. 이 개정자연공원법시행령은 지난 4월6일 입법예고되었던 것이다.

  • PDF

Outline of a Regional Action Plan for Protected Areas in East Asia (동아시아 자연보호지구 실천계획(요약))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62
    • /
    • pp.48-58
    • /
    • 1994
  • 본고는 본회회원인 서울대 산림자원학과 우보명교수가 최근 중국북경에서 열린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국립공원자연보호지구위원회 동아세아 위원회(CNPPA - EA Steering Committee)에 참석하여 토의채택된 국제회의결과를 몸소 요약 정리한 값진 자료이기에 계재한다.

  • PDF

중국 현대 자연 경관에 대한 인류활동의 영향

  • 장삼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1 no.32
    • /
    • pp.82-89
    • /
    • 1992
  • 지구상에 인류가 있은 후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끊임없이 자연을 개조하고 이용하였으며 자연계에서 자원을 찾아 내여 자기의 새로운 생존조건을 창조하였다. 생산력이 발전됨에 따라 인류가 자연을 이용 개조하는 능력이 계속 높아짐으로써 자연환경의 원래의 면모도 개변되고 있다. 중국 현대 자연환경관에 대한 인류활동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우선 중국 현대경관의 형성부터 보기로 하자.(중략)

  • PDF

환경 교육적 측면에서 본 설악산 국립공원의 자연관찰로 기능에 관하여

  • 조태동;조현주;신병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61-63
    • /
    • 2003
  • 설악산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천연보호구역과 생물권보전지역이 중복되어 지정되어 있으며, 자연공원법 상 자연보존지구도 가장 넓은 구역이 지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전적 측면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는데, 그것은 그만큼 다양한 자원이 분포하고 있으며 가치 또한 높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관찰로는 다양한 자원에 대한 이해와 보전을 통한 환경교육의 장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행 조성된 자연관찰로는 기존한 등산로에 조성되어 있고. 해설안내판 역시 타 국립공원과 차별화되어 있지 못하여 이용자의 인지도나 매력도가 매우 저하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설악산 국립공원의 적절한 자연관찰로에 대한 조성안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따라 향후 흥미로우며, 환경교육의 장으로서 그 역할이 기대된다.

  • PDF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사육밀도별 성장과 생존율

  • 정해진;문승현;장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81-382
    • /
    • 2001
  •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는 식용으로 기호도가 높고 유용 수산자원으로서 개발 가치가 높으나 성장이나 자원량에 관한 기초 생물학적인 조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중금속, 농약 등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어 자연산 다슬기의 식용 가능성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에 이르고 있으며, 자연자원도 급격히 줄어 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슬기의 종묘생산 및 양식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 종에 대한 번식생물학적인 연구 (Chang et al., 2000)가 진행되고 있으나, 다슬기 종묘의 성장 상황에 대한 기준 자료는 찾아보기 힘들다. (중략)

  • PDF

The Economic Assessment of Claims for Oil Pollution Damages : The Canadian Experience (유류해양오염으로 인한 환경피해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 캐나다의 유류해양오염에 대한 사례연구)

  • Jung, Hyung-Chan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 /
    • v.34 no.1
    • /
    • pp.157-183
    • /
    • 2003
  • 유류오염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정책 수단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요한 것으로는 인센티브제의 활용을 들 수 있다. 유류오염 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인센티브는 유출 사고로 인해 발생한 해양자원의 피해에 대해 가해자에게 배상책임(liability for losses due to spills)을 부과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피해액을 실제 화폐단위로 계량화하는 작업은 배상책임 부과제도를 정책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어려운 과제이다. 따라서, 최근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자연자원 피해에 대한 가치 평가법(Natural Resource Damage Assessment : NRDA)은 배상책임 부과제도를 정책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이론적 도구로 간주되고 있다. NRDA는 잠재적인 가해자들에게 그들이 자연환경을 보존해야 하는 사회적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고 이를 훼손하게 될 때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사회적 비용을 직접 부담해야 한다는 명확한 재무적 인센티브(financial incentive)를 부여함으로써 가해자 보상 원칙 (polluter pays principle)을 실현 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환경자원 피해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가장 중요한 이론적 모형으로 활용되고 있는 가상상황평가법(CVM)에 대한 기초 개념과 이론적 체계, 그리고 이를 실제 피해액 추정에 성공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점 등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88년 캐나다 북서부 연안에서 발생한 Nestucca 유류오염 사고를 사례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사고 당시 캐나다 연방정부와 British Columbia 주정부를 대신하여 해양오염에 의한 환경피해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미국의 컨설팅 회사인 RCG/Hagler, Baily Inc.의 가상상황평가법(CVM) 적용 사례를 분석 검토하였다. Nestucca 사례연구에서는 이들 연구자들이 실제로 활용한 설문지 설계, 설문방법 및 표본설계 등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CVM이 본질적으로 갖고 있는 방법론적 문제점들을 연구자들이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는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WTP 추정을 위해 RCG 연구자들이 사용한 사전규제접근법(ex ante regulatory approach)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환경자원 피해액 추정 방법의 한계점도 함께 검토하였다. 캐나다 연방정부와 British Columbia 주정부는 Nestucca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자연 자원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으로 $4.3 Million의 보상금을 지급 받게 된다. 캐나다 정부는 이 보상금으로 Nestucca Oil Spill Trust Fund를 설립하여 피해를 입은 자연자원의 원상회복(restoration)을 위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Nestucca 유류오염 사고를 계기로 캐나다 정부와 학계는 해양자원의 피해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와 자원의 원상회복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안을 처음으로 마련 시행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Nestucca 유류오염 사고에 대한 사례연구는 캐나다의 해양환경 보존 정책을 연구하는 출발점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유류오염사고로 알려져 있는 시프린스호 사고와 관련된 손해배상금은 주로 연안어민들의 어업피해 배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접피해에 대한 배상액 48억 5천만원도 대부분 치어방류, 여수대학교 종묘배양장건립 등 피해지역 연안어업 발전을 위한 사업에 투자되었다.

  • PDF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tected Areas and Natural Resource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Blog Posts (블로그 게시물에 나타난 수도권 보전지역 및 자연자원의 분포 및 특성)

  • Lee, Sung-Hee;Son, Y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0 no.5
    • /
    • pp.30-39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wareness of conservation areas and green resource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accumulated blog data created for specific places and objects. Among all the conservation areas and resource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laces that can be evaluated were classified, and sites were evaluated by dividing them into ten categories based on the number of blog posts writte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users' awareness of forests was the highest, and the awareness of conservation areas and green resources was higher in urban areas than suburban areas. The result shows that the conservation areas and green resources located around the metropolitan area serve as natural tourist destinations while being the object of conservation for users. In addition, these results are in the same vein as the research results in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the importance of ecosystem services in urban areas. Unlike existing research metho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level of user awareness through social media analysis and applied it to evaluating conservation areas and green resource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a management plan considering public interest and awareness or to establish a development plan to increase awareness. In addition, the cumulative amount of blog content used in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identify and monitor users' interest in the space.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examine the contents of each blog in detail because it was evaluated based on the amount of social media content.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servation areas and green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supplement the evaluation contents by adding keyword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for the site to be evaluated as content other than the pure viewpoint of users may be mixed with development issues.

A study on the method of setting the water quality target level for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통합 환경 관리를 위한 수질 환경의 질 목표 수준 설정 방법에 관한 연구)

  • Hwang, Hyeon-Jeong;Khan, Jong-Beom;Seo, Ji Hye;Lee, Sunkyung;Kim, Young-L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35 no.3
    • /
    • pp.187-196
    • /
    • 2021
  • When evaluating the extent of the impact of water pollutants on the surrounding area,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target level (proposal) of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which is the standard for evaluation. We propose the environmental quality target level for substances that need to be applied domestically by investigating overseas cases operating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the implications of domestic environmental pollutant management. The appropriateness of the environmental quality target level reviewed in this study was determined using data from the water quality measuring network, and future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We review the available methodologies for setting quality objectives for the environment. It proposed the environmental quality target level for 21 substances that have domestic water pollutant emission standards and do not have environmental standards, and proposed future improvement measures. If it is necessary to add quality target-level items of the environment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expansion will be possible based on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고수동굴 관광객의 이미지 및 행태 특성

  • 김원진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9-20
    • /
    • 2001
  • 국민소득의 향상과 여가생활의 증대로 관광산업은 환경산업과 더불어 미래의 주요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자연동굴은 신비스러운 내부 경관과 자연생태의 보고라는 교육적 관점에서 매우 훌륭한 관광자원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연동굴을 보유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지역개발 및 관광수입원으로서 자연동굴의 개발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