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세근의 근전도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17초

컴퓨터 작업시 머리자세가 상부 승모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d Posture on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During Computer Work)

  • 정도영;고은경;김영;권오윤;이전;이경중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3-59
    • /
    • 2002
  • 본 연구는 컴퓨터 작업시 머리자세가 상부 승모근의 근전도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상지에 근골계질환이 없는 대학생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면근전도(MP100WS)를 이용하여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10분 동안 머리를 중립자세로 모니터를 보고 컴퓨터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문서걸이(copy holder)를 보기 위해 머리를 $45^{\circ}$ 회전하고 컴퓨터 작업을 하는 두 가지 조건을 $%RVC_{RMS}$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머리를 중립자세로 했을 때 평균 $%RVC_{RMS}$ 값이 높았으나 머리를 $45^{\circ}$ 회전하여 작업시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RVC_{RMS}$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컴퓨터 작업시 문서는 모니터로부터 가까이 하여 머리회전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근육의 피로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전신진동 운동 시 스쿼트 형태에 따른 하지근육의 근활성 효과 분석 (Analysis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According to Squat Type during Whole-Body Vibration)

  • 이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71-376
    • /
    • 2018
  • 본 연구는 전신진동 자극시 스쿼트의 형태에 따른 하지근육의 근활성 효과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규명하고 효율적인 운동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정형외과적 질환이 없는 건강한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똑바로 선자세, 슬관절을 90도, 120도 굴곡시킨 일반적인 스쿼트 자세와 뒷꿈치를 들어 올린 혼합 스쿼트 자세의 진동자극 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근활성도는 외측비복근, 전경골근, 외측광근, 대퇴이두근에 근전도 전극을 부착한 후 RMS를 구하여 비교하였으며 진동 자극의 강도는 각 자세에서 볼륨 50, 80, 주파수 10, 25, 40Hz를 혼합하여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외측비복근과 전경골근 외측광근에서 자세별 근활성도의 차이가 나타났고 뒷꿈치를 들어올린 자세에서 근활성 효과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신진동 자극 시 스쿼트 자세와 강도에 따라 근활성 효과에 차이가 있으며, 운동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목표 근육에 따라 다양한 자세와 강도가 적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세 가지 도수근력 검사 자세에서 상부 승모근의 독립적 수축 : 융합적 연구 (Isolated Activation of the Upper Trapezius in Three Manual Muscle Testing Position : Convergence Study)

  • 하성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83-8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부 승모근 근활성도에 대한 정규화를 하는 동안, 어떠한 도수 근력 검사 자세가 상부 승모근의 선택적 활성화에 최적화된 자세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8명의 성인 남.녀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상부 승모근과 견갑거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근전도를 이용하였다. 세 가지 도수근력 검사 자세에서 견갑거근에 대한 상부 승모근의 활성비를 측정하였다. 다른 측정 자세와 비교하여 S-MVIC 자세에서 유의하게 높은 상부 승모근/견갑거근 근활성비(S-MVIC: 80.25, T-MVIC: 76.50, C-MVIC: 60.95)를 보였다. 그리고 C-MVIC와 비교하여 T-MVIC가 유의하게 높은 상부 승모근/견갑거근 근활성비를 보였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T-MVIC 검사 자세에서 S-MVIC로 상부 승모근 근전도 정규화 검사 자세를 바꾸는 것이 상부 승모근의 선택적 근활성도 수집의 정규화 신뢰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전 측정방법과 비교하여 S-MVIC를 이용한 상부 승모근 근력 또는 근활성도 측정방법은 상부 승모근의 근력 또는 근활성도의 독립적 측정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자세 습관 분석을 통한 자기 객관화가 바른 자세 실천에 미치는 영향: 근전도센서 및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앱 서비스 제안 (The effect of self-objectification through the user's postural habit analysis on the practice of correct posture: App service proposal through EMG sensors and wearable devices)

  • 고예은;김예준;김선;이재선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1호
    • /
    • pp.11-22
    • /
    • 2023
  • 본 연구는 잘못된 자세 습관으로 인해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스스로 일상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 디자인 콘텐츠를 제안하고 있다. 현대인의 대표적 질환인 근골격계 질환과 바른 자세 실천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143명에 대한 설문 및 1차-2차 고정카메라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바른 자세 실천을 저해하는 저항 요인과 바른 자세 실천을 강화하는 유도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저항 요인을 감소시키고 유도 요인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른 자세 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근전도 센서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현대인들이 바른 자세를 실천 및 관리하는 데 유의미한 앱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자세 습관 분석을 통한 자기 객관화 바탕으로 서비스 콘텐츠 제안을 통해 일상에서 스스로 바른 자세를 실천 및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근골격계 통증을 완화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교합장치물이 두경부 자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 Interocclusal Appliance on Head and Neck Posture)

  • Eun-Ha Kim;Keum-Back Shin;Ik-Jun L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9권2호
    • /
    • pp.81-97
    • /
    • 1994
  • 두개하악장애는 환자의 신체적 소인, 관련조직의 구조적 변화, 정신적 스트레스 등의 복합적 요인에 의 발생하는 다인성 질환으로 최근 대두되는 원인중의 하나가 신체, 특히 두경부의 자세이상이다. 비정상적인 두경부자세는 하악의 위치변화를 수반하여 종종 두개하악장애를 야기시키게 되나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는 두경부 자세가 교합장치물에 의해 변화되는지를 저작근의 근전도학적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21세에서 26세의 치과대학생으로 치아상실 및 교합간섭이 없고 두 개하악장애의 증후 및 경부운동제한을 가지지 않은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각도계를 사용하여 시상면상에서 인위적으로 유도한 세 가지의 두경부자세변화 (0$^{\circ}$, 30$^{\circ}$ 굴절, 45$^{\circ}$ 신전)에 따른 교합안정장치의 장착(1시 간) 전후 및 안정위와 근접촉위(초기치아접촉위)에서의 두경부 근육(측두근, 교근, 악이복근)의 근전도를 Bioelectric Microprocessor EM2ⓡ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안정장치 장착전 하악 안정위 및 근접촉위에서 두부의 30$^{\circ}$굴절은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45$^{\circ}$신전은 교근 및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켰다.(p<0.05) 2. 교합안정장치 장착후 하악 안정위에서 두부의 30$^{\circ}$굴절은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45$^{\circ}$신전은 교근 및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켰으며, 하악 근접촉위에서 두부의 45$^{\circ}$신전은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켰다(p<0.05). 3. 교합안정장치 장착 전후 및 두부의 30$^{\circ}$굴절, 45$^{\circ}$신전에 따른 측두군 및 교근의 하악 근접촉위에서의 근활성도가 안정위에서의 근활성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05).

  • PDF

다양한 자세에서 교합장치의 두께가 저작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Height of Occlusal Appliance on Masticatory Muscles in Various Body Postures)

  • 박계라;서봉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1호
    • /
    • pp.51-58
    • /
    • 2001
  • 다양한 자세에서 교합장치의 두께가 저작근에 미치는 영향을 근전도학적으로 평가하고자, 측두하악장애의 징후와 증상이 없고 정상교합을 가진 성인 8명을 대상으로,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와 4.3, 6.0, 8.1mm 두께를 가진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직립위, 식사위 그리고 앙와위에서 최대 이악물기 상태의 좌, 우측 교근 몇 전측두근의 근활성도를 채득,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측두근에서는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보다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근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5), 교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2. 직립위에서 전측두근의 근활성은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보다 8.1mm 두께의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3. 식사위에서 전측두근의 근활성은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보다 8.1mm 두께의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4. 앙와위에서 전측두근의 근활성은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보다 4.3, 6.0, 8.1mm 두께의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 PDF

웨어러블 센서 착용이 스마트폰 사용 시 발생하는 전방머리자세의 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arable sensor wear on muscular activity of the head posture during smartphone use)

  • 박성현;강종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47-51
    • /
    • 2017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방머리자세의 유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웨어러블 센서 착용이 전방머리자세 유발을 일으키는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30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조군, 전방머리자세에 대한 자세를 의식하며 사용하는 비착용군 그리고 웨어러블 센서를 착용하는 실험군으로 나누어 근활성도를 살펴보았다. 목세움근과 윗등세모근의 근활성도는 대조군, 비착용군, 실험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세움근의 근활성도의 변화는 모든 군에서 증가하였고, 윗등세모근의 경우 비착용군과 대조군에 비해 착용군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즉 웨어러블 센서의 착용은 의식적인 자세 조절에 있어서 효과적일 수 있지만 다른 부위의 근긴장을 유발 할 수도 있다.

교각운동시 지지면의 차이가 체간 및 하지의 근 활성도 (Proprioceptive Motor Control on Trunk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 노효련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5-366
    • /
    • 2012
  • 본 연구는 교각운동시 불안정한 지지면과 안정적인 지지면을 제공하여 체간 및 하지의 근 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20대 남, 여 14명이었다. 실험방법은 일반적 교각자세와 다이나믹 에어쿠션을 이용한 교각자세를 실시한 후에 무선 8채널 표면근전도 검사기를 이용하여 체간부의 척추기립근, 복직근, 대퇴의 대퇴직근, 외측 슬괵근, 하퇴부의 전경골근, 비복근 외측두에서 근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체간부의 척추 기립근, 대퇴이두근, 가자미근은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5). 따라서, 교각운동에서 불안정한 지지면의 제공은 신체의 배측에 위치한 근육의 활성화를 나타내어, 교각운동시 지지면의 안정성의 변화만으로도근육활성도의 변화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골반경사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이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lvic Tilt on Muscle Activity of Cervical Erector Spinae & Upper Trapezius While Using a Smartphone)

  • 송성인;강종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97-10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앉은 자세에서 골반의 앞방향경사와 뒷방향경사에 따른 스마트폰의 사용이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를 알아보고 IoT 디바이스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건강한 20-30대 성인남녀 15명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골반앞방향경사와 골반뒷방향경사를 중재한 뒤 5분간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중앙 3분의 근전도 신호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앉은 자세에서 골반앞방향경사의 스마트폰 사용이 골반뒤방향경사와 비교하여 양측 목세움근(p<.001), 왼쪽 위등세모근(p<.001), 오른쪽 위등세모근(p<.002)의 %RVC 값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골반의 앞방향경사를 통한 앉은 자세가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을 유지하여 스마트폰 사용 시 발생하게 되는 전방머리자세를 방지하여 목과 어깨 주변의 부하를 감소시켜 %RVC 값이 유의하게 낮았다고 사료되며 향후 골반경사에 중점을 둔 새로운 자세교정 IoT 디바이스들이 개발되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