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망어업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꽁치 자망의 망지 재료에 따른 어획성능 및 망목선택성

  • 안두해;조현수;고정락;김영승;박창두;이주희;김형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76-77
    • /
    • 2003
  • 최근, UN해양법이 발효됨에 따라 어업자원의 이용 및 자원관리에 관한 권리는 연안국의 소유가 되었으며, 우리나라와 같은 원양 어업국은 연안국의 조업규제로 인하여 최근까지 이용하던 많은 해외 어장을 상실하게 되었다. 따라서 원양어업 분야에 있어서는 연안국의 조업규제가 적은 공해상의 새로운 어장개척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였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세계 각지에서 행해지고 있다. (중략)

  • PDF

장기선 음향텔레메트리에 의한 어류행동 추적 시스템의 측위정도

  • 태종완;신현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72-73
    • /
    • 2003
  • 최근들어 인공어초의 경우 그것을 투입한 후 그 효과에 대한 문제가 많이 대두되고 있다. 인공어초는 연안어장에 인공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여 대상 수산물 보호,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어장 시설물이다. 인공어초를 투입한 후 그 효과를 조사하는 수단인 자망에 의한 어획실험, 장수조사, 표지방류 등이 있다. 하지만, 자망은 어초에 대한 어류의 직접적인 반응을 알기 어렵고 잠수조사는 시간의 제약성, 그리고 표지방류에 의한 방법은 재어획이 이루어져야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중략)

  • PDF

동해의 어업기술 개발 -왕돌초를 중심으로-

  • 박성욱;이정우;전영열;박차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37-38
    • /
    • 2002
  •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리에서 동쪽으로 13마일 떨어져 있는 왕돌초 주변해역은 한ㆍ난류가 교차하는 조경어장이면서 수중암초가 융기되어 있는 용승어장으로서 수산생물이 풍부한 반면 해황이 거친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왕돌초와 인접해 있는 어업인들은 수 십년전부터 5톤급이상의 어선 150여 척을 이용하여 채낚기, 자망, 통발, 저인망, 트롤 등으로 조업을 해 오고 있다. (중략)

  • PDF

ON THE CATCH OF GILL NET IN THE JEJU ISLAND -Comparison of mackerel catch in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gill nets- (제주도 자망이망율에 관하여 -고등어 자망의 이망율 비교-)

  • SHON Tae Ju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8 no.1
    • /
    • pp.7-10
    • /
    • 1975
  • The catches of mackerel by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net were compared by means of $x^2$ and t-test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netting twine of drift nets, 6 shoots 5 different mesh and nylon-monofilament netting twines $(B\times2,\;C\;D,\;F,)$ and 2 shoe nylon-multifilament $(A\times2)$ which are using near the Jeju Island in contemporary day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These gill no were connected in order of A, ,B, C, A, B, E, F and operated fly fishing boat Taeann Ho (7T) near sea of Jeju Ialand from May 1974 to August 1974.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B type nylon-monofilament gill nets were superior to nylon-multifilament gill nets in catch according to the result of $X^2$ test and t-test, and the catch ratio was $M_A:\;M_B=1:1.8$. 2. 75mm mesh size C, D nylon-monofilament gill nets were superior to 85mm mesh size nylonmonofilament gill nets, and their catch ratio were E, F: C, D=1:2.8. 3. The catch ratio C, D and E, F type nets were compared by means of t-teat, however could not recognized their relationship.

  • PDF

Catching Efficiency of Gill Net and Trammel Net for Ceramic Artificial Reefs Fishing Ground in the Coastal Area of Geomun-do, Korea (한국 거문도연안 세라믹어초어장에서의 홑자망과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성능)

  • Park, Seong-Wook;Kim, Dae-Kw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40 no.3
    • /
    • pp.182-188
    • /
    • 2004
  • It has been, in general, known that the catching efficiency of a trammel net is better than that of a gill net because of the variability of catch species and size. In this stidy, A fishing gear 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atching efficiency of the gill net and the trammel net on the coast of Geomun-do of southern Korean waters and fish school aggregation was also investigated using a underwater video camera. CPUE of the gill net was 49.2% higher than the trammel net but fish species was 34.5% lower where there was no difference on the significance level of 5% by ANOVA test. Main catch species caught by the gill net were red seabream(Pagrus major) and triggerfish(Aluterus monoceros), skate ray(Raja Kenojei) and red seabream for the trammel net, and the average body length of red seabream was shorter than the trammel net. It was thought that the reason of higher catch in the gill net than the trammel net was a fish school which can be caught easily by gill net and the size of population was suitable for the gill net.

해양폐기물 관리정책

  • Yu, Jeong-Seok
    • 어항어장
    • /
    • s.75
    • /
    • pp.30-34
    • /
    • 2006
  • '70년대 이후 잡는 어업의 발달과 함께 통발.자망등의 어구가 크게 증가하여 국내 연근해 해역에는 약 40여만 톤의 폐기물이 바다 속에 침적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특히 주요어장 및 폐기물 밀집도가 높은 해역에는 약 115천 톤의 폐기물이 방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 PDF

동해안 너도대게 자원조사

  • 전영열;황선재;박중연;홍병규;김영섭;허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15-416
    • /
    • 2001
  • 지금까지 동해에 서식하는 대게류근 대게(Chionoecetes opilio, 일명 영덕대게)와 붉은대게(Chionoecetes japonicus, 일명 홍게)의 두 종류가 있었다. 대게는 200∼800m수심의 사질이 많은 곳에서 주로 서식하면서 자망에 의해 어획되고 있으며, 붉은대게는 500∼2,300m의 동해 심층에 분포, 서식하면서 근해통말어업에 의해 어획되고 있다. 특히, 대게는 동해 주요 합가류 중의 하나로서 그 맛이 특이하게 좋아 고가로 판매되면서 동해 어민들의 소득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종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