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의 권리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Urban alienation and the just city (도시적 소외와 정의로운 도시)

  • Choi, Byung-D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3
    • /
    • pp.576-598
    • /
    • 2016
  • This paper is to reconsider some characteristics of philosophical discussion on alienation, especially focusing on Lefebvre's concept of alienation, and then to conceptualize a number of features of alienation in both industrial and postindustrial capitalist cities.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city in industrial capitalism has brought about alienation from nature and from land(i.e. means of production), and in these contexts, has generated alienated labour of urban labourers, which has been deepened through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ies and divisions of labour. The transformation from industrial to postindustrial society can be seen not as alleviating but as further intensifying and expanding process of alienation. Urban alienation in postindustrial society has been spatially and temporally extended through processes of glocalization and of financializ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redit system. It also has been widened to fields of consumption and leisure and to spheres of non-material production, and has get more deeply involved in capital circulation through built environment and landscape(or spectacles) of cities. Finally this paper is to re-examine briefly theoretical discussions on dealienation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just city for dealienation of labour and of urban space,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oncept of 'the right to the city' as practical strategy of urban dealienation, and to suggest further three kinds of justice for the just city, that is, justice for distribution, for production and for recognition.

  • PDF

A Plan to Provide Effective Risk Map Information by Linking a 3D Disast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with an On-site Assistance Application (3D 재해 정보 표출시스템과 현장 지원 APP간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Risk Map 정보제공 방안)

  • KIM, Do-Ryeong;GANG, Su-Myung;RYU, Dong-Ha;PARK, Ju-Sung;JO,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141-153
    • /
    • 2016
  • The increase in frequency and scale of natural disasters is the typical negative examples of the global climate change and the change of the human living environment in cities.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in particular including human and physical damage is directly linked to the safety and properties of citizens. Besides, the damage may occur to SOC facilities directly or indirectly. The SOC facilities damaged by disasters cause infringement of citizens safety rights. Therefore, a plan to provide prompt and effective risk map information by linking a 3D disast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which handles the information of the damage that may occur to SOC facilities such as bridges, beams, and dams at the time of disasters, with an on-site assistance application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prompt provision of risk map information is defined as a dynamic expression technology in this study. Also, disaster information is processed and compressed with a module developed to be linked organically to a system that displays disaster information, a proliferation system that can use the information on site, and a DB system that constructs a relationship with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module, the effective disaster information compression plan will be prepared, and the prompt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will be secured in the future.

The Role of Women in Health Care in Korea (한국 보건의료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44-50
    • /
    • 1984
  • 한국여성은 전통적으로 대가족제도 속에서 육아 및 가사활동에만 종사해왔다. 그러나 산업화 및 사회구조의 변화로 여성들도 교육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전통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가치변화와 함께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반면에 가족 형태가 핵가족화 함으로서 가족 내에서의 자녀양육을 비롯한 가정적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여성에게 현재의 사회구조와 핵가족 속에서는 시간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두 가지 상반된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반된 역할사이에서는 여성은 갈등과 좌절감을 느끼게 되며 이중적인 부담 속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가치관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여성-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족은 부계 중심의 혈연 계승을 중요시하는 가부장적 대가족제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계 계승을 통한 가족의 영속성과 가 중심사상에 기반을 둔 철저한 가족주의적 가치관이 전통적 사회를 지배하여 왔다. 그러므로 자연히 개인보다 가족집단이 우의적인 지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행동의 결정에도 중요한 준거 집단이 되었다. 이러한 가의 영속 및 번영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녀를 필요로 했으며 부계중심 가족에서 자연히 남아 선호사상이 강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것은 조상에 대한 의무요 책임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가부장권의 확대에 반비례해서 가정 내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은 축소되어갔다. 여성들의 절대적인 예속을 필요로 하여 삼종지도니 칠거지악이니 불경이부등의 도덕률을 만들었으며 여성들 스스로가 이러한 정절과 복종을 미덕으로 생각하도록 교육받음으로서 여성들 자신이 자기희생의 굴레 속에서 인내와 복종의 생활을 운명처럼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남편과 자식을 위해서는 목숨까지도 희생하게끔 철저히 사회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가족 제도 안에서의 남녀의 지위는 동위 항렬 내에서만 해당되고 항렬을 달리할 때는 삼종지도의 이론에 부합된다. 어머니로서의 존장련이 인정되어서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종속적인 지위에 비하여 모의 권한은 절대적이었다. 상례와 제례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의식에는 차이가 없으며 내외 명부제도에 의해서 부인도 남편과 똑같은 대우를 받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존장련에 의한 모의 권리와 더불어 부부유별에 의해서 가사권의 독자적인 결정권도 인정되고 있었다.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 전통적으로 건강관리에 관련된 한국여성의 역할은 1. 씨받이로서의 역할로 생명을 잉태하도록 돕고 건강한 아이의 수태를 위해 태교에 힘썼으며 2. 자녀의 의식주를 해결하는 가사 역할만을 담당하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며 출산한 생명을 건강하게 자라도록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였으나 체계적인 건강관리는 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으나 정서, 사회면은 도외시 한 과잉보호현상이었다. 3. 결혼 후에는 남편의 건강관리를 위해 철저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고 정서적으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유념하였다. 4. 또한, 임종시 평안한 죽음을 맞도록 도왔다. 전통적으로 한국여성의 역할은 돕는 역할이었다.

  • PDF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환경오염의 세계적인 경향)

  • 송인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2.03a
    • /
    • pp.3.4-5
    • /
    • 1972
  • 생활수준이 낮은 단계에 있어서는 우선 식량에 대한 수요가 강하다. 인간의 욕구가 만족스럽게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제일 강하게 발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점차 과학기술과 산업과 경제가 발전하여 성장과정에 오르게 되고 소득수준도 향상하게 되면 시장기구를 통해서 구입 할 수 있는 개인의 물적 소비재에 대해서는 점차 충족하게 되며 식량이외에도 의복, 전기기구 및 일용생활용품, 자동차 등에 이르기까지 더욱 고차원의 소비재가 보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며는 사람의 욕구는 사적 재물이나 물적 수요에서 점진적으로 공공재나 또는 질적 수요(주택, 생활환경 등)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써 여기에 환경오염 또는 공해문제에 대하여 의식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욱이 문제점이 되는 것은 소득 수준의 향상 과정이란 그 자체가 환경오염의 커다란 요인이라는 점이며 자동차의 급격한 보급과 생활의 편의성을 구하여 집중되는 도시인구의 집적, 높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생산성 높은 중화학공업의 발전 등등은 그 자체가 환경권이란 사람이 요구하는 고차원의 권리를 침해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나 공해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논의는 이미 시작된 지 오래이지만 현재는 우리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나 생활환경의 보전을 위해서라는 점에서는 그치는 것이 아니고, 더욱 넓혀서 자연의 보호, 자원의 보호라는 견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확대된 이해와 이에 대한 대책강구의 제안은 1968년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스웨덴 정부대표에 의하여 제시되었으며 1969년의 우- 탄트 사무총장의 인간환경에 관한 보고서, 1970년 Nixon 미대통령의 연두일반교서 그리고 1972년 5월 6일 스웨덴의 스톡홀롬에서 개최되는 인간환경회의의 주제 등을 통해서 알 수 있고, 종래의 공해나 생활환경의 오염문제라는 좁은 개념에서가 아니고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즉 환경개발(도시, 산업, 지역개발에 수반된 문제), 환경오염(인위적 행위에 의하여 환경의 대인간조건이 악화하는 문제) 자연ㆍ자원의 보호관리(지하, 해양자원, 동식물, 풍경경치의 문제)란 3개 측면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다. 환경오염이란 문제를 중 심하여 보면 환경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대기, 물, 토지 또는 지각. 그리고 공간의 사대요소로 집약하여 생각할 수 있음으로 이 4요소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대기의 오염은 환경의 오염중 가장 널리 알려진, 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오염의 문제로써 이에 속하는 오염인자는 분진, 매연, 유해가스(유황산화물, 불화수소, 염화수소, 질소산화물, 일산 화염소 등) 등 대기의 1차 오염과 1차 존재한 물질이 자외선의 작용으로 변화발생 하는 오존, PAN등 광화학물질이 형성되는 2차적인 오염을 들 수 있다. 기외 카도미움, 연등 유해중금속이나 방사선물질이 대기로부터 토지를 오염시켜서 토지에 서식하는 생물의 오염을 야기케 한다는 점등이 명백하여지고 있으며 대기의 오염은 이런 오염물질이 대기중에서 이동하여 강우에 의한 침강물질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소위 광역오염문제를 발생케하며 동시에 토지의 토질저하등을 가져오게 한다. 물의 오염은 크게 내육수의 오염과 해양의 오염의 양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 역시 환경오염의 역사상 오래된 문제이며 시초에는 인분뇨와의 연결에서 오는 세균에 의한 오염이나 양수 기타 일반하수와의 연결에서 오는 오염에 대비하는 것부터 시작하였지만 근래에는 산업공장폐수에 의한 각종 화학적유해물질과 염료 그리고 석유화학의 발달에 의한 폐유등으로 인한 수질오탁문제가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측 오염이란 시초에 우리에게 주는 불쾌감이 크므로 이것을 피하자는 것부터 시작하여 인간의 건강을 지키고 각종 사용수를 보존하자는 용수보존으로 그리고 이제는 건강과 용수보존뿐만 아니라 이것이 농림 수산물에 대한 큰 피해를 주게됨으로써 오는 자연환경의 생태계보전의 문제로 확대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간 특히 해양오염에 대한 문제는 국지적인 것에만 끝이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의 해양에 곧 연결되는 것이므로 세계각국의 공통관심사로 등장케 되었으며 이것은 특히 폐유가 유류수송 도중에 해양에 투기되는 유류에 의한 해양의 유막성형에서 오는 기상의 변화와 물피해등이 막심함으로 심각화 되고 있다. 각국이 자국의 해안과 해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치를 서두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볼 때에는 이는 국제문제화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국제적 협력과 협조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좋은 예라 하겠다. 토양의 오염에 있어서는 대기나 수질의 오염이 구국적으로 토양과 관련되고 토양으로 환원되는 것이지만 근래에 많이 보급사용되는 농약과 화학비료의 문제는 토양자체의 오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농작물을 식품으로 하여 섭취함으로써 발생되는 인체나 기타생물체의 피해를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한 것이며, 또 토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하여 농림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다. 지반강하는 지각 에 주는 인공적 영향의 대표적인 것으로써 지하수나 지하 천연가스를 채취이용하기 위하여 파들어 감으로써 지반이 침하 하는 것이며 건축물에 대한 영향 특히 풍수해시의 재해를 크게 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공간에 있어서의 환경오염에는 소음, 진동, 광선, 악취 등이 있다. 이들은 특수한 작업환경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에 직접적인 큰 피해를 준다고 생각할 수 없으나 소음, 진동, 관선, 악취 등은 일반 일상시민생활에 불쾌나 불안을 줌으로써 안정된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공간의 오염물로써 새로운 주목을 끌게된 것은 도시산업폐기물로써 이들은 대기나 물 또는 토지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공간을 점령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이나 기능을 손상케 하는 것이다. 즉 노배폐차의 잔해, 냉장고등고형폐기물등의 재생불가능한 것이나 비니루등 합성물질로 된 용기나 포장 등으로 연소분해 되지 않은 내구소비재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maker의 양식에 호소하여 그 책임 하에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본다. 이렇듯 환경오염은 각양각색으로 그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원인 산업장이나 기타 기관에서의 발생요인을 살펴보며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A. 제도적 요인 1. 관리체재의 미비 2. 관리법규의 미비 3. 책임소재의 불명확 B. 자재적 요인 1. 사용자재의 선택부적 2. 개량대책급 연구의 미흡 C. 기술적 요인 1. 시설의 설계불량, 공정의 결함 2. 시설의 점검, 보전의 불충분 3. 도출물의 취급에 대한 검사부족 4. 발생방지 시설의 미설치, 결함 D. 교육적 요인 1. 오염물질 방제지식의 결여 2. 법규의 오해, 미숙지 E. 경제적 요인 1. 자금부족 2. 융자상의 문제 3. 경제성의 문제 F. 정신적 요인 1. 사회적 도의심의 결여(이기주의) 2. 태만 3. 무지, 무관심 등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방지란 상기한 문제의 해결에 기대하지 않을 수 없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국내적 국제적 상호협조에 의한 사회각층의 총력적 대책이 시급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단속된다 하며는 미구에 인류의 건강은 물론 그 존립마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며, 현재는 점진적으로 급성피해에 대하여는 그 흥미가 집중되어 그 대비책도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미량의 단속접촉에 의한 만성축적에 관한 문제나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앞으로 태어날 신생률에 대한 영향이나 유전정보에 관한 연구는 장차에 대비하는 문제로써 중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기외에 우려되는 점은 오염방지책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올 수 있는 파생적인 문제이다. 즉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산기업체가 투자를 하게 되며는 그만큼 생산원가가 상승할 것이며 소비가격도 오를 것이다. 반면 이런 시책에 뒤떨어진 후진국의 값싼 생산국은 자연 수입이 억제 당할 것이며, 이렇게되면 후진국은 무역경쟁에서 큰 상처를 입게될 것이고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 필요한 오염물질의 발생이 높은 생산기기를 자연후진국에 양도하게 될 것임으로 후진국의 환경오염은 배가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해양오염을 방지할 목적에서와 같이 자국의 해안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법의 규제는 타국의 선박운항에 많은 제약을 가하게 될 것이며 이것 역시 시설이 미약한 약소후진국의 선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으로 교통, 해운, 무역등을 통한 약소후진국의 경제성장에 제동을 거는 것이 될 것이다. 이렇듯 환경오염의 문제는 환경자체에 대해서만 아니라 부산물적으로 특히 후진국에는 의외 문제를 던져주게 되는 것임으로 환경오염에 대해서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써 Nixon 대통령이 말한 결의와 창의와 그리고 자금을 가지고 과감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The Origin of Records and Archiv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Formation of Archival System: Focusing on the Period from the Early 17th Century to the Mid 20th (미국의 기록(records) 및 아카이브즈(archives)의 역사적 기원과 관리·보존의 역사 17세기 초부터 20세기 중반까지를 중심으로)

  • Lee, Seon Ok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80
    • /
    • pp.43-88
    • /
    • 2024
  •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is a relatively quiet latecomer to the traditional archives of the Western world. Although the United States lacks a long history of organized public records·archives management, it has developed a modern system optimized for the American historical context. This system focuses on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 vast amount of modern records produced and collected during the tumultuous 20th century. As a result, NARA has established a modern archival system that is optimized for the American historical context. The U.S. public records·archives management system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records·archives are the property of the American people and belong to the public. This concept originated during the British colonial era when records were used to safeguard the rights of the colonies as self-governing citizens. For Americans, records and archives have long been a symbol of the nation's identity, serving as a means of protecting individual freedoms, rights, and democracy throughout the country's history. It is natural, therefore, that American life and history should be documented, and that the recorded past should be managed and preserved for the nation's present and future. The public records·archives managemen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is the result of a convergence of theories, practices, lessons learned, and ideas that have been shaped by the country's history, philosophies, and values about records, and its unique experience with records management. This paper traces the origins of records and archives in the United States in a historical context to understand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merican life and records. It examines the process of forming a modern public records management system that is both uniquely American and universal to the American context without falling into the two forms of traditions that reflect the uniqueness of American history.

Legal Issues of Urban Parks as a Reservation Area in the Initial Legislation on Urban Parks in Korea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k Act (1967~1980) (우리나라 도시공원 관련 초기 법률 입안과 「공원법(1967~1980년)」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유보지로서 도시공원에 관한 제도의 문제)

  • Oh, Chang-S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6 no.3
    • /
    • pp.103-116
    • /
    • 2018
  • The Park Act (1967~1980) was the first law to define urban parks in Korea. The urban parks of that time were similar to a reservation area used for other purposes after giving regulation. Because 'the urban park as a reservation area' in the past is a repeated park issue in the pres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ssues of the original law system that created the cause.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legislation to reserve an urban park by collecting bills and information about the factual relationship between 1960 70s park issues and the Park Act. Analysis showed that the reason for the adoption of different kinds of urban parks in the law of a nature park is that a negative list separated from the Urban Planning Act is required to curb private usage. Inherent in the Park Act, however, was the problem of allowing the encroachment of urban parks by governmental power. (1) The Park Act sets out a wide range of cases to abolish urban park. (2) Unclear setting of governmental power could abuse the urban park. (3) Insufficient standards were able to erode the urban park with large for-profit facilities. (4) The inactivity of the Urban Public Park Committee had reduced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professional judgement on park issues. Therefore, the Park Act was characterized as infringing on the environment and right to urban parks and took a passive attitude in creating parks and in citizen usage thereof. The Park Act had limitations as a progenitor for establish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of urban parks.

The Hmong Response to State Intervention in Vietnam's Upland: A case study of a remote hamlet in North Central Vietnam (베트남 산악지역에서의 국가의 간섭과 흐몽족의 대응 - 베트남 북중부의 프론티어 마을을 사례로 -)

  • Le, Quy Ngoc Phuong;Kim, Doo-Chul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2
    • /
    • pp.119-138
    • /
    • 2018
  • The Hmong people are one of the largest ethnic groups in Vietnam. They traditionally practice shifting cultivation for their daily subsistence. This group has a traditional governance system as well as strong clan and kinship relationships that occup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Hmong culture and livelihoods. The state's approval of the legitimate and statutory law for the Nature Reserve largely excluded local rights of access to and the use of natural resources. This study focusses on Hmong responses to the state intervention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ure Reserve as well as forest land allocation. Based on Scott's contribution of Moral Economy (1976), the authors argue that local responses function as a 'risk-averter' against state intervention. Meanwhile, the intra and inter-ethnic relationships based on the 'subsistence ethic' help locals successfully mitigate state intervention. These findings help the state rethink their interventions, which have been constructed with very little respect for local differences or the desires of ethnic peoples. Furthermore, the main findings, which reveal that not only the intra-ethnic relationship but also the inter-ethnic relationship among ethnic minoriti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Moral Economy, are expected to deepen the previous understanding on the Moral Economy, which has previously constrained its scope to the intra-ethnic relationship.

A Study on Improvement of Site Selecting Indicators for Safe Pedestrian Environment (안전한 보행환경 사업 대상지 선정지표 개선방안 연구)

  • Lee, Jong Nam;Heo, Joon;Cho, Won Cheol;Lee, Tae Sh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1
    • /
    • pp.79-86
    • /
    • 2013
  • As car-oriented road policies have been made forward so far, relatively pedestrians' walking conditions are so in poor environments that more than two thousand pedestrians die from car accidents every year. Pedestrians' walking right has been severely invaded like that. Pedestrians' walking right is a right that people are able to walk safely and comfortably in pleasant surroundings as long as they don't threaten the public safety, order maintenance, and welfare. The government has an obligation to provide safe, comfortable, and pleasant environments to pedestrians. Recently interests in pedestrians' safety are increasing, government-driven supports have been made to make safe, pleasant, and healthy walking surroundings. As poor walking condition improvement projects cost high, they should be progressed to accomplish maximal effects using finite finances efficiently, and post feasibility evaluations of the projects should be severely estimated. However site selecting indicators which satisfy with the goal for composing safe working surroundings have not been decided yet, though currently it has a legal basis to specify walking condition improvement sites by the Law for Pedestrians' safety and Comfort Increasemen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suggesting improved ways for selecting sites where pedestrians' safe environment project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When project sites are selected, evaluation indicators related to awareness survey of residents and history should be excluded, and disaster safety assessments for walking safety facilities, latent human hazards and natural disasters like a strong wind are proposed besides evaluations on pedestrians' safety and walking environment for matching with the purpose of the project to make safe working surroundings.

Advances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Taiwan

  • Cheng, Shao-Yi;Chen, Ching-Yu;Chiu, Tai-Yu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9 no.4
    • /
    • pp.292-295
    • /
    • 2016
  •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Taiwan has been growing continuously. The 2015 Quality of Death index, as rated by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ranked Taiwan first among Asian countries and sixth in the world. In this review article, we highlight three particular areas that might have contributed to this success; the laws and regulations, spiritual care and research network. Finally, we discuss the future challenges and prospects for Taiwanese encounters. A systemic review was conducted with the keywords "hospice palliative care Taiwan" using PubMed. The passing of the "Natural Death Act" in 2000 set the example and established a landmark for patient autonomy in Asia; it guarantees the patient's right to request that medical staff do not resuscitate (DNR) them and to reject other futile medical treatments at the end of their life, thus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palliative care from the policy perspective. In 2015, Taiwan passed another pioneering law entitled the "Patient Autonomy Act". This law states that a patient may decline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his/her own will. Taiwanese indigenous spiritual care was launched in 2000. It requires a Buddhist Chaplain to successfully complete a training program consisting of lectures, as well as bedside practicum before applying Buddhist practices to end-of-life care. The Japan-Korea-Taiwan research network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enabling collaborative research for the East-Asian collaborative cross-cultural Study to Elucidate the Dying process (EASED) cohort. With consensus from the government and society to make it a priority,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in Taiwan has been growing steadily.

Hume's Justice as an artificial Virtue (흄의 인위적 덕으로서의 정의)

  • Lee, Nam-wo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1
    • /
    • pp.133-166
    • /
    • 2017
  •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why justice is based on convention, not nature, in David Hume. Most philosopher, since Aristotle, have considered justice in relation to distribution. This understanding of justice continues up to modern times, and is handled especially in relation to ownership or private property in modern times. In modern times, private property is regarded as an absolute right that should not be violated in any case. Hume identifies this private property with justice. The absolute inviolability of private property is equivalent to never violate to justice. Hume is concerned with the question of where this justice originate. In other words, Hume is not concerned with the Kantian justification of justice, but rather with the psychological discussion of the genesis process of the idea of justice. Hume's answer is that "social utility" is its origin. Public societies are necessary conditions for human being. In other words, if public societies do not exist, humans can not exist. How then can a public society, which is a prerequisite for human being, exist or can be maintained? According to Hume, it is maintained by means of justice. So where is the ground for justice? Hume argues that the basis of justice is not nature, but human conventions. Man accepts justice tacitly and by doing so man can maintains his being. This is a rough insight of Hume. Hume uses a wide variety of concepts to carry out his argument. In this paper, we focus on how the idea of justice in human mind, based on these various concepts presented by Hume, is fo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