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신이 평가한 건강상태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Korean Adolescents' Physical Health and Peer Relationships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Resilience (청소년의 만성질환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자신이 평가한 건강상태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 Lee, Boram;Park, Hye Jun;Lee, Kangyi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34 no.5
    • /
    • pp.127-14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the impact of chronic diseases on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and (2)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hysical health states and peer relationships. The authors used the first-wave panel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Youth Panel Survey'. The sample included 2,351 first-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boys 50.1%, girls 49.9%). Among the subjects examined 48.11% had chronic diseases. Using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with Amos18(Arbuckle, 2009), SEM softwa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test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Adolescents' chronic diseases had a negative impact on peer relationships. 2.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resilience had a mediating effect. This suggests that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resilience could be protective factors when it comes to perceive peer relationships more positively for adolescents with chronic diseases. 3. Resilience was directly affected by self-perceived health status. This indicates that positive self-perception about their health status encourages adolescents with chronic diseases to be more resilient and to more positively affect their perception of their relationships with peers.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OHQoL) and Oral Health Outcome in Adults over 50 Years Old (50대 이상 장노년층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구강 건강 결과의 관련성)

  • Cho, Young-Sik;Lim, Soon-Ryun;Hwang, Hye-Rim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1 no.4
    • /
    • pp.305-31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OHRQoL) and health outcome, such as evaluated oral health state, perceived health state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e. 148 of individuals over 50 years old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and oral examination was perfomed. 9.5% of respondents reported no problems or discomfort using OHIP-14.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problems were physical pain(69.8%) and psychological discomfort(63.5%). 43.9% of the individuals rated their health and oral health as poor and 54.7%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oral health. The study showed association between number of DMFT, missing teeth, perceived health state, perceived oral health state, oral health satisfaction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Perceived heath sate was correlated with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ut the study showed no association between DMFT, number of missing teeth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Characteristics of and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in Los Angeles (LA 거주 한국이민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과 특성)

  • 홍숙자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8 no.1
    • /
    • pp.157-170
    • /
    • 1990
  • 본 연구는 미 L-A에 거주하는 한국이민 노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기여하는 결정요소들이 무엇인지 가려내며, 그 얻어진 결과를, 동일한 시각과 접근으로 시도되었던 미국 노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는 1986년 12월에서 1987년 2월까지 3개월간 미 L-A 카운티에서 거주하는 55세 이상의 한국 이민노인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그중 192명을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단계별 중다 회귀분석의 결과, 활동성의 제약정도, 결혼상태, 재정적인 안정, 교육정도, 연령증가 등 5가지 변인들의 특별히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가 강한 연관성이 있었고, 반면 자신들이 평가한 건강상태, 지인과의 사회적인 상호작용, 미국거주 년한 등은 노후생활의 안녕에 전혀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다. 그러나 자신들이 평가하는 건강상태는, 활동성의 제약 등과 같은 다른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통해서 생활만족도에 간접적으로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서구나 미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의 세 요인인 건강상태,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활동성과 비교해 볼때, 사회적 활동성과 연령증가 변인에서 서로 상반되는 대조를 보이고 있었다. 즉, 백인노인들은 나이가 듦에 따라 생활만족도가 낮아지거나 혹은, 연령증가와 생활만족도 사이에 별로 유의할 만한 관계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의 한국노인은 나이를 먹으면서 오히려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활동성은, 백인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혹을 부정적으로 가장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 하나임에 반하여, 한국노인들은 이것이 자신들의 생활만족에 중요한 것이라 믿고는 있었지만 실제 통계학적으로는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요인이었다. 주거환경(자식과의 동거여부) 역시, 이제껏 한국사회에서 기대되어왔던 통념과는 달리,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었다.

  • PDF

Japanese case of community partnership for Healthy City Projects (일본 건강증진사업의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대 구축 사례: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지역사회 파트너 쉽 형성 사례)

  • Hoshi, Tan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197-230
    • /
    • 2005
  • 일본의 Soyo town에서 진행된 건강도시사업은 건강증진 프로그램 모형을 통하여 건강한 도시를 건설하겠다는 슬로건을 가지고 주민들이 참여하여 자신의 건강관리능력을 함양하고 서로의 장점을 공유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또한 삶의 질 향상, 주관적 건강상태 향상, 삶의 만족도 향상, 정서적 유대감 향상, 수입증가 그리고 조기사망의 감소를 구체적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게 위한 매우 실제적이며 수량화된 목표들이 설정되어 있다. 1992년에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1996년과 2002년에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내용과 과정에는 보건의료전문가와 시설에 대한 정비, 평가에 대한 계획, 학교를 포함한 포괄적인 보건의료시스템이 포함된다. 모든 부문은 자신들이 설정한 보건정책 결과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적절한 정책을 다시 설정하고 수량화된 목표를 설정하며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수행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사업의 기획, 수행, 평가 과정에 주민이 최우선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이다. Soyo town은 사업을 위하여 학교 및 지역 내 사조직과 협력하고 모든 사업의 기획과정에 다양한 구성원들을 참여시켰는데 이는 건강자원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하게 실천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특히 모든 Soyo town의 주민들이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주민들은 건강관련 자원의 배치상태와 과학적 근거를 고려하여 효과적인 사업을 선정하는 것을 포함한 모든 사업의 과정에 참여하였다. 바람직한 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품회사, 자원단체 그리고 사회적 관계망 그리고 지역의 단체급식시설, 식당 등이 파악되었으며, 요양원, 가사도우미, 공중보건간호사, 방문간호사, 사회사업가로 구성된 보건의료 시설과 인력들이 협력하였다. 사업이 주민의 건강을 향상시켰는가와 건강향상에 사업이 효과적이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평가가 진행되었는데, 서비스 제공자 뿐 아니라 소비자와 주민들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Soyo town의 건강도시사업의 평가 결과, 조기사망률이 1988년 22.1%이 1992년 18.2%로, 1998년 15.6%로 감소하였다. 또한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1988년 48%에서 1992년 67.1%로, 1998년 71.5%로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관계망,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은 증가하였으며, 조기사망, 의료비용은 감소하였다. 한편 보건의료부문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왔으며, Soyo town은 건강한 도시의 명성을 얻게 되었다. 사업의 효과성을 향상시킨 요인은 주민 개개인들에게 사업의 기획과정에 처음부터 참여할 기회가 주어졌다는 점과 자원개발에 있어 기존자원의 재개발에 우선순위를 두었다는 점이었다. 효과적인 사업의 수행을 위하여 행정부, 주민, 건강관련 단체들은 수단과 방법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업의 기획단계에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여 각자의 역할분담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며, 건강증진은 개인의 노력 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의 개선과 자원의 개발을 통해서 달성되는 것이므로 주민들은 건강증진을 위한 환경개선을 위해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 PDF

Assessment on Quality of Life : Based on Health Impact Profile-14 Quality of Life (주관적 구강보건영향지수에 따른 삶의 질 평가)

  • Jeong, Mi-A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893-896
    • /
    • 2010
  • 본 연구는 환자가 느끼는 자신의 주관적 구강보건영향지수(OHIP-14; Oral Health Impact Profile-14)가 구강보건이 삶의 질(QOL; Quality of Life)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구강질환 예방과 구강보건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주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증진하고자 한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OHIP를 분석한 결과 자가 인식 구강건강상태는 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총 점수가 건강한 편이 4.33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QOL을 분석한 결과 자가 인식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사회적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총 점수는 건강한 편이 3.39로 가장 높았다.

  • PDF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 Yeom, Jihye;Park, Jun-Sik;Kim, Dong-Hyun
    • 한국노년학
    • /
    • v.32 no.4
    • /
    • pp.1101-111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determine self-rated health(SR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To achieve this purpose, it uses the Hallym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ave 4 in 2009. Participants aged 65 and over from wave 4 were selected(N=986, male 407, female 579). From wave 4, all variables were selected except for respondents' education which was from wave1. In analyses, $x^2$ or t-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ly differ by SRH. Then, since a dependent variable consisted of two categories-being healthy or not being healthy, logistic regressions were run. What makes gender differences in the link of independent variables to SRH were 75-84 age group, education, and IADLs. For females, 75-84 age group rated their health as worse compared to 65-74 age group, but this age group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SRH for males. Females graduating from junior high school were more likely to higher rate their health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However, education was not significant for male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s) is one of variables affecting SRH by making gender differences. Female having problems with IADLs were more likely to be significantly negatively rate their health compared to males. Through focusing on age, education, IADLs making gender difference in evaluating health, governments needs to support males and females differently.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Self-Care App for University Student (대학생을 위한 정신건강 자가관리 어플리케이션 개발)

  • Kang, Gwang-Soon;Roh, Sun-Sik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1
    • /
    • pp.25-3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bile app for mental health self care of university student. User centered design is a research design that applies the subject's needs assessment, analysis, design, development, evaluation, modification and supplement to suit the subjects. In order to manage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ey consisted of four main areas of mental health problems: drinking, sleeping, depression, and stress. It is designed to enable self test content, analysis and notification of inspection results, and management plan for current status of each area. Based on this, I developed an Android based mental health self-care Application. The subject can enter his or her mental health status data to explain the normal or risk level for each result, and the subject can then select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method that he or she can perform. In addition, we developed a mental health self care calendar that can display the present status of each of the four areas on a day by day basis, and the current status can be expressed in an integrated manner through animations and status b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ntal health self-care app that can be improved by continuous and improved programs.

Healthy Japan 21 objectives and strategies (일본건강증진 사업의 목표 및 추진전략: Healthy Japan 21)

  • Hoshi, Tan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55-88
    • /
    • 2005
  • Healthy Japan 21의 목적은 삶의 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노동가능 인구집단의 유병률을 줄이고 건강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21세기 모든 일본인들이 더욱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향유할 수 있도록 국가사업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구체적 목적은 조기사망을 예방하고 건강생활을 향상하는 것으로, Healthy Japan 21의 전략적 기획과정에서 건강수명의 연장을 실현하기 위하여 2010년까지 달성되어야 하는 구체적인 목적들이 또한 제시되었다. 조기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고, 암, 자살, 심장병 감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9개의 주요 목표로 영양, 신체활동, 휴식과 이완, 금연, 절주, 구강보건, 당뇨병 예방, 심혈관계질환 예방, 암 예방을 설정하였다. 흡연, 알콜, 식사 그리고 운동과 같은 생활양식은 스트레스, 비만, 고혈압과 같은 위험요인 및 질병관리와 관련이 있으며, 위험요인은 암, 심장병, 구강질환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따라서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증진과 일차예방이 강조되어야 한다. 일차예방에 중점을 두기 위해서 우리는 전통적인 질병관리의 중점사항인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 조기발견을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의료비 감소, 병상에 있는 사람들의 감소, 사회세의 감소도 또한 달성되어야 하는 사업의 결과로 설정되어 있다. 가장 최근의 Healthy Japan 2000(1998-99)의 평가에 따르면 목표들의 15%가 달성되었거나 초과 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아동과 청소년의 사망률의 경우, 1-14세 아동의 사망률은 1987년부터 26%가 감소되어 2000년도 목표인 인구 100,000명단 28명의 사망을 초과 달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Healthy Japan 21의 두 가지 주요 전략은 일반 인구집단을 위한 전략과 고위험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전략으로 구성된다. 개인의 건강한 생활양식으로의 변화를 포함한 우리의 건강증진 노력은 사람 중심으로 개인의 선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 개인이 정보를 갖은 상태에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적당량의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일본의 건강증진계획은 2000년 3월에 Healthy Japan 21이 설립되었으며, 2000-2002년 사이 모든 현이 자신의 사업계획을 설정하였으며, 2001-2005년에는 약 반수 정도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자신들의 사업계획을 확정하였다. 건강증진을 이루는 중요한 수단은 파트너 쉽에 있다. 정부조직 뿐 아니라 건강보험회사,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자, 교육단체, 대중매체, 사기업, 봉사단체 등을 포함한 건강분야의 조직들은 자신들의 전문적 기술들을 한데 모아 서로 협력하여야 한다. 또 하나의 중요한 수단은 건강 지지적인 환경이다. 개인의 건강증진 노력을 체계화함으로써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Healthy Japan 21에 대한 평가는 2005년에 중간평가가, 2010에 최종평가가 있을 예정이다. 평가결과들은 이후에 진행될 사업의 향상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PDF

Monitoring system of blood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PTT based posture (PTT기반 자세에 따른 혈압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 Kim, Mi-Seong;Noh, Yun-Hong;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534-535
    • /
    • 2017
  • With the economic growth, the quality of life of the individual is improving and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ing. However, it is not easy for self-care for the modern people who are busy and the elderly who are uncomfort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care system that can more easily monitor the health condition of the patients. The ECG and pulse wave including the important health information that can be conveniently measured by the general public can be measured and the PTT and to monitor the health status of the circulatory system.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system, we measured PTT according to posture change and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monitoring arterial blood flow during daily life.

  • PDF

Implementation of Real-time Heart Activity Monitoring System Using Heart Sound (심음을 이용한 실시간 심장 활동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Kim, Jin-Hwan;Noh, Yun-Hong;Jeong, Do-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9 no.1
    • /
    • pp.14-19
    • /
    • 2018
  • Recently, the smart health care industry has been rising rapidly and interest and efforts for public health have been greatly increased. As a result, the public does not visit medical specialists and medical facilities, but the desire to check their health condition in everyday life is increased. Therefore, many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continuously research and develop wearable devices that can measure body activity information anytime and anywhere And the market. Especially, it is used for heart activity measurement device using pulse wave sensor and electrocardiogram sensor. However, in this study, a monitoring system that can detect cardiac activity using cardiac sounds, heart sound measurement rather than pulse wave measurement and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was performed and its performance was evaluated. Experimental results confirmed the predictability of cardiac heart rate and heart valve disease during daily liv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