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취득 흔적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Reverse-time Migration using Surface-related Multiples (자유면 기인 겹반사파를 이용한 거꿀시간 참반사 보정)

  • Lee, Ganghoon;Pyun, Sukjoo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1 no.1
    • /
    • pp.41-53
    • /
    • 2018
  • In the traditional seismic processing, multiple reflections are treated as noise and therefore they are eliminated during data processing. Recently, however, many studies have begun to consider multiples as signals rather than noise for seismic imaging. Multiple reflections can illuminate an area where primary reflections are not able to cover, thus it is allowed that a smaller number of shots and receivers are used for imaging large areas. In order to verify this, surface-related multiples were used for reverse-time migration (RTM), and then we compared the results with conventional RTM images which are generated from primary reflections. To utilize multiples, we separated multiples from whole seismic data using surface-related multiple elimination (SRME) method. Numerical examples confirmed that the migration using multiples can image wider area than the conventional migration, particularly in the shallow subsurface layers. In addition, the migration of multiples could eliminate the acquisition footprints.

Analysis of debris flow movement and diffusion zone, on August 2020 (2020년 8월 토석류 발생지역의 이동확산범위 분석)

  • Kim, Minseok;An, Hyunuk;Lee, Seongjun;Kim, Ji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5-235
    • /
    • 2021
  • 아시아 몬순기후의 영향에 의해 우리나라는 2020년 7월부터 9월까지 약 90일간의 장마로 인해 크고 작은 수재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안성, 충주, 음성 그리고 곡성 등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였으며, 그 외 13개소에서 많은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2020년 산사태/토석류 재해로 인한 전국적인 피해액은 약 3,900억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매년 집중호우에 의해 피해 양상이 변하고, 도시지역에서의 발생이 빈번하게 늘고 있다.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토석류 전이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발생 물질이 어디까지 이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위험범위확산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며, 이런 연구를 기반으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천수방정식, 유변학특성 식 그리고 연행침식 식을 조합하여 개발된 적응형 격자기반 2차원 토석류 모델을 이용하여 안성, 음성 그리고 단성지역에서 발생했었던 산사태/토석류 전이 피해 양상을 해석하였다. 산사태 발생 후 2~3일 이내에 지표 지질 및 지형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UAV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산사태 및 토석류의 형태를 맵핑하였다. 지질 및 지형조사 시 간이 Vein tester를 이용하여 야외에서 토양 물성관련 자료를 취득하였으며, 토석류의 이동 흔적(나무 등에의 토석류 타격 흔적)을 이용하여 조사지점에서의 최대 토석류 흐름 깊이를 추정하였다. 정확한 토석류의 유속에 대한 자료 부족으로 2011년 우면산에서 발생한 약 26m/s의 속도를 이용하여 토석류의 흐름 특성을 계산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행침식의 계산을 위해 발생지점 부터 토석류가 퇴적된 하류부까지 기반암의 노출 및 퇴적 정보를 통해 최대 침식 깊이를 추정하여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토석류 맵핑자료와 비교 결과 정확도가 9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토석류 발생 후 안성 200초, 음성 180초 그리고 단성 180초 이내로 토석류가 하류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와 같이 산사태/토석류 발생 메커니즘 해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산지 재해에 의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토석류확산범위 해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Watershed Analysis of the Expected Flood Inundation Area in South Han River (남한강 유역의 침수예상지역에 대한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연구)

  • HONG, Sung-Soo;JUNG, Da-Som;HWANG, Eui-Ho;CHAE, Hyo-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106-119
    • /
    • 2016
  • Flood risk map, flood damage map, disaster information map, inundation trace map are involved with the cartographic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based on prevention, preparation, restoration, response from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 flooding, etc.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r channel and basin characteristics Chungju dam to Paldang dam of South han river after four river project. Flood scenario is selected to take advantage of design flood level of schematic design for river. Flood inundation of one dimensional non-uniform flow by using HEC-RAS with basin characteristics is accomplished and two dimensional unsteady flow was interpreted by using FLUMEN. Frequency analysis is carried out about each abundance of South han river for 100 year period, 200 year period and 500 year period. Flooding disaster area of 100 year period on 0.5m damage functions is 2378.8ha, 200 year period on 0.5m damage functions is 3155.2ha, 500 year period on 0.5m damage functions is 3995.3ha respectively. It will be significant data for decision making to establish inundation trace map for providing basic plan for river maintenance, land use plan, flood protection plan, application plan and getting information of flood expectation area.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Digital Evidence Collection Application on Windows based computer (윈도우 환경에서의 증거 수집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Lee, SeungWon;Roh, YoungSup;Han, Chang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3 no.1
    • /
    • pp.57-67
    • /
    • 2013
  • Lately, intrusive incidents (including system hacking, viruses, worms, homepage alterations, and data leaks) have not involved the distribution of an virus or worm, but have been designed to acquire private information or trade secrets. Because an attacker uses advanced intelligence and attack techniques that conceal and alter data in a computer, the collector cannot trace the digital evidence of the attack. In an initial incident response first responser deals with the suspect or crime scene data that needs investigative leads quickly, in accordance with forensic process methodology that provides the identification of digital evidence in a systematic approach. In order to an effective initial response to first responders, this paper analyzes the collection data such as user usage profiles, chronology timeline, and internet data according to CFFPM(computer forensics field triage process model), proceeds to design, and implements a collection application to deploy the client/server architecture on the Windows based computer.

An Oral History Study of Overseas Korean Astronomer: John D. R. Bahng's Case (한국천문연구원 원외 원로 구술사연구 - 방득룡 전임 노스웨스턴 대학교 천문학 교수 사례 -)

  • Choi, Youngsil;Seo, Yoon Kyung;Lee, Hyung M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73.4-74
    • /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은 2017년 제1차 구술채록사업에 이어 2020년 제2차 사업을 진행하면서 최초로 원외 원로에 대한 구술채록을 시도하였다. 국가 대표 천문연구의 산실로서 연구원 존재 의의를 확립하기 위하여 원내 원로에 국한되었던 구술자 대상을 확장한 것이다. 그 첫 외부 구술 대상자로 방득룡 전임 노스웨스턴 천문학과 교수를 선정하여 2020년 7월부터 준비단계에 들어갔다. 방득룡 전(前)교수가 첫 번째 한국천문연구원 원외 인사 구술자로 선정된 이유는, 그가 우리나라 천문대1호 망원경 구매 선정에 개입한 서신(1972년)이 자료로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2017년에 수행한 제1차 구술채록사업에서 구술자로 참여한 오병렬 한국천문연구원 원로가 기증한 사료들은 대부분 연구원 태동기 국립천문대 구축과 망원경 구매 관련 자료였으며 이 가운데 1972년 당시 과학기술처 김선길 진흥국장에게 Boller and Chivesns(사(社))의 반사경을 추천한 방득룡 전(前)교수의 서신은 한국 천문학 발전사에서 중요한 사료였다. 연구진은 이 자료를 시작으로, 방득룡 전(前)교수의 생존 여부와 문서고의 공기록물들에서 그의 흔적을 찾아가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그는 실제 세계와 한국천문연구원 문서고 깊숙이 기록물들 모두에서 상존하고 있었다. 1927년생인 방득룡 전(前)교수, Dr. John D. R.은 미국 플로리다 한 실버타운에서 건강한 정신으로 생존하여 있었고 연구진의 인터뷰에 흔쾌히 응했다. 2020년 9월 16일에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세종홀 2층 회의실에서 영상통신회의로 그와의 구술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이 구술인터뷰는 원외 인사가 대상이란 점 외에도 방법적으로는 전형적인 대면 방식이 아닌 영상 인터뷰였다는 점에서 코로나 시대의 대안이 되는 실험적 시도였다. 현대 한국천문학 발전사의 재조명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었다. 1960년대 초반부터 1992년 정년퇴임까지 30년을 미국 유수 대학교 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한 활동을 해 온 한국계 천문학자가 우리나라 최초 반사망원경 구매 선정에 적극 개입하였던 역사는, 공문서 자료들과 서신 사료들에 이어 그의 육성으로 나머지 의구심의 간극이 채워졌다. 또 구술자 개인이 주관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기는 '기억'이 중요한 아카이빙 콘텐츠 확장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구술사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관점을 주었다. 애초 연구진이 방득룡 전(前)교수의 공식 기록에서 아카이빙의 큰 줄기로 잡았던 것은 1948년 도미, 1957년 위스콘신 대학교 천문학 박사학위 취득, 1962년부터 노스웨스턴 대학(일리노이주 에반스턴)의 천문학 교수진, 1992년 은퇴로 이어진 생애였다. 그러나 그와의 구술 준비 서신 왕래와 구술을 통하여 알게 된 그가 인생에서 중요시 여겼던 지점은, 1948년 도미 무렵 한국의 전쟁 전 상황과 당시 비슷한 시기에 유학한 한국 천문학자들의 동태, 그리고 1957년부터 1962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M. Schwarzschild 교수와 L. Spitzer 교수를 보조하며 Stratoscope Project를 연구하였던 경험이었다. 기록학적 의미에서도, 전자를 통해서 그와 함께 동시대 한국 천문학을 이끌었던 인재들의 맥락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후자를 통해서는 세계 천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석학에 대한 아카이브 정보와의 연계 지점과 방득룡 전(前)교수의 연구 근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들은 추후 방득룡 콘텐츠 서비스 시에 AIP, NASM, Lyman Spitzer 콘텐츠, 평양천문대, 화천조경천문대, 서울대와 연세대, 그리고 한국천문연구원까지 연계되어 전 세계 폭넓은 이용자들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검색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번 방득룡 구술사 연구에서 구술자 개인의 주관적인 소회가 공식 기록이 다가갈 수 없는 역사적 실체에 일정 부분 가까울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를 통하여 개인의 역사는 공동체의 역사로 확장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 연구진은 방득룡 전(前)교수의 회상을 통하여 구술자 개인의 시각으로 한국과 미국 천문학계의 공동체 역사를 재조명할 수 있었고, 이것을 아카이브 콘텐츠 확장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무엇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주제의 아카이브로 연동될 수 있는 주제어와 검색도구를 구술자 개인의 회상으로부터 유효하게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향후 한국천문 구술아카이브의 확장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활용과 연구 재활용의 선순환이 가능하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는 최근 기록학계에서 대두되고 있는 LOD(Linked Open Data)의 방향성과도 흡사하여 한국천문학 구술사연구의 차세대 통합형 기록관리의 미래모형을 기대케 하는 대목이다.

  • PDF

A Study on 3D Scan Technology for Find Archetype of Youngbeokji in Seongnagwon Garden (성락원 영벽지의 원형 파악을 위한 3D 스캔기술 연구)

  • Lee, Won-Ho;Kim, Dong-Hyun;Kim, Jae-Ung;Park, D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3
    • /
    • pp.95-105
    • /
    • 2013
  • This study on circular identifying purposes was performed of Youngbeokji space located in Seongnagwon(Scenic Sites No.35).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of 3D high precision, such as the surrounding terrain of the Youngbeokji.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purpose of the stone structures and structure within the Youngbeokji search is an important clue to find that earlier era will be a prototype. 3D scan method of enforcement is searching the whole structure, including the surrounding terrain and having the easy way. Secon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as follows. Department of bedrock surveyed from South to North was measured by 7,665mm. From East to West was measured at 7,326mm. The size of the stone structures, $1,665mm{\times}1,721mm$ in the form of a square. Its interior has a diameter of 1, 664mm of hemispherical form.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ck masses in the South to the North, has fallen out of the $1,006mm{\times}328mm$ scale traces were discovered. Third, the Youngbeokji recorded in the internal terrain Multiresolution approach. After working with the scanner and scan using the scan data, broadband, to merge. Polygon Data conversion to process was conducted and mash as fine scan data are converted to process data. High resolution photos obtained through the creation of 3D terrain data overlap and the final result. Fourthly, as a result of this action, stone structure West of the waterway back outgoing times oil was confirmed. Bangjiwondo is estimated to be seokji of structure hydroponic facility confirmed will artificially carved in the bedrock. As a result of this and the previous situation of the 1960s could compare data was created. This study provides 3D precision ordnance through the acquisition of the data. Excavations at the circle was able to preserve in perpetuity as digital data. In the future, this data is welcome to take a wide variety of professionals. This is the purpose of this is to establish foundations and conservation management measures will be used. In addition, The new ease of how future research and 3D scan unveiled in the garden has been used in the study expect.

A Study on Method of Citizen Science a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as a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ool of Wetland Protected Areas (Inland Wetland) - Focused on the Target of Conservation·Management·Utilization in Wetland Protected Area Conservation Plan - (내륙 습지보호지역의 생태계 보전·관리 도구로서 시민과학연구 방법론 및 성과 제고 방안 -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의 보전·관리·이용 목표를 중심으로 -)

  • Inae Yeo;Changsu Lee;Ji Hyun Ka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6
    • /
    • pp.450-462
    • /
    • 2023
  • This study suggested methodology of Citizen Science as a tool of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o achieve Wetland Protected Area (WPA) Conservation Plan and examined whose applicability in 3 WPAs (Jangrok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Madongho of Goseong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Incheongang estuary of Gochang in North Jeolla Province). It consists of a) figuring out main interests and stakeholder or beneficiaries of WPA and their information demand based on conservation, utilization, and management target in the WPA Conservation Plan, b) conducting research activities to gain outcome to address stakeholder's demand, and c) returning the research outcome to citizen scientists and making diffusion to the society. Based on the suggested method and process, citizen scientists conducted ecosystem monitoring (plants including Invasive Alien Plants, terrestrial insects, traces of mammals, discovering unknown wetland). As a result, citizen scientists contributed to collecting species information of 16 plans, 43 species of terrestrial insects, 5 mammals including Lutra lutra (Endangered Species I) and Prionailurus bengalensis (Endangered Species II). The authors constructed and provided distribution map of Invasive Alien Plants, which included information of location and density which citizen scientists registered, for Enviro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who manage 3 WPAs to aid data-based ecosystem policy, In further studies, not only accumulating research data and outcomes acquired from citizen science to suffice the policy demands but also deliberate reviewing policy applicability and social·economic ripple effect should be processed for the suggested Citizen Science in WPA to be settled down as a tool of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