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세형태

Search Result 43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상자 들기 작업시 자세 및 손잡이 형태가 발휘근력에 미치는 영향

  • 성창한;배동철;장성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71-376
    • /
    • 2002
  • 자동화된 생산시설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여러 현장에는 사람이 직접 bag, box, carton 등을 들고, 내리고, 옮기는 등의 인력운반 (Manual Materials Handling, MMH) 작업으로 생산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자 운반 작업에서 있어서 손잡이는 최대허용무게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이 많이 나왔지만, 자세에 따른 손잡이 형태의 영향에 관한 연구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MH 작업시 흔히 사용되는 3가지 자세(구부린 자세, 팔을 편 자세, 팔을 90$^{\circ}$로 굽혔을 때 자세)에서 손잡이 형태에 따라 tote box를 들 때, 작업자세와 손잡이 형태에 따른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이하 MVC)를 측정하고 MVC에 대한 작업자세와 손잡이 형태의 상관관계의 통계적 분석, 주관적 평가방법(Borg법)과 MVC와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PDF

자세형태에 따른 해기사의 기술적 행동에 관한 기초 연구

  • 장은진;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35-136
    • /
    • 2022
  • 최근 자율운항선박(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MASS)의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의 완전한 자동화가 이뤄지기까지 육상센터에서 원격제어(Remote Control)로 선박을 운항하게 된다. 따라서 해기사의 역할을 육상 원격제어자가 수행하게 되며, 원격제어에 요구되는 기술, 교육, 시스템 등 여러 측면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아울러, 아직 구체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원격제어자의 최적 원격제어 자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제어자세는 업무의 집중도, 사고의 위험성 등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항해하는 형태인 서서하는 형태와 앉아서 하는 형태로 구분하여 항해 시 나타나는 해기사의 기술적 행동을 상황인식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추후 다양한 기술적 행동 분석 실험을 통해 자세결정을 위한 평가 기법을 제시할 예정이다.

  • PDF

STUDY OF CRANIOCERVICAL POSTURE AND CRANIOFACIAL MORPHOLOGY IN KOREAN YOUNG ADULTS (한국 성인의 두경부자세와 두개안면형태에 관한 두부 X-선 계측학적 연구)

  • Park, Eun-Jue;Suhr, Cheong-Hoo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5 no.2 s.49
    • /
    • pp.129-142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correlations of craniocervical posture and craniofacial morphology in Korean young adults. The sample consisted of 50 young adults (25 males and 25 females) who had good profile and Class I molar relationship. The analysis of craniocervical posture and craniofacial morphology was performed on lateral cephalograms taken in natural head pos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postural and morphologic variables were obtained. 2. Korean young adult had cervical lordosis of which degree between OPT and CVT shows $3.55{\pm}2.58^{\circ}$ 3. Craniocervical posture and each of vertical ratio, facial prognathism, mandibular rotation showed high correlation. 4.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ostural variables and each of intermaxillary relation, anteroposterior ratio were low. 5. The head positioning error of natural head position was smaller than the inter-individual variability of postural variables.

  • PDF

Human Pose Matching Using Skeleton-type Active Shape Models (뼈대-구조 능동형태모델을 이용한 사람의 자세 정합)

  • Jang, Chang-Hyuk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6 no.12
    • /
    • pp.996-1008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for the model-based pose matching of a human body using Active Shape Models. To improve the processing time of model creation and registration, we use a skeleton-type model instead of the conventional silhouette-based models. The skeleton model defines feature information that is used to match the human pose. Images used to make the model are for 600 human bodies, and the model has 17 landmarks which indicate the body junction and key features of a human pose. When applying primary Active Shape Models to the skeleton-type model in the matching process, a problem may occur in the proximal joints of the arm and leg due to the color variations on a human body and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for the fore-rear directions of profile normals. This problem is solved by using the background subtraction information of a body region in the input image and adding a 4-directions feature of the profile normal in the proximal parts of the arm and leg. In the matching process, the maximum iteration is less than 30 times. As a result, the execution time is quite fast, and was observed to be less than 0.03 sec in an experiment.

Postural Stability Measures Estimated from the Center of Pressure Signal During Static Posture Maintenance (정적자세 유지시 압력중심신호를 이용한 자세안정도 지표화)

  • 차은종;김경아;이태수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5
    • /
    • pp.559-566
    • /
    • 1999
  • 환자의 기능평가를 위하여 중요한 자세균형의 유지는 압력중심(COP) 의 동요 신호를 직접 연속적으로 계측함으로써 가능하다. COP 신호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자세안정도지표를 산출할 수 있으나 임상적으로 유용한 최소한의 지표종류로는 규명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가 서있는 상태의 정적자세를 유지할 때 압력중심 신호로부터 자세안정도지표를 산출하여 분석함으로써 임상적 유용성이 가장 큰 지표의 종류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양발을 편안히 벌리거나 (FS), 모두 모으거나(FT), 한쪽발 만으로(RL, LL)서있는 자세에 대해서 양쪽 눈을 뜨거나(EO) 감은(EC)8가지 정적자세를 취하며 30초간 자세균형을 유지시켰다. 자세형태에 따른 안정도의 척도로서 신체가 지면을 차지하는 면적(S)을 사용하였다. 자세안정도지표로서 1)position deviation, 2) position turn 3) velocity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 18가지 지표를 설정하였다. 피검자는 20, 30, 40 ,50 대 정상인을 연령대 별로 각각 남·녀 5명씩 고르게 총 40명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자세안정도지표 모두가 S와 비교적 높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바 인을 연령대 별로 각각 남·녀 5명씩 고르게 총 40명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자세안정도지표 모두가 S와 비교적 높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바 (상관계수=0.6∼0.8, P<0.0001), S가 자세형태를 정량화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모든 지표들에 있어서 시각의 영향이 뚜렷하였으며 특히 자세가 불안해질수록 상대적으로 시각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시각의 영향의 지표들간의 차이는 없었다. 반면 노화(연령증가)에 따른 안정도지표의 변화는 미미하였으며 위의 3가지 안정도지표분류 중 position deviation 지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정적자세유지시 안정도지표로는 position deviation 지표들이 가장 예민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position deviation 지표들과 연령과의 상관계수는 0.5이하로서 매우 느슨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연령증가에 따른 자제불안정도의 증가도 매우 작아서 그 임상적 응용가능성은 의문시되었다. 또한 위에서 제시한 3가지의 분류의 지표중 position turn 과 velocity 지표의 의미에 관해서는 향후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lectromyographic and Biomechanical Analysis of Postural Movement Patterns During the Backward Sway (Backward Sway 동안의 자세움직임 형태에 대한 근전도와 생체역학적 분석)

  • You, Sung-Hyun
    • Physical Therapy Korea
    • /
    • v.2 no.2
    • /
    • pp.1-8
    • /
    • 1995
  • 이 논문의 주목적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각기 다른 3가지의 (체중의 1.5 %, 3.0 %, 9.0 %) 부하를 통해서 자세의 불균형을 유발시켰을 때 나타나는 postural movement patterns을 기술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의 허리중심에 체중부하를 주어 균형이 뒤로 이동하게 하여, surface EMG(표면 근전도)를 통하여 Tibialis anterior(Ta), Gastrocnernius(Gc), Quadriceps femoris(Qc), Hamstring(Ha), Rectus abdominalis(Ab)와 Paraspinalis(Pa) 근육들의 motor recruitment pattern(운동회집형태)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비디오 촬영은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의 움직임을 보기 위해 사용하였다. 특히 근전도 (EMG)는 자세반응 검사에 있어 첫 근반응(근수축) 경과시간(FR)과 분절간격간의 (ID)시간을 조사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4가지 중요한 사실을 전해주고 있다. 첫 번째로서, 연구대상자에게 체중의 1.5 %의 부하를 적용하였을 때 Ta가 가장 먼저 수축을 시작하였고(FR:$88{\pm}19.4$ ms) 발목과 대퇴사이의 분절 간격간(ID)의 평균은 +9.3 ms였다. 또한 족관절의 변화가 가장 뚜렷하여 Nashner(1985)의 족기전을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로는 연구대상자에게 체중의 3.0 %의 부하를 주었을 때 Qc와 Ab근육이 원위부에서 근위부 순서로 수축하였고, 첫 번째 근육수축시간은 ($82{\pm}39.2$ ms)였다. 그리고 이때 분절간격의 평균은 +8.3ms 이였고 Ta는 거의 반응하지 않았다. 족관절과 슬관절에 비해 고관절의 변화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났고, 이 또한 Nashner의 고관절 기전과 같은 현상을 보였다. 셋째로 연구 대상자에게 체중의 9.0 % 부하를 허리에 적용하였을 때 근수축은 근위부에서 원위부 순서를 이루어졌다. 즉 Ab,Qc, Ta, Ps순으로 근수축 되었다. Ab가 처음으로 수축하여 첫 반응(FR)은 $73{\pm}3.2$ ms 이였고 슬관절과 고관절의 변화가 가장 뚜렷하였다. 넷째로 연구 대상자에게 체중의 9.0 %부하를 적용하였을 때, 균형을 잡기 위해 뒷걸음치는 것이 관찰되었고 이때 근수축 순서는 Ta,Ab.Ps,Qc,Hs였다. 이 결과는 Nasher의 결과와 불일치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연구대상자의 자세운동형태(postural movement patterns)는 각기 다른 부하 정도와 시간에 따라 합성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여졌다. 특히, 자세운동형태는 부하의 적용위치와 연구대상자의 최근의 경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자세운동형태는 중앙신경계의 제한적(한정적) 명령 시스템에 의해서 움직임(movement)이 발생하기 전에 조직된다는 Nashner의 가설을 뒷받침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Insole Type Capacitive Pressure Sensor for Smart Gait Analysis (스마트 보행분석을 위한 깔창 형태의 전기용량성 압력센서 개발)

  • Woo, Hyunsoo;Min, Se 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411-41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며 기초적인 운동인 걸음걸이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걸음 수 및 보행분석을 위해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전기용량성압력 센서를 깔창형태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깔창 형태의 센서는 보행시의 압력을 측정하여 보행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걸음 수 및 보행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센서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상용 만보계 및 관찰자의 수계로 도출된 보수를 비교하였으며, 자세에 따른 압력차이를 측정하였다. 기존의 상용 만보계는 저속(1 Km/h)으로 걸었을 때 보수가 잘 측정되지 않은 반면 개발된 센서는 저속에서도 관찰자 수계대비 정확한 보수를 도출 할 수 있었다. 또한 자세에 따라 압력 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자세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스마트폰과 무선 연동하는 스마트 보행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 PDF

Implementation of Turtle Neck Syndrome Diagnosis using CNN (CNN을 이용한 거북목 증후군 진단기의 구현)

  • Son, Dong-Hyeop;Jung, Yu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7-10
    • /
    • 2021
  • 최근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의 비중이 커지면서 거북목 증후군의 관심사가 커졌다. 거북목 증후군은 잘못된 자세로 인해 어깨의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 통증이 생기는 증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잘못된 자세에는 대표적으로 일자목과 역c자목이 있으며 일자목은 7개의 목뼈로 이루어진 경추라인이 c자 라인에서 일직선으로 뼈의 형태가 바뀌어 디스크가 일어나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이고 역c자목은 정상의 목뼈 구조를 잃어버린 형태로 곧 디스크를 보이며 고개를 드는 것이 힘드며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게 되는 증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컨볼루션 신경망 (CNN) 학습 모델을 구현하여 주어진 자세가 올바른 자세인지 일자목인지 c자목인지를 진단할 수 있는 분류기를 구현하였다. 또한,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해 마스크 장착이 일상화되고 있는데, 추가 데이터를 보강하여, 마스크 착용상태에서도 적용가능한 모델로 확장하였다.

  • PDF

Observation on Neck Form Changes Related to Aging in Men(Part I) -Using the Sliding Gause Measurement Method- (성인남자 목부위의 연령별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제1보) -슬라이딩 게이지법에 의한 분석-)

  • 이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18 no.2
    • /
    • pp.252-262
    • /
    • 1994
  • As a mean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kind of form changes to which is subject the neck of the men, in its aging process, several measurement recordings on a vertical and horizontal sections were carried. Subjects were young, middle aged and elder men (15 in their twenties, 11 in their forties and again 11 in their sixties) 1) The analysis of the meansurement results led us to distinguish 3 types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eir Adam's apple with regard to the horizontal plane containing their 7th cervical vertebrae point : clearly above (Type I), next to(Type II), clearly below(Type III). We found that young men correspond to the Type I and II, middle aged men to the Type ll and 111 and elder men only to the Type III. 2) The comparison of the horizontal sectional surface contained in the planes corresponding to the 4 points, shows a larger sectional surface for elder men in the Adam's apple plane, accompanied by a change of position of the Adam's apple forwards. As for the front neck point plane, the body sectiolial surface is larger in depth in elder men, without much change in breadth. And for the acromion point plane, we observed also an increase in depth, but with a decrease in breadth corresponding partially to the atrophy of the thoraric cage in eldermen.

  • PDF

Development of Smart Sitting Mat using Pressure Sensor for Posture Correction (압력센서를 이용한 자세 교정 유도 스마트 방석 개발)

  • Kim, Minchang;Seo, Taeyoung;Lee, Juhyeob;Heo, Ung;Yoo, H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91-29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자세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압력센서 기반의 스마트 방석 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스마트 방석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되며 스마트폰 앱은 사용자의 자세 정보를 분석한 후 자세가 불안정한 징후가 판단되면 알림을 통해 바람직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본 시제품 개발에서는 압력센서의 값을 분석한 후 단순한 형태의 자세 추정 방식을 채택하였지만 향후 다양한 실험 및 딥러닝 응용을 통해 정확한 자세 추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할 계획이며 알림에 의한 수동적 자세 교정이 아닌 기구 설계, 모터 제어 등을 통해 능동적인 자세 교정을 지원하는 스마트 방석을 개발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