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세특징

Search Result 31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s in Hyeon-ri and Hwacheon-ri, Yeongyang - Focusing on Analysis of the Pagoda Reliefs - (영양 현리와 화천리 삼층석탑 연구 - 탑부조상(塔浮彫像)의 도상 분석을 중심으로 -)

  • Han, Jaew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4
    • /
    • pp.250-273
    • /
    • 2020
  • The three-story stone pagodas in Hyeon-ri and Hwacheon-ri,Yeongyang Gyeongsangbuk-do are stone pagodas that exhibit the typical style of Unified Silla. The two pagodas are believed to have been built in the mid- and late 9th centuries at the latest, considering the style of the three-story roof stone on top of the double-tier base. This is also confirmed by the reliefs carved at the base and the first-story of the pagoda. The Four Heavenly Kings and the Twelve Zodiacal Animal Deities were first combined in the late 8th century in the stone pagoda at the Wonwonsa Temple Site, and the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was also the most popular carved pagoda reliefs in the 9th century. However, the two Yeongyang stone pagodas are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the Four Heavenly Kings (1st story), the Eight Classes (top base), and the Twelve Zodiacal Animals (lower base), and the stone used for the pagoda consists of sedimentary rocks of the sandstone family, which comprise most of the geological strata in the Yeongyang area, rather than ordinary granite. The new combinations of the three types of guardian deities and the Eight Classes changed from seated to standing poses is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enhance the Buddhist faith and cultural status of the Yeongyang area, along with the fact that the stone pagoda was built using local natural materials. The Eight Classes of the Yeongyang stone pagoda does not follow the two types of arrangement of the pagodas with the Eight Classes, but some of the deities have been relocated to a new location. Composed of AsuraGandharva on the east side, Naga-Mahoraga on the south, Deva-Garuda on the west, and Kimnara-Yaksa on the north, this form can be classified as a unique 'third layout of the Eight Classes' in the Yeongyang area. Such changes in the shape and posture of the reliefs reflect a new perception of the pagodas. The reason why the Gandharva and Yaksa statues were carved on the east and north sides, respectively, was because they were deemed subordinate to the Four Heavenly Kings, and the fact that the Naga and the Mahoraga were carved on the south side was presumed to have influenced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wo pagodas on the northern side of Banbyeoncheon Stream. The Hyeon-ri and Hwacheon-ri three-story stone pagodas inherited the tradition of typical Unified Silla-period pagodas, while also bearing their own new regional characteristics.

Surface Change Detection in the March 5Youth Mine Using Sentinel-1 Interferometric SAR Coherence Imagery (Sentinel-1 InSAR 긴밀도 영상을 이용한 3월5일청년광산의 지표 변화 탐지)

  • Moon, Jihyun;Kim, Geunyoung;Lee, Hoonyol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3
    • /
    • pp.531-542
    • /
    • 2021
  • Open-pit mines require constant monitoring as they can cause surface changes and environmental disturbances. In open-pit mines, there is little vegetation at the mining site and can be monitored using InSAR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coherence imageries. In this study, activities occurring in mine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recently developed InSAR coherence-based NDAI (Normalized Difference Activity Index). The March 5 Youth Mine is a North Korean mine whose development has been expanded since 2008. NDAI analysis was performed with InSAR coherence imageries obtained using Sentinel-1 SAR images taken at 12-day intervals in the March 5 Youth Mine. First, the area where the elevation decreased by about 75.24 m and increased by about 9.85 m over the 14 years from 2000 was defined as the mining site and the tailings piles. Then, the NDAI images were used for time series analysis at various time intervals. Over the entire period (2017-2019), average mining activity was relatively active at the center of the mining area. In order to find out more detailed changes in the surface activity of the mine, the time interval was reduced and the activity was observed over a 1-year period. In 2017, we analyzed changes in mining operations before and after artificial earthquakes based on seismic data and NDAI images. After the large-scale blasting that occurred on 30 April 2017, activity was detected west of the mining area. It is estimated that the size of the mining area was enlarged by two blasts on 30 September 2017. The time-averaged NDAI images used to perform detailed time-series analysis were generated over a period of 1 year and 4 months, and then composited into RGB images. Annual analysis of activity confirmed an active region in the northeast of the mining area in 2018 and found the characteristic activity of the expansion of tailings piles in 2019. Time series analysis using NDAI was able to detect random surface changes in open-pit mines that are difficult to identify with optical images. Especially in areas where in situ data is not available, remote sensing can effectively perform mining activity analysis.

Physical Offset of UAVs Calibration Method for Multi-sensor Fusion (다중 센서 융합을 위한 무인항공기 물리 오프셋 검보정 방법)

  • Kim, Cheolwook;Lim, Pyeong-chae;Chi, Junhwa;Kim, Taejung;Rhee, Sooah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6_1
    • /
    • pp.1125-1139
    • /
    • 2022
  • In an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system, a physical offset can be existed between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inertial measurement unit (GPS/IMU) sensor and the observation sensor such as a hyperspectral sensor, and a lidar sensor. As a result of the physical offset, a misalignment between each image can be occurred along with a flight direction. In particular, in a case of multi-sensor system, an observation sensor has to be replaced regularly to equip another observation sensor, and then, a high cost should be paid to acquire a calibration parameter. In this study, we establish a precise sensor model equation to apply for a multiple sensor in common and propose an independent physical offset estimation method.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3 steps. Firstly, we define an appropriate rotation matrix for our system, and an initial sensor model equation for direct-georeferencing. Next, an observation equation for the physical offset estimation is established by extracting a corresponding point between a ground control point and the observed data from a sensor. Finally, the physical offset is estimated based on the observed data, and the precise sensor model equation is established by applying the estimated parameters to the initial sensor model equation. 4 region's datasets(Jeon-ju, Incheon, Alaska, Norway) with a different latitude, longitude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alibration parameter. We confirmed that a misalignment between images were adjusted after applying for the physical offset in the sensor model equation. An absolute position accuracy was analyzed in the Incheon dataset, compared to a ground control point. For the hyperspectral imag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for X, Y direction was calculated for 0.12 m, and for the point cloud, RMSE was calculated for 0.03 m. Furthermore, a relative position accuracy for a specific point between the adjusted point cloud and the hyperspectral images were also analyzed for 0.07 m, so we confirmed that a precise data mapping is available for an observation without a ground control point through the proposed estimation method, and we also confirmed a possibility of multi-sensor fusion. From this study, we expect that a flexible multi-sensor platform system can be operated through the independent parameter estimation method with an economic cost saving.

Characterization of Fault Kinematics based on Paleoseismic Data in the Malbang area in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Zone (고지진학적 자료를 이용한 울산단층대 중부 말방지역에서의 단층운동 특성 해석)

  • Park, Kiwoong;Prasanajit, Naik Sambit;Gwon, Ohsang;Shin, Hyeon-Cho;Kim, Young-Seo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3 no.1
    • /
    • pp.151-164
    • /
    • 2022
  • According to the records of historical and instrumental earthquakes,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s considered the highest seismic activity area. Owing to recent reports of numerous Quaternary faults along the Yangsan and Ulsan fault zones, paleoseismological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these areas.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zone, where the largest number of active faults have been reported. Based on lineament and geomorphic analysis using LiDAR images and aerial photographs, fault-related landforms showing topographic relief were observed and a trench survey was conducted. The trench length 20 m, width 5 m, depth 5 m is located approximately 300 m away to the northeast from the previously reported Malbang fault. From the trench section, we interpreted the geometr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fault based on the deformed features of the Quaternary sedimentary layers. The attitude of the reverse fault, N26°W/33°NE, is similar to those of the reported faults distributed along the Ulsan fault zone. Although a single apparent displacement of approximately 40 cm has been observed, the true displacement could not be calculated due to the absence of the slickenline on the fault plane. Based on the geochronological results of the cryogenic structure proposed in a previous study, the most recent faulting event has been estimated as being earlier than the late Wurm glaciation. We interpreted the thrust fault system of the study area as an imbrication structur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fault geometry obtained in this additional trench. Although several previous investigations including many trench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hey found limited success in obtaining the information on fault parameters, which could be due to complex characteristics of the reverse fault system. Additional paleoseismic studies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mentioned problems and the comprehensive fault evolution.

Analysis of Intervention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Focusing o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상생활활동 중재 연구 분석: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 Sung, Ji-Young;Choi, Yoo-Im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3 no.1
    • /
    • pp.9-21
    • /
    • 202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a single-subject research that conducted interventions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stroke patients. Methods : 'Strok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ingle-subject studies' were searched as keywords among papers published in the last 15 years between 2009 and 2023 among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Bpia, and e-articles. A total of nine papers were examined for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before analysis. Results : The independent variables applied to improve ADL included constraint-induced therapy, mental practice for performing functional activities, virtual reality-based task training, subjective postural vertical training without visual feedback, bilateral upper limb movement, core stability training program,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smooth pursuit eye movement, neck muscle vibration, and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was the most common evaluation tool for measuring dependent variables, with four articles, and Modified Barthel Index an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were two articles each.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analyzed papers, out of a total of nine studies, seven studies were at a high level, two at a moderate level, and none were at a low level. Conclusion : Various types of rehabilitation treatments have been actively applied as intervention methods to improve the daily lif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the quality level of single-subject studies applying ADL interventions was reliable.

A Study of Dohang-Ri wooden coffin and Anya-Kuk (도항리목관묘(道項里木棺墓) 안사국(安邪國))

  • Lee, Ju-Hue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37
    • /
    • pp.5-37
    • /
    • 2004
  • A wooden coffin has been given academic attention in Kaya(伽倻), due to the place the stage of Samhan society appropriately in the development of ancient korea history. Special attention must be paid on Dohang-Ri(道項里) woden coffin, since it is expected to explain the origin of Arakaya(阿羅伽倻) in the region of southen korea peninsula. Dohang-Ri wooden coffin is become generally knowen two types, and complete its unique feature in Chin-Han(辰韓) and Byun-Han(弁韓). Recently the fact that Dohang-Ri wooden coffin is discovered only in the king tombs of Chang Won Daho-Ri(昌原茶戶里) and it is remarkable of political connection between Kuya-Kuk (狗邪國) and Anya-Kuk(安邪國). Various ironware unearth of Dohang-Ri has seen similar to that from Daho-Ri, but it has not bronze mirror be maid Chines, symbol with dignity of social position in the ruling ciass. It seems that political unit of Daho-Ri is advanced sociaity and central force than Dohang-Ri in the Byun-Han. The later of two century, I have a think about wooden coffin changes the wooden chamble of Dohang-Ri and Daho-Ri that it go out of sight at AD.2 century. Becouse of possitive achaelogical sites has not confirm, it request radical interpretaion. I inference to accordingly to the it appearance connected of the wars between the eight country of southen regins in korea peninsula at the first half of AD.3 cencury. Exactly, the politial units of Dohang-Ri and Daho-Ri has concentration of trade in Racdong river(洛東江) and Nam river(南江) water system and that give form to coexistence system of economic and political mutuality.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