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취득 변수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Resolution of Shallow Marine Subsuface Structure Image Associated with Acquisition Parameters of High-resolution Multi-channel Seismic Data (고해상 다중채널 탄성파탐사 자료취득변수에 따른 천부 해저지층영상의 해상도)

  • Lee Ho-Young;Koo Nam-Hyung;Park Keun-Pil;Yoo Dong-Geun;Kang Dong-Hyo;Kim Young-Gun;Seo Gab-Seok;Hwang Kyu-Duk;Kim Jong-Chon;Kim Ji-Soo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6 no.3
    • /
    • pp.126-133
    • /
    • 2003
  • High-resolution shallow marine seismic survey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resources exploration, engineering applications and Quaternary mapping.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subsurface structure image, multichannel digital technique has been applied. The quality of the image depends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solution and signal to noise (S/N) ratio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data acquisition parameters such as sample interval, common midpoint (CMP) interval and CMP fol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acquisition parameters, a test survey was carried out off Yeosu and the acquired data were analyzed. A 30 $in^3$ small air gun was used as a seismic source and 8 channel streamer cable with a 5 m group interval was used as a receiver. The data were digitally recorded with a shot interval of 2 s and sample interval of 0.1 ms. The acquired data were resampled with various sample intervals, CMP intervals and CMP folds. The resampled data were processed, plotted as seismic sections and compared each other.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in bed structure with ${\~}1m$ thickness and ${\~}6^{\circ}$ slope can be imaged with good resolution and continuity and low noise using the acquisition parameters with a sample interval shorter than 0.2 ms, CMP interval shorter than 2.5 m and CMP fold more than 4. Because seismic resolution is associated with the acquisition parameters, the quality of the subsurface structure can be imaged successfully using suitable and optimum acquisition parameters.

The Annual Runoff Estimation of Namchun Using SWMM (SWMM을 이용한 남천의 연유출량 추정)

  • Kim, Nam-Uk;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09-1113
    • /
    • 2010
  • 창원시는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 현상으로 경작지나 녹지와 같은 투수지표면이 대단위 주택단지나 도로, 상업지구, 공장시설과 같은 불투수지표면으로 변화되어 전형적인 도시 유역특성을 띠고 있어 SWMM 모형의 적용에 적합하다. 적용대상인 남천은 창원시를 관류하는 유로연장 14.7 km의 하천으로 지류인 창원천을 포함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환경부 지원 시범사업으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계획되어 실시설계 완료 후 공사가 진행 중이나, 복원 후 하천관리를 위한 유지유량 산정 등의 타당성과 관련한 문제가 지역사회에서의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천 유역의 특성을 적절히 고려한 유지유량 산정을 통해 향후 복원된 남천의 하천관리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실측된 남천과 창원천의 유량자료와 SWMM 유출량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남천의 유량자료는 2008년 5월 6일부터 8월 20일까지 실측하였으며, 남천의 지류인 창원천은 유량자료 취득구간이었던 창원천교 지점에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유량자료를 취득할 수 없었으므로 남천의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비유량법으로 추정하였다. 유출량 산정을 위한 강우자료는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마산과 창원의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 강우 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마산기상대의 자료 대신, 창원시에서 제공한 5년간 (2005년~2009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SWAT을 이용하여 남천 유역을 39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Arc View를 이용하여 지형인자들을 추출하여 SWMM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입력자료 중 유출량 추정에 큰 영향을 끼치는 매개변수들은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매개변수들을 결정하고 연유출량 추정을 위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남천의 연유출량을 추정함으로써 하천관리를 위한 유지유량 산정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torage Effect of Pollutant Transport at Notch Installed Weir (노치 위어에서 오염물질 저장대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eo, Il Won;Jung, Su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3-53
    • /
    • 2020
  • 오염물질 유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안전한 수자원의 관리 및 공급을 위해 오염물질의 혼합거동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필요하다.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혼합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다양하지만, 수리구조물 등에 의해 발생한 저흐름 영역에 의해 오염물질이 정체되는 현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 하천에는 약 33,000여 개가 넘는 취수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보들은 대부분 광정보 형태의 농업용수 취수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보에는 저유량 시기에 보 상하류간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노치(notch) 형태의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노치로 인하여 보 상류쪽에 연직방향 뿐만 아닌 수평방향 흐름장의 변화 및 저흐름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치가 설치된 보 구조물 주변에서의 수평 방향 흐름 구조 및 오염물질의 혼합 거동을 분석하여 하천 저장대 모형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저흐름 영역에 의하여 오염물질의 정체현상이 발생할 경우, 일반적으로 오염물질 혼합 해석에 사용되는 Fickian 이송-확산 모형은 농도의 공간 분포를 잘 재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non-fickian 모형인 하천 저장대 모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천 저장대 모형에서의 주요 매개변수로는 저장대 영역(저흐름 영역)의 면적과 질량교환계수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노치의 조건 변화에 따른 저장대 영역 및 질량교환계수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노치의 조건 변화에 따른 저장대 모형의 매개변수 산정을 위하여 보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개수로에서 수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광범위의 수평방향 흐름구조 및 오염물질의 혼합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LSPIV(Large Scale Particle-Image-Velocimetry) 및 PCA(Planar-Concentration-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유속 및 오염물질의 농도자료를 취득하였다. 취득된 유속 자료 및 농도자료를 바탕으로 보 상류에 위치한 저흐름영역의 크기 및 저흐름 영역과 주 흐름 영역 사이의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자료 분석결과, 노치의 간격이 커질수록 저흐름영역의 크기 또한 증가하였으며, 오염물질의 체류시간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Development of a conceptual rainfall-runoff ensemble model using hierarchical Bayesian method (계층적 베이지안을 활용한 개념적 강우-유출모형 앙상블 모델 구축)

  • Yu, Jae-Ung;Kim, Min-Ji;Oh, Se-Cheong;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81-181
    • /
    • 2021
  • 유역 내의 물순환 평가를 위하여 적합한 강우-유출모형을 선정하고 적용하는 것은 수문학적 관점에서 주된 과제이다. 장기적인 관점의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직접적인 계측을 통해 장기간의 유출자료를 취득하는 방법이 있으나, 국내의 주요지점을 제외한 대다수의 중소규모의 지점에 계측기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자료취득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은 장기간 강우 자료를 강우-유출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으로의 모형을 확장하는 방안이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주요 연속강우-유출모형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교적 신뢰성 있는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소양강댐 유역에 다수의 연속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였다. 모델링 결과로 산출된 유황곡선(flow duration curve)을 소양강댐 유입량과 비교하여 각 모형의 특징을 파악하고 유량에 따른 적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향후 미계측유역으로 모형을 확장하기 위하여 매개변수 개수 및 재현능력을 동시에 평가하였다. 다수의 모형 중 적합성이 높은 모형들을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모형들의 불확실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계층적 베이지안 기법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앙상블모형을 제시하였다. 앙상블모형을 단일 모형과 비교한 결과 단일 모형보다 개선된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2-D Numerical Simulation Considering Channel Topographical Features (하도의 지형특성을 고려한 2차원 수치모의)

  • Song, Seung-Won;Lyu, Si-Wan;Kim, Young-Do;Seo, Il-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53-857
    • /
    • 2009
  • 2차원 흐름해석 모형인 SMS(Surface-Water Modeling System)와 RAMS(River Analysis Modeling System)를 이용한 유속장 모의를 통해 Manning 조도계수와 와점성계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흐름특성은 Manning 조도계수에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Manning 조도계수의 변화를 통하여 실측치에 근사한 유속 분포의 모의결과를 도출하고자 현장실측을 통해 취득한 자료를 이용하여 2차원 수치모형의 모의결과와 비교하였다. 국가하천 형산강 본류 중 안강수위관측소에서 부조수위관측소 사이 약 4.3 km 의 구간을 모의구간으로 선정하였으며, $2006{\sim}2007$년에 걸쳐 취득된 현장실측자료를 바탕으로 매개변수 추정 및 모의결과와 비교하였다. 대상구간에 대한 모의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하도의 지형특성 등을 고려하여 모의구간을 다수의 구획으로 구분한 후 수심 및 하도 평면선형을 고려한 Manning 조도계수를 차등적으로 할당하여 모의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모의결과의 정확도 제고가 가능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The Shear Wave Velocity Analysis using Passive Method MASW in the Center of the Metropolis, Gyeongsan (Passive Method MASW 방법을 이용한 경산시 도심구간에서의 전단파 속도 분석)

  • Lee, Hong-Gyu;Kim, Woo-Hyuk;Jang, Seung-Ik;Lee, Seog-Kyu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7 no.4
    • /
    • pp.511-516
    • /
    • 2007
  • Active method MASW(Multi 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s), which is one of the surface wave exploration methods, has the difficulties to supply enough shear wave velocity log, caused by short spread length and lack of low frequency energy. To make up this defect, the passive method MASW survey is taked and analysised in Daeku subway construction site, Jungpyung-dong Gyeongsan city. The passive method MASW using the microtremor, improve the quality of the overtone record by applying the azimuth correction caused offline sources. And combing with active overtone record which is acquired by same geometry has the benefits of improve shallow depth resolution and extend possible investigation depth. To take the optimized acquisition parameters, the 2m, 4m, and 6m geophone spacing is tested. And 2m spacing overtone image could make the reliable shear wave velocity log.

Measurement of Flow Discharges in the Small-sized Rivers using the Wireless Image Acquisition System (무선영상취득시스템에 의한 홍수시 소하천의 유량 측정)

  • Yu, Kwonkyu;Lee, Nam-joo;Kang, Ta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62-62
    • /
    • 2018
  • 무선영상취득시스템(WIA 시스템, Wireless Image Acquisition System)은 라즈베리 파이에 전용 카메라와 WiFi 모듈을 장착하여, 하천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무선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이 갖는 가장 큰 이점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점이다. 라즈베리 본체와 카메라 모듈, WiFi 모듈 모두 매우 저렴하고, 또 사용하는 전력이 작아서 상용 전원이 아닌 태양광 발전이나 배터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어디든지 설치하여 하천의 상시 감시나 계측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용 전원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산간벽지나 오지 등의 소하천 관리에도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WIA 시스템을 경상남도 김해시의 대청천에 적용하여 홍수 시 하천의 수표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수위와 유속을 동시에 계측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라즈베리 파이에 $640{\times}480$ 화소의 카메라를 장착하여 10분 간격으로 10초간의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WiFi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서버로 전송한다. 전송된 동영상을 분석하기 전에 설치 지점의 3차원 좌표 변환 자료와 횡단면 좌표를 입력하여 대상 지점의 측정 매개변수를 설정한다. 즉, 이들 자료에서 영상 내의 표정점과 측정선을 설정해 둔다. 그 다음, 전송된 동영상을 시공간 영상으로 만들어 수위를 분석한다. 비슷한 방법으로 동영상에서 유속을 분석하고, 분석된 수위와 유속, 그리고 미리 설정된 횡단면 좌표를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해 낸다. 설치된 WIA 시스템을 실제로 운용하여, 2017년 9월 11일의 06:10~19:00의 호우 사상 전체를 분석하였다. 10분 간격으로 촬영된 10초간 동영상 중에서 적절한 분석이 가능한 영상 77개에서 수위와 유속을 분석한 결과, 최대 수위는 0.746 m(간이수위표 기준), 최대 유속은 0.962 m/s, 최대 유량은 $12.977m^3/s$에 이르렀다. 지점 특성상 다른 유속계를 이용한 검증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또, 하폭이 넓어서 일출 전과 일몰 후의 촬영 자료는 분석이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들을 보완하면, WIA 시스템을 이용한 소하천의 수위와 유속 측정 시스템은 경제성이고 효율이 높은 관측시스템으로 유망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onitoring of Rice Growth by RADARSAT and Landsat TM data (RADARSAT과 Landsat TM자료를 이용한 벼 생육모니터링)

  • Hong Suk-Young;Rim Sang-Kyu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 no.1
    • /
    • pp.9-15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 of RADARSAT and Landsat TM data for the monitoring of rice growth. The relationships between backscatter coefficients($\sigma$$^{0}$ ) of RADARSAT data and digital numbers (DN) of Landsat TM and rice growth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Radar backscatter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y calibration process and then compared with rice growth parameters; plant height, leaf area index (LAI), and fresh and dry biomass. When radar backscatter coefficient ($\sigma$$^{0}$ ) of rice was expressed as a function of time, it is shown that the increasing trend ranged from -22--20dB to -9--8dB as growth advances. The temporal variation of backscatter coefficient was significant to interpret rice growth.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eaf area index and backscatter coefficient, backscatter coefficient underestimated leaf area index at the beginning of life history and overestimated, at the reproductive stage. The same increasing trend between biomass and backscatter coefficient was shown. From these results, RADARSAT data appear positive to the monitoring of rice growth. Each band of time-series Landsat TM data had a significant trend as a rice crop grows during its life cycle. Spectral indices, NDVI[(TM4-TM3)/(TM4+TM3)] and RVI(TM4/TM2), derived from Landsat TM equivalent bands had the same trend as leaf area index.

  • PDF

Image Quality Assessment of Mobile-based Image Acquisition System for Disaster Scientific Investigation (재난원인과학조사를 위한 차량기반 영상취득시스템의 영상품질평가)

  • Kim, Mi Kyeong;Kim, Sang Pil;Kim, Nam Hoon;Song, Young Karb;Sohn, Hong Gy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3
    • /
    • pp.75-83
    • /
    • 2016
  • There are various types of disasters now, and accordingly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manage all types of disasters effectively. If we are able to reconstruct the disaster event and investigate the cause, it may be possible to prepare the recurrence of similar patterns of disasters. The vehicle-based system equipped with state-of-the-art sensors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reconstruct the disaster site as much as possible and help the disaster investigator to analyze the cause of the disaster by providing high-quality information. However, the data quality obtained from the sensors can be lowered due to unpredictable circumstances of disaster site. In this aspect it is essential to provide practical procedures that assess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on site. In this paper, we selected critical elements of performance that can evaluate the vehicle-based image acquisition system, since it is the most critical piece of information in the disaster sites. The quality of the images obtained from vehicle-based image system was analyzed and verified on the test site. From the results of spatial resolution based on GRD(Ground Resolved Distance), we were able to identify maximum 5mm of spatial resolution at a distance of 70m distance. The result of field test is expected to be used for data acquisition plan in future disaster situations.

Data Processing using Anisotropic Analysis for the Long-offset Marine Seismic Data of the East Sea, Korea (동해 해역 원거리 해양탄성파 탐사자료의 이방성 분석을 이용한 전산처리)

  • Joo, Yonghwan;Kim, Byoung-yeop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3 no.1
    • /
    • pp.13-21
    • /
    • 2020
  • The acquisition and processing of long-offset data are essential for imaging deep geological structures in marine seismic surveys. It is challenging to derive an accurate subsurface image by employing conventional data processing to long-offset data owing to the normal moveout (NMO) stretch and non-hyperbolic moveout phenomena induced by seismic anisotropy. In 2017, th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conducted a simultaneous two-dimensional multichannel streamer and ocean-bottom seismic survey using a 5.7-km streamer and an ocean-bottom seismometer to identify the deep geological structure of the Ulleung Basin. Herein, the actual geological subsurface structure was obtained via the sequential iterative updating of the velocity and anisotropic parameters of the long-offset data obtained using a multichannel streamer, and anisotropic prestack Kirchhoff migr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updated velocity and anisotropic parameters as input parameters. As a result, the reflection energy in the long-offset traces, which showed non-hyperbolic moveout owing to seismic anisotropy, was well aligned horizontally and NMO stretches were also reduced. Thus, a more precise and accurate migrated image was obtained, minimizing the distortion of reflectors and mispositioned reflection en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