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 이미지 추구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자기 이미지에 따른 착용의복이미지, 의복추구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

  • 염인경;김미숙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85-86
    • /
    • 2003
  • 의복은 비언어적 상징으로서 의사를 전달하는 무언의 언어로 이용되어 사람들은 의복을 통해 자기를 나타내며 동시에 다른 사람을 지각하고 평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역할은 현대사회에 와서 더욱 강조되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이미지라는 감정적ㆍ주관적인 요소로써 의류상품을 평가,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자기 이미지에 따른 실제 착용하는 의복이미지, 추구하는 의복이미지와 의복구매행동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의류산업체에서 의류상품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Actual Images and Pursued Images and Purchase Behaviors for Clothing as Determined by Self-Image (자기 이미지에 따른 착용의복이미지, 추구의복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

  • 염인경;김미숙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2 no.1
    • /
    • pp.90-103
    • /
    • 200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mages pursued and purchase behaviors for clothing as determined by self-imag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March 3 to March 11, 2003 from 600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514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tics, cluster analysis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elf image was defined six factors: social image, gay image, intellectual image, girlish image, iron nerves image, image like a man and was classified three group avail of six factor: commonness type, social brilliance type, immature boldness typ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ages of actual clothing worn by self and in the clothing image pursued among the groups determined by the self imag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clothing purchase behaviors such as monthly clothing expenditure, shopping frequency, store types, and the clothing items often used for expressing self-image among the groups divided by self-image.

  • PDF

A study on the Self-Image and Clothing Preference Image of Male Adolescents (남자 중.고등학생의 자기이미지와 의복추구이미지에 대한 연구)

  • 문미아;박혜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4 no.5
    • /
    • pp.748-759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classify wearing situation of male adolescents and 2) to classify self-image and CPI(Clothing Preference Image) of male adolescents and 3) to segment consumer group by self-image and to find the differences in self-image and CPI by situation among groups. For the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male adolescents who were residents in Seoul and Taejeon. The statistic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factor analysis, multiple dimensional scale, mean, percentage, peason-correlation,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test by the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elf-image of male adolecents is categorized by seven factors; sophisticate and fashion conscious, active, practical and realistic, flank and pure, young-looking, feminine, and slender. Based on seven factors, the consumer group is categorized to five groups; practical and realistic Group1, young-looking and feminine Group2, characterless Group3, active Group4, sophisticate and flank Group5. 2) Wearing situation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 downtown, in urban, at festival. In downtown, CPI are divided into six elements; ornamental, simplex, sexy, feminine, neat, young, and sophisticate. In urban, CPI are divided into five elements; ornamental, simple, sexy, feminine, young-looking, and sophisticate. At festival, CPI are divided into four elements; unique, simple, feminine, and formal. To conclude, the male adolescent consumers are categorized by self-image, and the different CPIs are sought by different wearing situations.

  • PDF

Effect of Self-image Pursuit by Female Consumers on Clothing Purchase Value and Fashion Images (여성 소비자의 자기 이미지 추구가 의류 소비 가치 및 패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Yoon, DoohAh;Lee, Se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9 no.4
    • /
    • pp.492-504
    • /
    • 2015
  •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self-image pursuits by female consumers for clothing purchase values and fashion images as well as the role of age regulations as a measurement invariance. We surveyed 717 women aged 20-60 residing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The survey showed that pursuit affects clothing purchase values, which subsequently affect fashion images. However, expressive value was not shown to affect urban style fashion images for clothing purchase values. Age (one of main parameters for market segmentation) was also shown not regulate the effect of self-image pursuits on clothing purchase values and fashion im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 fashion image-based marketing to help predict consumer's purchase behavior and suggest practical advice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by applying marketing based on differentiated fashion images to fashion marketing programs.

The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Benefits Sought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3
    • /
    • pp.293-30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미국 여대생으로 177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은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의복추구혜택은 패션 이미지, 체형결점보완, 여성스러움의 표현, 자기향상, 개성표현등의 5분야에 걸쳐 측정되었다. 결과로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은 각각의 모든 의복추구혜택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반면 신체만족도의 경우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만족이 특정 의복추구혜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 부분의 신체에 만족하면 할수록 또한 이상적인 신체상이 중요하면 할수록 의복혜택을 통해 신체만족을 유지 또는 고양시키려는 소비자의 심리로 설명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Clothing Consumption Value: A Qualitative Approach (의복 소비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 Kim, Sun-hee;Lim, Sook-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21-1632
    • /
    • 2001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적인 의복 소비 행동을 설명할수 있는 가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하여 의복 소비가치의 구체적 유형을 밝히고, 적합하고 신뢰성 있는 의복 소비가치 척도를 구성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eth(1991)의 소비 가치 이론과 의류학 및 소비자 행동분야의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소비가치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의복의 구매와 착용의 선택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는 Sheth(1991)의 5가지 소비가치 유형인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 및 의복제품의 특성에 따른 자기표현적 가치로 분류되었다. 기능적 가치는 물리적 속성, 물리적 기능, 도구적 성과와 관련되었으며, 사회적 가치는 사회계층, 준거집단, 인구통계 적 특성 집단, 문화-민족적 집단과의 관련성 에 대 한 가치로 구성되었다. 감정적 가치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 및 심미성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진취적 가치는 다양성추구행동 요인 및 유행성의. 새로움 추구 요인과 관련되었다 또한 상황적 가치는 의복착용상황, 구매상황, 커뮤니케이션 상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표현적 가치는 성격, 이미지 표현, 개성추구, 유행추구 등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가치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 문항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Influence of Self-Image and Pursued-Image of Clothes on the Clothing Purchase Decision Making According to the Residence (거주지 별 자기이미지와 의복 추구이미지가 의복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Lim, Kyung-Bock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6 no.6
    • /
    • pp.49-5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consumers' self-image and pursued-image of clothes on the clothing purchase decision making according to the location. Data were obtained from a questionnaire filled out by 575 women living in Seoul and Jechon. For data comparative analysis, paired t-test,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image and pursued-image in terms of clothing purchases between women who live in Seoul and Jechon residents. 2. Demographic variables influenced to the self-image and pursued-image of clothes factor. Among them, size of the c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influence to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3. Self-image, pursued-image of clothes, problem recognition and evaluative criteria factors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Seoul and Jechon residents. In two cities, problem recognition factor which was arisen by external stimulus and all of the evaluative criteria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4. When the cities were partitioned by size(large and small city), the influence of self-image and pursued-image of clothes on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showed different phases. Generally, self image and pursued-image of clothes were more important to various problem recognition and evaluative criteria factors in large city(i.e. Seoul) than in small city(i.e. Jechon). However economic rational factor was the exception.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 1990년대 여성복을 중심으로 -

  • 이화정;채금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1-41
    • /
    • 2001
  • 본 연구는 1990년대 밀리터리 패션에서 성적 이미 지의 표현양상을 살펴보고 각각의 미적 특성과 형성 요인을 분석하여 현대 여성의 다양한 미적 가치와 미의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1,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등장한 밀 리터리 패션은 20세기 초반에 여성의 사회참여와 지 위 향상으로 인해 실용성과 기능성을 추구하였고 중 반에 들어서면서 히피와 젊은 세대들에 의해 반전운 동의 일환으로 입혀져 안티패션의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으며 후반에는 포스트모더 니즘으로 인해 다양성 을 추구하는 복고풍의 패션 트랜드로서 각종 컬혜션 에서 부각되었다. 그 결과 밀리터리 패션은 기존의 남성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여성적 이미지도 표현하 게 되었다. 이러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 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의 남성적 이 미지와 보수적 이미지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 지의 여성적 이미지로 표현되어 나타났다. 남성적 이미지는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남성 중심적 사고 방식에 도전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자아의식이 한층 강하게 작용한 일종의 반 패션 현 상으로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로 특정지을 수 있다. 첫째, 권위적 이미지는 주로 고전적 군복과 제복의 이미지를 차용해 군복이 가지는 권위와 위엄을 표출 하였으며 남성 우월주의에 기초한 영웅주의를 가시 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떳떳하게 자신의 위치를 세 우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를 대변하였으며 영웅주 의와 가부장제도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공격적 이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에 대한 저 항과 기존의 성 정체성에 대한 저항으로써 전위적인 형태와 해체적인 표현으로 본래의 위엄있는 군복의 이미지를 무너뜨려 남성다웅의 표면적인 메시지를 약화시키고자 하였으며 반체제 정신, 성 정체성에 대 한 저항, 해체주의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적 이미지는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여성 본래의 성을 부각시키고 여성이 주체가 된 여 성중심적 사고로 여성의 감성적 심리를 패션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보수적 이미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지로 특징 지을 수 있다. 첫째, 보수적 이미지는 남성적 영역이라고 믿어왔 던 군복에 여성성을 강조하여 가늘고 유연한 실루엣 과 곡선적인 라인, 색채. 심플한 디테일만으로 밀리 터리 패션을 표현하여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여성도 사회의 중심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 였으며 남성 권위의 추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둘째, 과시적 이미지는 전통적 군복이 과거의 상 류층 엘리트들만의 아이템이었듯이 현대의 여성들은 신분과 매력의 과시를 표현하고자 금속 단추나 벨트 등 기타장식을 부각시킨 밀리터리 패션을 착용하였 으며 엘리트층에 대한 동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관능적 이미지는 신체의 간접적인 노출과 직접적인 노출을 통해 여성의 신체에 의한 에로틱한 관능미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나르시시즘과 보이고 자 하는 욕구, 성적 유희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패션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고 미적으로 자기완성의 방편을 삼으려고 한 현대 여성들의 가치 관과 미의식을 이해하며 이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패 션 트랜드와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nalysis of the Emotional experience design types of iPhone users - Focused on Q-methodology - (아이폰 사용자의 감성경험디자인 유형 분석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 Lee, Youngju;Lee, Hoeun
    •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 /
    • v.38
    • /
    • pp.312-320
    • /
    • 2012
  • IPhone users who prefer to study the sensitivity of the subjective aspects of experience design elements, aiming to clarify and subjectivity, Q methodology for the study were able to detect four types through. The first type of usability on the iPhone to pursue the type of individuals who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sayongjeok behavior based on the use of features, ease of understanding, the physical sense, usability is important to all who were able to see that consist of: The second types of aesthetics to pursue the type of visual information of the product by the intuitive and subjective aesthetic impression was important to distinguish your type. The third types of discrimination to pursue the type of emotional self-image or self-owned products, to convey a message to anyone seriously here, and the fourth type is the type of active and absolute preference for the iPhone that has been identified as the type of .

Self-expressive Roles of Family Restaurant Brands: Brand Personality-Self Image Congruence, Brand Identification, and Loyalty (패밀리레스토랑 브랜드의 자기 표현적 역할: 브랜드개성-자아이미지 일치성과 브랜드동일시, 및 충성도를 중심으로)

  • Jung, Hyo-Sun;Lee, In-Sook;Yoon, Hye-Hyun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8 no.1
    • /
    • pp.120-14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congruence of brand personality of family restaurants with the self image of customers, brand identification, and loyalty.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ngruence of brand personality of family restaurants with the self image of customers and brand identification. However, the congruence of brand personality of family restaurants with the self image of customers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brand loyalty, and congruence of self image with a pertinent brand is perceived through brand identific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brand identification of family restaurants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