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살치명도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알코올 사용이 자살시도의 심각성과 치명도에 미치는 영향-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Alcohol Use on Intent and Lethality of Suicidal Attempts)

  • 이진희;민성호;안정숙;박기창;김민혁;김흥규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2호
    • /
    • pp.236-243
    • /
    • 2016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살시도에서 알코올이 자살시도의 심각성 및 치명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총 1,152명의 자살시도자(남성 487명, 여성 742명)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음주 양상에 따라 알코올사용 장애군, 급성알코올사용군, 비알코올사용군으로 나누었다. 자살시도의 심각성과 치명도는 자살의도척도및 위험-구조평가척도로 평가하였다. 결 과 남성에서는 급성알코올사용군에 비해 알코올사용장애군에서 자살의도척도의 총점이 유의하게 낮았지만, 여성에서는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험-구조평가척도에서 남성은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은 알코올사용장애군에서 가장 높은 구조도와 가장 낮은 위험도 점수를 보였다. 결 론 알코올사용장애가 있는 여성 자살시도자는 구조가 쉬운 상황에서 충동적인 자살 시도를 하는 경향이 있다면, 남성은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보다 급성 알코올 중독상태일 때 자살의도가 더 강했다. 자살시도자의 알코올의 사용이 성별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여성에서 중요한 위험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응급실을 내원한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임상적 특징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Room)

  • 신현우;이강준;김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2호
    • /
    • pp.100-106
    • /
    • 2015
  • 연구목적 한국에서 자살률의 높은 상승은 주로 남성과 노인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의 자살률은 OECD 가입 국가들 중 가장 높았다. 이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 법 2013년 6월과 2015년 7월까지 인제의대 일산백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한 총 336명의 20세 이상 성인과 노인 자살시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살시도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노인과 성인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연구기간 동안 71명의 노인, 265명의 성인 자살시도자들이 응급실을 내원하였다.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자살방법은 약물중독, 몸맴, 자상, 투신 순이었으며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치명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과거 정신과 장애는 노인 자살시도자들보다 성인 자살시도자들에서 더 흔하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는 응급실을 내원한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인 자살시도자들이 높은 치명도를 보이는 자살시도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효과적인 노인 자살방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자살기도자의 절망감과 자살치명도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Suicidal Lethality of Suicide Attempters)

  • 박정래;이상익;김재진;김석중;정인원
    • 정신신체의학
    • /
    • 제4권1호
    • /
    • pp.71-78
    • /
    • 199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hopelessness and suicidal lethality of suicide attempters. The subjects were 72 persons who attempted suicide and came to the emergency room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st, 1995 to March 31st, 1996. The hopelessness of suicide attempter was assessed by Beck Hopelessness Scale(BHS), and the suicidal lethality was assessed by Risk-Rescue score. The Risk-Rescue Score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age, education, religion, marital status, socioeconomic class, occupation) and psychiatric diagnoses. But the Risk-Rescu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igh BHS group(BHS score ${\geq}$ 9) than in low BHS group(BHS score <9)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BHS and the Risk-Rescue score(Rs=0.77 :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vel of hopelessness be a major risk factor for suicidal lethality.

  • PDF

일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Zolpidem-Using Suicide Attempts in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Department)

  • 맹헌규;이진희;민성호;김민혁;권윤나;진시영;김흥규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144-152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과 다른 방법을 사용한 자살시도군을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응급실에 내원한 총2734명의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 졸피뎀 외 약물 음독 자살시도군, 비약물 자살시도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세 군에 대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성, 자살시도와 관련된 임상적 특성들에 대해 교차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과 비약물적 자살시도군에서 차이를 보인 변수들에 대한 회귀 분석 결과에서, 안정제/수면제의 사용과 치명도가 낮거나 의도의 심각성이 높지 않은 경우가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었다. 유사한 특성을 보인 음독군 내에서도 안정제/수면제의 사용은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 내원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과 다른 방법을 사용한 자살시도군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졸피뎀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약물적 치료를 계획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 대학병원에 자살 시도 후 입원한 소아청소년들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 방연식;이진희;민성호;안정숙;박기창;김민혁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2호
    • /
    • pp.135-144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살 시도 후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군과 입원하지 않은 군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을 비교하여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방 법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자살 시도로 응급실에 내원한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35명의 입원군과 114명의 비입원군으로 분류하였다. 두 군에 대해 교차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수, 자살과 관련된 임상적 변수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자살 시도 후 입원군 소아청소년들과 비입원군 소아청소년들 모두 음독에 의한 자살시도를 가장 많이 시도했으며, 대인관계 곤란과 관련한 자살 동기가 가장 많았다. 입원군은 비입원군에 비해 예기손상을 통한 자살시도는 유의하게 적었고(${\chi}^2=4.374$, p=0.037), 치명도가 더 높은 자살시도를 했다(t=1.981, p=0.049). 또한, 입원군에서 학업과 관련된 문제가 자살 동기로 작용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고(${\chi}^2=12.082$, p=0.001), 대인관계 곤란에 의한 자살 동기는 더 적었다(${\chi}^2=9.869$, p=0.002). 자살시도로 인한 응급실 내원 당시 입원군에서 우울장애진단 비율이 더 높았고(${\chi}^2=8.649$, p=0.003), 회귀 분석 결과에서도 우울장애가 입원 여부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OR=2.783, 95% CI 1.092~7.089, p=0.032). 결 론 자살 시도 소아청소년들 중 입원군과 비입원군에서 자살 동기와 시도 방법, 정신과적 진단에서 차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자살 시도 소아청소년들의 위기개입 시 입원 여부에 따른 차별적인 접근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인간 전립선암세포에 있어서 칼슘조절을 통한 mifepristone의 세포독성효과 (Cytotoxicity of Mifepristone via Calcium Modulation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 송휘준;김병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92-898
    • /
    • 2009
  • Mifepristone (MIF)은 프로게스테론 유사체이며, 강한 항프로게스테론 효과 때문에 전립선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IF의 세포독성효과가 세포 내 칼슘농도 조절에 의한 것임을 밝힌다. 5-40 $\mu$M의 MIF를 처리 시 LNCaP 전립선암세포의 성장이 농도와 시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대로, 세포 내 칼슘의 레벨은 MIF의 처리시간과 농도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MIF를 처리한 세포를 PI 혹은 Hoechst로 염색한 결과, 전형적인 세포자살의 징후인 응축된 염색질과 핵 조각단편들이 관찰되었다. 이들 세포자살징후 역시 MIF의 처리시간과 농도가 증가 할수록 심화되었다. 세포자살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중요한 단백질인 Bcl-2 그룹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해 본 결과, 세포자살 억제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MIF처리시 치명적으로감소하였고, 대신에 세포자살 촉진단백질인 Bax의 발현은 2배로 증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MIF의 세포독성효과는 세포 내의 칼슘조절에 따른 세포자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 시도자들의 정신사회학적 특성과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의뢰 관련 요인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Referral to Psychiatric Care in the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Center)

  • 권정우;고영훈;한창수;이문수;윤호경;이홍재
    • 정신신체의학
    • /
    • 제21권2호
    • /
    • pp.106-113
    • /
    • 2013
  •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응급실을 내원한 자살 시도자들의 특성과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의뢰와 관련된 정신사회학적 요인을 알아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자살시도로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37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리는 정신사회학적 특성 및 자살 관련 변인,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관련 변인 총 20개 항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다변량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우리는 성별, 내원 당시 음주 상태, 동행보호자, 자살 방법, 자살 시도 장소, 최근 정신건강의학과 약물 복용력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의뢰에 미치는 독립적인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자살 시도자의 응급실 내원 후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의뢰 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여성(OR=1.63, 95% CI=0.99-2.69), 집에서의 자살시도(OR=3.40, 95% CI=1.21-9.56), 내원시 음주상태(OR=2.34, 95% CI=1.10-5.01)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집에서의 자살시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정신건강의의학과 약물 투약(p=0.08, OR=1.67, 95% CI=0.95-2.95) 또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의뢰 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자살 시도자의 자살 의도 및 자살 방법의 치명도, 환자 및 보호자의 자살시도에 대한 위험성 평가, 음주 여부 등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여부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추후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살시도자들에서 충동성과 자살시도의 의학적 치명도와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Impulsivity and Medical Lethality of Suicide Attempts among Suicide Attempters)

  • 박지원;서경훈;손경훈;한재현;전영주;정유진;이원준;성수정;한창환;조규종;황재연
    • 생물정신의학
    • /
    • 제25권4호
    • /
    • pp.118-124
    • /
    • 2018
  • Objectives Although impulsivity has long been thought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uicidal behaviors, it is unknown whether impulsivity increases the risk of dying from suicidal behaviors and what specific component among constructs of impulsivity contributes to the risk of dying among suicide attempters. Methods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between impulsivity and medical lethality of suicide attempt among suicide attempters, we consecutively recruited 46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an emergency room of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Seoul, Republic of Korea, due to suicide attempts and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n we assessed medical lethality with the Beck Lethality Scale (LS) and impulsivity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11-Revised (BIS). Demographic variables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and structured social work reports for suicide attempters. Results Although total scores of the BIS did not correlate with LS scores, only the scores of self-control, that is one of the Barrett's six theoretical constructs of impulsivity in which the higher score indicates less self-control and more impuls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cores of LS (p = 0.003). The association remained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variables known to affect suicide lethality such as job status, recent alcohol consumption, diagnosis of depressive disorders, and having a plan for suicide (${\beta}=0.429$, p = 0.009). Conclusions Not impulsivity in general, but poor self-control, in particular, predicts lethal suicidal behaviors among suicide attempters. The degree of self-control should be evaluated when assessing patients with elevated suicide risk, and proper measures should be installed to prevent possible future lethal suicide attempts.

  • PDF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농약중독(農藥中毒)에 대한 역학적(疫學的) 조사(調査) (Epidemiology of Pesticide Poisoning in Kyungpook)

  • 정종학;조재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8권1호
    • /
    • pp.28-34
    • /
    • 1983
  • 농약사용량(農藥便用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增加)하는 추세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에 대한 역학조사(疫學調査) 보고(報告)가 없는 실정이다. 1981년(年)부터 1982년(年)까지 2년간(年間) 경상북도(慶尙北道) 전지역(全地域)을 대상으로 의원(醫院), 병원(病院) 및 보건소(保健所)의 의무기록(醫務記錄)을 조사(調査)하여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를 파악하여 그 실태를 분석(分析)하였다. 1981년(年)에 765명, 1982년에 853명의 중독자(中毒者)가 발생(發生)하였다. 연령별(年令別)로는 20대(代)가 제일 많았고 성별(性別)로는 남자가 70% 여자가 30%였다. 중독경위별로는 직업적인 중독이 27.8%, 우연에 의한 사고(事故)가 5.6%였고 자살목적(自殺目的)이 66.6% 였다. 월별(月別)로는 6, 7, 8, 9월(月)에 발생(發生)이 많고 7월(月)이 제일 많고, 월평균(月平均) 67명이 발생(發生)하였다. 의료기관이용(醫療機關利用)은 개인의원이 49%, 병원이 43%였다. 치명율(致命率)은 직업적인 중독이 0.9%, 사고(事故)에 의한 중독(中毒)이 5.6% 자살목적(自殺目的)의 중독(中毒)에서 20.3%로 평균(平均) 14.1%였다. 인구 100,000 당 농약중독(農藥中毒) 발생(發生)은 년간(年間) 25.4였다.

  • PDF

Paraquat 중독 환자에서 전폐 방사선치료의 효과 (Early Pulmonary Irradiation in Paraquat ($Gramoxone^{(R)}$) Poisoning)

  • 이창걸;김귀언;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321-330
    • /
    • 1995
  • 목적 : 제초제로 사용되는 Paraquat($Gramoxone^{(R)}$)는 l0cc미만의 소량복용으로 사망이 가능하여 자살목적 혹은 사고로 복용한 후 응급실로 내원하게 되는데 적극적인 치료방법으로 신장 및 간장에 대한 독성은 가역적으로 회복이 가능하나 폐에 대한 독성은 가장 치명적으로 초기에 폐부종, 폐출혈등의 성인형호흡곤란증후군의 양상을 보이며 더욱 진행하면 폐섬유화를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사망하게 된다. 1984년 Webb등이 폐부종이 진행되는 paraquat중독환자에서 전폐방사선치료를 시행, 폐섬유화로의 진행을 억제하여 생존시킨 예를 보고한 이래 전폐 방사선 치료가 paraquat에 의한 폐독성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저자들은 연세의대 치료방사선과에서 paraquat중독으로 전폐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폐섬유화 예방에 대한 효과 및 궁극적으로 생존율 향상에 기여하였는지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7년 6월부터 1993년 8월까지 paraquat중독으로 연세의료원에 내원하여 치료하였던 3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14예에서 전폐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다. 환자들의 특성을 보면 남녀비가 12:18 이었고 3-76세의 연령에서 20-30세사이가 가장 많았고, 자살목적이 22예, 우발적인 사고로 복용한 예가 8예였다. 환자 및 보호자의 진술에 따라, 복용한양을 소량(<5cc), 한모금(5-50cc) 그리고 과량(>50cc)군으로 세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응급실에 도착하여 적극적인 치료와 함께 24시간 이 내 시작하였고 방사선량은 10Gy/5fr/1주으로, 전폐를 범위로 폐밀도 보상 없이 전후 2문 대향조사하였다. 3예에서 방사선치료도중 중단하였는데 치료거절(2Gy) 및 사망(2Gy, 6Gy)이 원인이었다. 결과 : 소량복용군에서는 방사선치료와 상관없이 7예 전원이 생존하였고 대조군에서 2예의 경미한 폐부종이 나타났으나 방사선치료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모금 복용군의 경우 15예 전예에서 폐독성이 나타났는데, 대조군에서는 7예중 1예($14{\%}$)에서만 회복된 반면 방사선치료군에서는 8예중 4예($50{\%}$)에서 폐독성에서 회복되었다. 한모금 복용군에서 음독후 4일이내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경우 5예중 4예($80{\%}$)에서 폐독성이 회복된 반면 5일 이후에 치료한 3예에서는 전원($100{\%}$)이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여 차이를 보였다. 4일이내 방사선치료군에서 2Gy 조사 후 치료를 거절한 1예를 제외하면 4예 전원($100{\%}$)에서 폐섬유화를 예방할 수 있었다. 과량복용군에서는 방사선치료와 상관없이 8예 전원이 다기관 손상과 함께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는데 방사선치료는 3예 모두 음독2일 이내에 시행되었지만 모두 폐섬유화로 진행되어 사망하였다. 결론 : Paraquat중독으로 궁극적인 사망의 원인이되는 폐섬유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폐방사선치료는 비록 복용량이 정확하지는 않으나 약 한모금(5-50cc)정도 복용한 경우 paraquat배설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와 함께 조기에(적어도 4일 이내에) 시행될 경우 폐섬유화로의 이행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생존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소량복용의 경우와 과량을 복용한 경우 전폐방사선치료는 필요가 없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향후 음독후 정확한 혈중 paraquat 농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전폐방사선효과를 규명하는 임상실험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