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료선정

검색결과 6,410건 처리시간 0.032초

변전소 고장진단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 (An Expert System for Fault Diagnosis in a Substation)

  • 박영문;최면송;김광원;현승호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10권1호
    • /
    • pp.46-55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변전소의 변전설비에 대한 고장진단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전문가 시스템에서는 변전소의 구조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새로운 자료 구조를 제안하였다. 먼저 설비 연결자료로, 이는 변전소의 수전단에서 배전단으로 이어지는 계층적 구조를 이용하여 소내 설비들의 전기적 연결상태 인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각 보호 계전기의 보호 영역 자료를 제안하였는데, 이것은 전문가 시스템 가동시에 자동으로 구성되면, 보호계전기의 주보호 설비 뿐만 아니라 후비보호와 2차 후비보호 등의 설비들을 탐색하여 자료구조에 포함함으로써 추론의 효율을 높였다. 본 전문가 시스템에서는 2단계 추론을 수행하는데, 1단계에서는 설비 연결자료와 보호 영역 자료를 이용하여 고장 후보들을 선정하고 2단계에서는 보호기기 동작간의 인과관계를 이용하여 고장 위치를 파악하고 동작한 보호기기들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전문가 시스템은 실제 154[kV]급 변전소 모형에 적용하여 도출된 결과의 타당성과 수행시간의 실효성을 보였다.

  • PDF

인공위성영상 기반의 수문기상변수를 활용한 수문학적 가뭄지수 개발 및 평가 (Assessment of Remote Sensing-based Hydrological Drought Indices)

  • 서찬양;박서연;김태웅;이주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2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수문학적 가뭄을 분석하기 위해 두가지 지수를 개발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첫번째는, 물수지식을 기반으로 산정된 Water Budget-based Drought Index(WBDI)로 강우와 증발산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두 번째는 에너지 수지식을 기반으로 산정된 Energy-based Water Deficit Index(EWDI)로 에너지 수지 기반의 증발산, 태양복사에너지와 토양수분 등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두가지 지수 모두 인공위성 영상 자료를 활용하였다. WBDI 산정을 위한 강수량 자료는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TRMM)과 Global Precipitation Mission(GPM)를 활용하였으며, 증발산 자료는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자료를 활용하였다. EWDI 산정에 필요한 입력자료는 모두 MODIS 자료를 활용하였다. 산정된 두 가뭄지수의 수문학적 가뭄 분석을 위해 자연유출지점인 6개 지점을 선정하여 유출량 자료와 비교하였다. 유출량 자료를 활용하여 Error matrix 기법을 적용하여 두 수문학적 가뭄지수의 우리나라에서의 적용성을 파악하였다.

  • PDF

Quantile-regression-based 지역빈도해석 기법 (Quantile Regression-based regional frequency analysis techniques)

  • 강수빈;오랑치맥 솜야;문장원;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4-404
    • /
    • 2022
  •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 빈도해석을 통한 수문 자료의 통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정확한 확률강수량을 산정해야 한다. 지점빈도해석은 지점 자료만을 이용하여 확률강수량을 산정하기 때문에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료 확충이 필요하지만, 지점별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제한적이며 지점마다 변동성이 크다. 지역빈도해석은 수문기상학적으로 동질한 주변 지점들의 자료를 모두 포함해서 빈도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통합 결과를 제시하고 자료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빈도해석은 자료에 적합한 확률분포 기반으로 수행되지만 확률분포 선정과정에 따라 결과는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빈도해석에서 확률강수량 산정방법으로 Quantile Regression(QR)을 적용하였다. QR 기반의 빈도해석은 확률분포 아니라 자료 자체로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여 기존의 확률분포 기반의 빈도해석에서 발생했던 불확실성을 개선하였다. 또는, 확률강수량의 시간에 따른 변동성도 고려되어 바정상성 빈도해석도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소개된 지역빈도해석 결과와 기존의 지역빈도해석 결과 비교 검증하였다.

  • PDF

생체 신호처리에 의한 인간 감성 파라미터 추출 - 피검자 영상제시물 직접 선정기법에 의하여 (Human Sensibility Parameter Estimation by Biological Signal Processing - with the Examiner Direct-Selecting Image Presentation)

  • 황재호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
    • /
    • 2001
  • 시각제시에 의한 감성반응 생체신호 추출 실험시 시각 제시물 선정에 주관적 방식을 사용하였다. 시각제시 영상물로는 감성반응도가 가장 큰 인물얼굴 영상자료를 선정하였다. 피검자군 스스로 자신이 극도로 선호하고 혐오하는 양극단의 얼굴영상물을 선호도 특성조사를 통해 선택케 하였다. 외부와의 영상잡음이 차폐된 모니터 제시 장치를 구성하여 선호와 혐오의 양극단 영상물을 교차 제시하며 설문조사와 뇌파를 측정하였다. 피검자로는 남녀 대학생 20명을 선발하였으며 영상매체 선정을 비롯한 뇌파측정에 과정에 참여시켰다. 뇌파신호 분석 방법으로는 대역별 적분값, 반응구간 변화 미분값을 파라미터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교차제시에 따른 반응민감도가 향상되었으며 동일 시각 반복제시에 따라 민감도가 둔화됨을 밝혔다.

  • PDF

인터넷에서 서버 선정과 ISP의 관계 (Relationship of server selection and ISP on the Internet)

  • 김동주;이만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3)
    • /
    • pp.528-530
    • /
    • 1999
  • 컴퓨터 보급의 확산과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클라이언트가 문서나 데이터 파일 등 각종 자료의 공유를 제공하는 서버를 가장 짧은 시간에 최상의 조건하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있게 되었다. 적절한 서버 선택의 기준이나 과정으로 정적인 방법과 동적인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동적인 방법은 정적인 방법보다 더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적인 방법은 선택할 서버가 많이 존재하는 경우, 서버 선정으로 인한 소요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서버 선정에 필요한 대상자 수를 줄이는 방법으로서 ISP별, 지역별로 서버들에 대한 응답시간, 패킷의 손실율, hop 수의 상호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리학적인 거리보다는 사용자 호스트가 속한 ISP에 속하는 서버들을 대상으로 동적인 서버 선정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최적경로 산출을 위한 경과지역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of the Suitable Sites to Calculate the Optimized Path)

  • 김우선;손홍규;허준;이정빈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501-502
    • /
    • 2008
  • 특정 지역에 대한 공간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설물을 설치한다거나 경과지역 내에서의 공간 분석이 필요할 경우, 법적 제한 요건 및 지형적 특성에 따라 공간 분석 패턴들을 다양하게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올바른 분석 기법의 선정이나 정확한 자료들의 수집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 지역 내에서의 경과지 선정 기준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저항치와 경중률을 계산하여 각각의 지형적 요소에 적용시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분석 시에는 Corridor와 같은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 내의 송전 철탑 설치를 위한 최적 경과지와 최적 경로를 선정하였다.

  • PDF

의류 생산설계 업무의 디지털화에 과한 연구 - 여성 자켓 디자인 및 패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A study on the digitalization of apparel design process)

  • 송지영;천종숙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163
    • /
    • 2001
  • 본 논문의 국내 패션 업체에서 상품기획 과정 중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했던 디자인 및 패턴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key word를 통해 효율적으로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여성 자켓 분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의류업체 종사자 48명과 의류학 전공 대학원생 54명, 패턴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디자인 및 패턴의 분류 기준과 의류 생산기획 업무의 디지털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의류업체에서는 상품기획시 국외패션잡지와 collection지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디자인 및 패턴 DB 프로그램에 대한 효용성 기대와 수용도 기대에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자켓 디자인 DB를 위한 구성요소 분류 기준은 7가지고 선정되었고, 이미지 형용사 분류 기준은 6가지로 선정되었다. 또한 자켓 제작을 위한 block pattern 분류 기준은 4가지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자켓 디자인 선택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한 후 실험 참가자들에게 효용성 및 사용가능성을 다시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 제시 전 조사결과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데이터베이스 자료 활용시 이미지 형용사를 통한 검색보다는 구성요소를 통한 검색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생태 위해성 예측 모형의 개발과 응용에 관한 연구

  • 이용주;변지연;권정환;이호주;김균;김용화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4-164
    • /
    • 2003
  • 전국 주요 산단 지역에서 현재 유통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스크리닝 수준에서의 생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고, 체계적인 위해도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수생 및 육상 생태계가 통합된 생태 위해성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전국 118개 공단 중 시화반월, 전주, 대전, 대구, 청주, 울산, 구미, 여천공단 등 8개 주요 산단 지역을 program 개발을 위한 비교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이들 공단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 1700여종의 화학물질의 물리 화학적 특성 자료와 생태 독성값의 문헌치, 추정치를 포함한 database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database를 활용하여 산단별, 화학물질별 생태 위해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한 결과 어류 만성의 위해도는 청주 공단>울산미포>여천 공단의 순이었고, 물벼룩 만성의 위해도는 시화반월>여천>울산미포 공단의 순이었다. 또한 산단별로 위해도 우선순위 물질을 선정하였으며 styrene, xylene 등의 위해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때 화학 물질의 수계 배출량은 TRI 자료와 사용량과의 상관관계로부터 구한 배출 계수를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선정된 위해도 우선 순위 물질을 대상으로 실제 공단의 하천 시료를 채취, 분석하여 이 모형에 의해 예측된 생태 위해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보완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예측 program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다.

  • PDF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적용한 농장의 적지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Suitable Site for Farmastead using GIS)

  • 이신호;오무영;최진용;김한중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3-181
    • /
    • 1995
  • 전형적인 도시근교 농촌지역으로서 충청북도 청원군 지역에 대하여 농장적지 선정을 위하여 지형공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논밭적지와 개발제한구역, 거주지 적합 등급이 높은 지역을 제외하고 농장적지 등급을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수지고도자료(DEM)와 정밀토양도, 행정경계도, 수계도, 개발제한구역 등을 수치자료화 하였고, 점수표를 작성하여 등급기준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형공간정보체계(CGIS)가 주변 환경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고 과학적인 적지선정을 통하여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농장적지 선정에 좋은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 PDF

자연하안 조성 공법 설계를 위한 유황 분석 (Flow regime analysis for streambank treatment design)

  • 김남원;정일문;김지태;이정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65-136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자연하안 조성을 위한 공법 설계시 공법의 적용 위치, 규모, 제원 등을 선정하기 위한 수문학적 정보 및 하천의 수문학적 특성에 적합한 식생을 선정하기 위한 수심, 침수기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장기 유출모형인 SWAT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자연하안 조성 공법 중 하나인 방틀이 시험 적용된 평창강을 대상으로 수문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유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창강의 상안미 수위관측소 상류부에 위치한 방틀 시험지점의 유황을 분석하기 위해 상안미 수위관측소 상류유역을 대상유역으로 하여 상안미 수위관측소의 관측유량과 비교를 통해 신뢰성 있는 검보정을 마친 모형을 이용, 1989년부터 2008년까지 20년간의 유출분석을 실시하였다. 모의된 20년간의 일유출자료를 토대로 방틀 시공 단면의 유황곡선을 도시하여 유량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유량을 수심으로 환산하여 대상 단면의 침수기간별 수심분포를 산정하였다. 또한 대상 단면의 하안을 침수기간별로 구분하여 하안의 높이에 따라 적정한 식생의 종류를 선정할 수 있는 자료를 생성하였다. 이와 같은 정보의 제공은 공법 설계에 필수적으로서 본 해석기술의 주요한 성과 및 활용성이라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