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와 가능성

Search Result 4,77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LPG수입선다변화 가능성 조사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no.9 s.55
    • /
    • pp.95-104
    • /
    • 1985
  • 일본 통산성 자원에너지청은 최근 1984년도 석유유통합리화조사 등의 일환으로 행해져 온 「석유가스개발가능성 조사보고서 」를 발표하였다. LP가스수입선 다변화에 도움을 주기 위해 행해진 동조사는 1982년도인 제 1회째가 동남아시아, 1983년도가 중남미, 제3회째인 1984년도는 북미 ㆍ캐나다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일본의 LP가스 수입정책은 중동지역에 83%를 의존하고 있는데다 그 중 과반수가 사우디아라비아 한 나라에 편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여 수입선다변화를 도모하는 것이 안전수입의 기초라고 하는 인식이 관민에 일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활에서 통산성으로부터 조사위탁을 받은 일본 LP가스협외는 「석유가스개발가능성위원회」를 설치하고 작년 11월 23일 ~12월 9일 사이에 미국 및 키나다를 대상으로 양국의 LP가스의 생산동향, 수출가능성 및 경제성, 개발지점의 입지조건, 하부시설의 정비상황, 에너지사정 등에 관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이번 보고서를 작성한 것이다. 보고서는 제1장 조사개요, 제2장 조사결과의 개요, 제3장 미국, 제4장 캐나다, 제5장 금후의 LP가스공급증가의 가능성, 「참고자료 」등의 내용으로 되어 있지만 본고는 그중 제2장 조사결과의 개요를 소개한 것이다. <편집자>

  • PDF

소 해면형 뇌증(일명 광우병) -해외발생 역학정보 및 위험도 분석-

  • 강영배;김용주;조동희;배상호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2 no.4
    • /
    • pp.220-233
    • /
    • 1996
  • 소 해면형 뇌증(Bovine Spongiform Encephalpathy; BSE)은 일명 광우병(mad cow disease)이라고도 불리우는 새로운 해외 가축전염병이며, 세계적인 희귀질병으로 아직까지 확실한 병인체가 밝혀져 있지도 않으며, 그렇기 때문에 면역 혈청학적 진단방법도 확립되어 있지 못할 뿐만아니라 예방백신의 개발 또한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단 감염되어 발병되면 치료대책 없이 100$\%$ 폐사되는 세기의 불치병이다. 본 편에서는 소 해면형 뇌증(BSE)과 관련, 국제수역사무국(OIE) 총회에 보고된 영국정부의 공식보고 자료(Dept of Health, MAFF, 1989) 및 최근의 보고자료(1994, 1995)를 기본으로 하고, 각 회원국의 보고자료(Animal Health Status in Member Countries)와 전산화 역학정보 자료(Handistatus) 등을 근거로 하여, 소 해면형 뇌증이 세계적으로 처음 보고된 1986년 이래 최근 (1996년 3월)까지의 해외발생 역학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아울러 최근 전염병 및 해충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새롭게 정립되어 가고 있는 위험도 분석(risk analysis)의 개념을 도입하여,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수입 쇠고기의 안전성 문제와 국내에서의 소 해면형 뇌증의 발생 가능성 등에 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소 해면형 뇌증은 현재 영국(그레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등)에서 가장 크게 문제시 되고 있으며, 유럽 일부국가, 영국으로부터 소를 수입한 극소수의 국가에서 문제가 되었을 뿐, 영국 등 발생국가로부터 소와 쇠고기를 수입하고 있지 않는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수입 쇠고기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으며, 소 해면형 뇌증이나 양 스크래피의 국내 발생 가능성도 현재로서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극히 희박한 것으로 평가된다.

  • PDF

Correlation of Reading Quantities in Developmental Period and Reading Material Type-Centered on Jeonju Girls' High School Freshmen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한 성장시기별, 자료유형별 독서량 간의 상관관계 연구)

  • Lee, Seung-Cha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9 no.4
    • /
    • pp.445-460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reading quantities in various media(magazines, books, comic books) and different developmental phases of women high school students. I surveyed reading quantities in developmental periods, by questionnaires. As a methodology of empirical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198 students at the Jeonju Girls' High School. Statistical techniques of a Pearson Correlation Test were employed according to my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1) Reading quantities of specific media of specific period is correlated with reading quantities of same media of other period 2) Reading quantities of books is correlated with reading quantities of comic books.

  • PDF

Collapsibility Using Raindrop Plot (RAINDROP PLOT을 이용한 차원축소)

  • Hong C. S.;Kim B. J.;Park J. Y.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8 no.2
    • /
    • pp.471-485
    • /
    • 2005
  • For categorical data analysis, the collapsibility were explained with the odds ratio (cross-product ratio). When these theories with these odds ratios are applied to real $2{\times}2{\times}K$ contingency tables, it is impossible to decide whether data are collapsible. Among graphical methods to represent odds ratios, Contour plot which is developed by Doi, Nakamura and Yamamoto (2001) could explain the structure of these data, but cannot decide on the collapsibility. In this paper, by using the Raindrop plot proposed by Barrowman and Myers (2003), we suggest an alternative method which can not only explain the structure of data, but also decide on the collapsibility.

노출평가를 위한 TLV 근거 - 2-BUTOXYETHANOL(8)

  • Kim, Chi-Nyeon
    • 월간산업보건
    • /
    • s.379
    • /
    • pp.9-16
    • /
    • 2019
  • 2-부톡시에탄올(2-butoxyethanol)에 대한 생물학적 노출지수 설정에 필요한 자료는 상당수 존재한다. 다양한 실험실 및 직업적 현장연구는 2-butoxyethanol에 노출된 후 소변에서 butoxyacetic acid의 배설을 조사하여 생물학적 노출지수를 구축할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였다. 실험실 연구는 작업시간 동안보다는 짧은 시간을 노출시킨다. 휴식 중에 실시한 실험 자료들을 20ppm에 8시간 노출로 외삽하면 작업시작 종료 시점의 소변 중 butoxyacetic acid의 농도가 각각 192, 272, 190 mg/g creatinine이었다. 작업부하 30 watts와 50 watts의 연구 결과를 외삽하면 각각 304 butoxyacetic acid/g creatinine과 313 butoxyacetic acid/g creatinine이었다. 작업현장 연구는 소변을 가수분해시킨 후 총 butoxyacetic acid의 검출 범위가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외삽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1ppm 미만의 노출에서 나온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피부 흡수의 가능성과 2-butoxyethanol의 상대적으로 낮은 휘발성을 감안할 때 현장 연구에서는 피부 경로가 흡입 연구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조사는 휴식을 취한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흡입 연구와 비교하면 소변 중 butoxyacetic acid 농도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활용 가능한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휴식 시 2-butoxyethanol의 TLV-TWA 20ppm에 8시간 전신(흡입과 피부) 노출되는 경우 가수분해된 총 butoxyacetic acid가 210 mg/g creatinine이 예상되고 작업부하 50 watts에서는 373 mg/g creatinine이 예측된다. 50 watts의 작업량으로 20ppm에서 8시간 노출되는 경우 생물학적 노출지수(BEI)는 약 400 mg/g creatinine일 것이다. 그러나 생물학적 노출지수는 외삽에 대한 불확실성, 심각한 피부 노출 및 작업장 노출평가 자료의 부족을 반영하여 200 mg butoxyacetic acid/g creatinine으로 설정하였다. 인용한 자료들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원 봉사자 연구와 시뮬레이션 연구의 자료들이 일치성이 있었다. 연구에 따르면 butoxyacetic acid는 측정 가능한 양으로 존재하며 작업 교대 중에 검출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의 반감기를 가지고 있다. Sakai 등의 연구 자료와 일부 모델링 자료에서 노출농도가 높은 경우 주중에 약간의 축적 가능성을 보고하였지만 작업장에서 일반적으로 노출되는 농도 범위에서는 누적이 예상되지 않으며 작업 종료 후에 소변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다수의 연구에서 소변 중 butoxyacetic acid 농도 수준의 개인 간 다양성을 보고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작업현장 연구에서는 2-butoxyethanol의 주변 환경 농도수준과 소변 중 butoxyacetic acid 수준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상호 연관성이 결여된 원인은 대부분 피부 노출의 영향으로 추정하였다. 개인 보호 장갑을 착용한 근로자들에게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 PDF

Validation of Energy and Water Fluxes Using Korea Land Data Assimilation and Flux Tower Measurement: Haenam KoFlux Site's Hydro-Environment Analysis (Flux Tower 관측자료와 KLDAS를 이용한 Soil-Vegetation-Atmosphere Transfer 모형의 적용:해남 KoFlux 지점의 수문순환 환경분석에 대하여)

  • Kim, Daeun;Lim, Yoon Jin;Lee, Seung Oh;Choi, Minha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3B
    • /
    • pp.285-291
    • /
    • 2011
  • Accurate assessment of the water and energy cycles is essential to understand hydrologic, climatologic, and ecological processes. Common Land Model (CLM) is one of the well-developed Soil-Vegetation-Atmosphere Transfer (SVAT) models based on the water and energy balance equation for accurate prediction of hydro-environmental cycles. The CLM can estimate realistic and reliable results using relatively simple parameters. I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world, however in Korea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CLM are rare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input data. In this study, the CLM with Korea Flux network (KoFlux) and Kore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KLDAS) data were individually validated for domestic applications. This study showed that all comparisons between observations and model results from KoFlux and KLDAS had reasonable correlation with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0.73~1.00 via regression. The results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e CLM and the possibility of the KLDAS usage for the region where input data are not existed.

Construction of Guide and Management System for University Facility Using Multi-Imagery an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다중영상과 GIS를 이용한 대학시설물 안내 및 관리시스템 구축)

  • 손덕재;이혜진;이승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0 no.1
    • /
    • pp.47-57
    • /
    • 2002
  •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spatial database and to extract attribute data which are able to complete the omitted data in the topographical map or completion map of construction using the image data of various form such as artificial satellite images, aerial photographs, terrestrial photographs and so on. This study used the single frame images only for the raw image data, supposing the case of rigorous photogrammetric method is not available or rapid acquisition of information is need. The extracted spatial and attribute data from the images are used for modifying and updating the database, and for providing visual effect useful for guide and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the technique able to apply in the case where comparative high accuracy is not required or rapid modification is necessary, an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editing and updating the digital map using the photographs or video images remained as old data. Many of previous research on the management system for university facility has been accomplished focusing o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database itself. Otherwise, this study aimed for the construction of guide and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mpiling the digital map of present state using multi-imagery, and the more applicability was intended too.

Predictation of Precipitation using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활용한 우리나라 강수의 예측)

  • Choi, Wonyoung;Shin, Hongjoon;Kim, Taereem;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7-147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그로 인한 피해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가 강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강수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장기적인 변동에 대한 예측이 매우 중요하다. 그 중,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현상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강수 현상이 주변 기후 요소의 분포에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 하에 기상인자를 통하여 강수를 예측하는 방법이 있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 기상인자들과 강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는 기상인자를 통해 우리나라 강수량을 예측하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강수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서 강수 원 자료 와 기상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할 경우 원 자료가 가지는 큰 변동성으로 인해 정확한 상관관계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강수자료를 분해하여 분해된 요소별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다양한 자료 분해 방법중 경험적 모드분해법(Empirical Mode Decomposition, EMD)을 사용할 경우 자료의 분해에 있어서 주기성, 경향성에 따라 분해가 가능하며, 비정상성을 가지고 있는 시계열에 대해 효과적으로 분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30년 이상의 자료기간을 가지는 지점의 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이용하여 강수자료를 분해하고, 이를 다양한 기상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강수량 변동과 연관이 있는 기상인자들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기상인지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기상인자를 독립변수로 하는 강수 예측식을 구축하여 우리나라 강수의 예측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Numerical Interpolation on the Simulation of Air Flow Field and the Effect of Data Quality Control in Complex Terrain (객관 분석에 의한 복잡지형의 대기유동장 수치모의와 모델에 의한 자료질 조절효과)

  • Lee Hwa woon;Choi Hyun-Jung;Lee Kang-Yoe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21 no.1
    • /
    • pp.97-105
    • /
    • 2005
  • In order to reduce the uncertainties and improve the air flow field, objective analysis using asynoptic observational data is chosen as a method that enhances the reality of meteorology. In surficial data and their numerical interpolation for improving the interpretation of meteorological components, objective analysis scheme should perform a smooth interpolation, detect and remove the bad data and carry out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For objective analysis technique which related to data reliability and error suppression, we carried out two quality control methods. In site quality control, asynoptic observational data at urban area revealed low representation by the complex terrain and buildings. In case of wind field, it was more effective than temperature field when it were interpolated near waterbody data. Many roads, buildings, subways, vehicles are bring about artificial heat which left out of consideration on the simulation of air flow field. Therefore, in temperature field, objective analysis for more effective result was obtained when surficial data were interpolated as many as possible using value quality control rather than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sit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eographic Education Website Based on the Google Earth (구글어스 기반의 지리교육 사이트 설계 및 구현)

  • Lee, Sun-Ju;Kang, Young-O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8 no.2
    • /
    • pp.13-2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geographic education by implementing the map-based geographic education site which mashed up with Google earth by referring the various materials of geographic education which exist in on-line and off-line. In recent years map-based geographic education is required by the radical change of geoweb environments, but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in this field. This research is folded up as follows: First, we designed the contents through the textbook analysis and then collect various data related to the contents such as pictures, video clips, conceptual map, etc. which are required to explain the concept. Second, we mashed up the collected data on the Google earth by using the Google's open API. Third, we implemented the geographic education websit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ntents in textbook and the various collected data. This research is important in both that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he map-based education rather than the text-based education in the geographic field which handles mainly the space and finds the best method to express the various concepts of the textbook on the geoweb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