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연융합형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초

새로운 복합문화공간 유형으로서 자연융합형 공간의 개념 및 특성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nvergence Space as a New Type of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e Theory of Space Production)

  • 이재민
    • 글로벌문화콘텐츠
    • /
    • 제40호
    • /
    • pp.65-85
    • /
    • 2019
  • 한국사회에서 마을, 거리, 시장공간은 단순히 삶을 영위하거나, 생업을 위한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공간은 공간스토리텔링, 장소마케팅 등의 공간 기법이 적용되어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 창출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복합문화공간을 연구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단순히 '시설물'로 규정하고 있어 최근 새롭게 창출되는 복합문화공간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자연융합형 공간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중사례를 선정하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고찰하였다. 자연융합형 공간은 공간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문화정책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였으며, 주민들은 관광공간으로서 인식의 전환을 통해 공간의 실천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지역정체성을 발굴 또는 기존의 정체성을 강화하였으며, 다양한 콘텐츠의 융합을 통해 공간의 재현을 이루었다. 또한 공동체 의식 회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도시재생을 실천함으로써 재현의 공간으로 생산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숫자의 대소관계 파악을 위한 Explicit Feature Extraction(EFE) Reasoner 모델 (Explicit Feature Extraction(EFE) Reasoner: A model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mbers by Size)

  • 안지수;민태원;권가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3-2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서술형 수학 문제 풀이 모델의 숫자 대소관계 파악을 위한 명시적 자질추출방식 Explicit Feature Extraction(EFE) Reasoner 모델을 제안한다. 서술형 수학 문제는 자연현상이나 일상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수학적으로 기술한 문제이다. 서술형 수학 문제 풀이를 위해서는 인공지능 모델이 문장에 함축된 논리를 파악하여 수식 또는 답을 도출해야 한다. 때문에 서술형 수학 문제 데이터셋은 인공지능 모델의 언어 이해 및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문제를 이해할 때 숫자의 대소관계를 파악하지 않고 문제에 등장하는 변수의 논리적인 관계만을 사용하여 수식을 도출한다는 한계점이 존재했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 이해계열 모델 중 SVAMP 데이터셋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내고 있는 Deductive-Reasoner 모델에 숫자의 대소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인 EFE 를 적용했을 때 RoBERTa-base 에서 1.1%, RoBERTa-large 에서 2.8%의 성능 향상을 얻었다. 이 결과를 통해 자연어 이해 모델이 숫자의 대소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정답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Trichoderma koningii의 종내 원형질 융합체의 분석 (Analysis of Intraspecific Protoplast Fusion Products in Trichoderma koningii)

  • 박희문;홍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8-107
    • /
    • 1989
  • Trichoderma koningii ATCC26113으로부터 얻어진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간의 종내 원형질체 융합을 시도하여 생성된 융합체의 유전자형을 완전평판배상에서 분석하였다. 생성된 융합체 중 모균고 다른 독립영양형 균주에서 섬유소 분해능이 증진된 융합체를 얻었으며 이들이 이배체(혹은 이수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이배체(혹은 이수체)의 독립영양청 잡종의 원형 질체 융합을 통하여 유전자의 교환 및 재조합에 의하여 자연분리되므로써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 PDF

덕트형 항온챔버에서 히트펌프 실외기의 성능평가 가능성에 대한 CFD (CFD on the possibil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heat pump outdoor unit in duct-type constant temperature chamber)

  • 김종열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16-121
    • /
    • 2021
  •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고효율 히트펌프를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외기 코일에 발생하는 서리가 발생하는 현상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한 연구도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계절과 관계없이 히트펌프의 실외기에 서리가 발생하지 않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자연 상태와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할 수 있는 곡선형 항온챔버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곡선형 항온챔버가 실험 장치로서 타당성을 갖추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CFD 조건은 곡선형 항온챔버 내에 위치한 실외기 앞의 직선형 덕트 길이를 덕트 관경의 1배, 5배, 10배, 15배로 하였다. 그 결과 덕트 관경의 10배 길이로 시뮬레이션했을 때 자연 상태와 가장 유사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좋은 캠핑'의 유형 및 특성에 대한 Q 방법론 분석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Good Camping' by Q Methodology)

  • 전인환;이종길;이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99-410
    • /
    • 2019
  • 본 연구는 캠핑 참가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캠핑'의 유형구분과 각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좋은 캠핑'의 유형별 특성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유형분류는 총 15명의 Q 모집단을 대상으로 1:1 면접조사를 실시하고. 전문가 회의를 거쳐 Q 표본으로 구성하였다. Q 분류는 총 45명의 P 표본을 임의 표집한 뒤 Q 분류를 실시하였고. 각각의 Q 표본을 코딩하여 QUANL 프로그램을 활용 '좋은 캠핑'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좋은 캠핑의 유형에 대한 결과로 첫째, 동반·휴식형 유형의 특성은 자연에서 느끼는 편안한 휴식활동과 부담 없이 이를 함께 즐길 수 있는 가족이 아닌 동반자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가족활동형 유형은 가족과 함께하는 다양한 캠핑 활동과 이를 통한 정신적 휴식의 측면으로 유형의 특성을 규정할 수 있다. 셋째, 자연·활동형유형의 특성은 주로 자연 속에서의 자유로운 취미활동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차세대 태양전지의 활용 동향 및 스마트 텍스타일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미래전망에 관한 연구 : 산업 소재와의 융합 중심 (A Study on the Application Trends of Next-Generation Solar Cells and the Future Prospects of Smart Textile Hybrid Energy Harvesting Devices : Focusing on Convergence with Industrial Materials)

  • 박붕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51-15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대표되는 유기, 염료 감응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최신 연구 동향과 건축, 조형예술, 의류패션 등 분야를 막론한 다양한 산업의 소재로의 과제와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웨어러블 IoT 장치와 결합하여 자연 및 인공광과 우리 몸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되는 크고 작은 진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될 '스마트 텍스타일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새로운 미래전망과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차세대 태양전지와 마찰·압전소자를 융합한 '하이브리드 텍스타일 에너지 하베스팅 디바이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웨어러블 IoT 기기에 소재 자체로 결합하여 새로운 '융합 일체형 스마트 의류'로 발전할 것이다. 이 연구가 제안한 차세대 나노기술과 소자가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 섬유 소재 분야에 적용되고, 미래 의류 산업에 융합되어 의료,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 AI 서비스 제공하는 창의적인 제품으로 진화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

장기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한 한국 농업용 저수지 영양상태 평가 (Evaluation of Nutrition Condi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in Korea Using Long-term Monitoring Results)

  • 노연정;홍은미;남창동;박태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9-159
    • /
    • 2021
  • 한국은 수자원 이용현황 중 농업용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다. 농업용수의 60% 이상이 저수지에서 공급된다. 현재 한국의 약 18,797개의 저수지 중 대부분이 농업용 저수지로 사용될 만큼 많은 농업용 저수지를 보유하고 있다. 연간 강우량이 7월과 8월에 집중되고 강우의 유출이 빨라 하천의 이용 가능 수량이 한정되어있는 우리나라에서 관개용수 공급 및 하천유지 용수 공급의 기능을 하는 농업용 저수지는 용수원으로써 중요성을 가진다.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은 수량과 더불어 작물생산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저수지의 부영양화는 저수지 기능과 유지관리상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하지만 농업용 저수지의 수량 관리에 비해 수질관리 및 분석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 특성 파악과 건기, 우기와 여름, 겨울철에 따른 부영양화 정도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한국 농업용 저수지의 장기적인 영양상태 파악을 위해 과거 30년 (1991-2020) 연별, 월별 저수지 수질 모니터링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항목으로는 DO (Dissolved Oxygen), TN (Total Nitrogen), TP (Total Phosphorus), SS (suspended solid), SD (Secchi disk), TN/TP, pH를 지정하였다. 자연호가 많은 외국에 비해 대부분이 인공호인 우리나라 저수지는 자연호에 비해 낮은 수심과 작은 저수용량을 가지며 자연호보다 부영양화가 더 빠르게 진행된다. 때문에 부영양화 정도 평가를 위해 TSI와 더불어 한국형 부영양화지수(TSIKo)를 사용하였다. 또한 강우와 각 수질 측정항목 그리고 수온과 DO 간의 상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각 수질 측정항목에 대한 값을 한국 호수 수질 기준과 비교하였다. 이러한 한국 저수지의 부영양화 정도 평가와 화학적 특성에 대한 파악을 기반으로 한국의 농업용 저수지 특성에 따른 적합한 수질관리 방안을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안전성 고도화를 위한 융합-가변형 전차선 검측시스템의 구조 (Structure of Integrated Adaptive Catenary Inspection System for Improved Safety)

  • 김지윤;김정평;김우생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9호
    • /
    • pp.147-152
    • /
    • 2015
  • 지금까지의 전차선 검측 시스템은 검측차량을 이용하여 검사구간을 주행 한 후 결과를 산출하였다. 이것은 아열대기후로의 변화에 인한 자연 환경의 급변과 450Km/h급 고속철도 차량의 등장으로 변화가 요구된다. 이에 고속 주행환경과 노반정보를 반영하는 융합 가변형 전차선 검측시스템의 구조를 연구하였다. 기존의 시스템은 전차선에 한정하여 마모의 정도를 판단하였다. 이에 비해 본 논문에서는 검지를 위하여 참조하는 정보를 검측대상의 영상정보에 추가하여 음향정보를 융합하였고, 지형정보에 따라 검지빈도와 정밀도를 가변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시설물 검측에 대한 기본적인 모델을 제안하였다.

센서 융합기술을 활용한 M2M 기반의 이벤트 감응형 감시 게이트웨이 기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urveillance Gateway system for Event Sensitivity Type using Sensor fusion-based M2M Technology)

  • 김주수;박준훈;이철우;오염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107-108
    • /
    • 2014
  • 현재의 지능형 안전 및 유지관리 방법은 자연재해 및 시설물 사용성능 향상 등의 환경변화 대응에 아직 미흡하고, 기술역량도 부족하다. 국내의 시설물의 점검 및 관리 시스템은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동적인 관리는 시설물의 상태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하지 못함으로서 여러 사고를 초래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람이 일일이 검사하는 수동적인 시설물 관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완벽히 해결할 수 없으며, 시설물 관리를 위해 많은 유지보수 인력이 필요하지만 예산상의 문제로 인해 관리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4G 무선네트워크 기반의 영상카메라 및 감지센서 융합형 시각정보화 M2M 게이트웨이를 활용하여 간단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구성으로 인한 기존 원격 영상 감시 시스템과 차별화된 저전력, 저비용, 고효율, 고성능의 무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개방형 협업 지원 서비스 플랫폼 구현: 문헌 간 사용자 정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사전 단계' (Implementation of an Open Collaboration Support Service Platform: 'Preparation Phase' Focused on User-defined Relationships between Articles)

  • 정한민;박정훈;유수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127-130
    • /
    • 2024
  • 본 연구는 기존 포털형 정보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이전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자의 R&D 프로세스 과정에서의 협업을 지원하는 개방형 협업 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R&D 프로세스 중 '사전 단계'에 대한 설계와 구현을 소개한다. 우리는 R&D 프로세스를 문헌 리뷰와 연구 가설 설정 등을 수행하는 '사전 단계,' 실험과 데이터 분석 등을 수행하는 '실행 단계', 논문 작성 및 출판 등을 수행하는 '성과화 단계'로 구분하고, 이 중 '사전 단계'에 대해 프로젝트 뷰, 그룹 뷰, 문헌 뷰, 관계 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연구자는 이 플랫폼을 통해 문헌 내용 및 문헌 간 복잡한 연관성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플랫폼은 연구자에 의해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사용자 정의 관계를 통해 향후 심층적인 문헌 네트워크 구축 및 분석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