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공명영상(MRI)

검색결과 1,156건 처리시간 0.038초

반원상 연골판 손상에서의 관절선 압통의 해석 (The Interpretation of Joint Line Tenderness in Meniscal Injury)

  • 이용석;정영복;최성우;황준성;김만경;이종석;서동현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1-164
    • /
    • 2006
  • 목적: 슬관절 손상의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가장 흔하게 수술의 원인이 되는 반월상 연골판 손상을 외래에서 쉽게 일차적으로 검사하는 관절선 압통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에서 2006년 6월까지 군병원에서 동일한 시술자에게서 반월상 연골판 손상이 의심되어 수술을 시행한 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관절선 압통(joint line tenderness)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 양성 예측율, 음성 예측율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관절선 압통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 양성 예측을, 음성 예측율은 순서대로 78.8%, 32.6%, 52.6%, 47.3%, 66.7%로 나타났으며 외측과 내측 및 불안정성을 동반한 환자를 대상으로 동일하게 분석하여도 상기 결과와 비슷하게 높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관절선 압통 단일 검사는 외래에서 손쉽게 행해지는 간편한 검사이나, 그 단독 검사로서는 유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여러가지 이학적 검사를 병행 시행하는 것이 좀 더 높은 진단율을 나타낼 것으로 보이고, 필요시에는 자기공명영상(MRI)이나 진단적 관절경 검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골다공증성 척추체 압박골절에 대한 경피적 척추성형술시 자기공명영상과 골 주사 검사의 의의 (The Value of Preoperative MRI and Bone Scan in Percutaneous Vertebroplasty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 김세혁;이완수;서의교;신용삼;장호열;전평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7호
    • /
    • pp.907-915
    • /
    • 2001
  • Objective : Percutaneous vertebroplasty is often complicated by the presence of multiple fractures or non-localizing pain in the patients with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value of preoperative radiologic studies in the localization of symptomatic vertebrae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which can influence on the clin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 data of 57 vertebrae in 30 patients underwent percutaneous vertebroplasty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Inclusion criteria was severe pain(McGill-Melzack score 3, 4 or 5) associated with the acute vertebral fractures and absence of spinal nerve root or cord compression sign. Acute symptomatic vertebral fracture was determined by the presence of signal change on MR images or increased uptake on whole body bone scan. Results : Pain improvement was obtained immediately in all patients and favorable result was sustained in 26 patients(86.7%) during the mean follow-up duration of 4.7 months(5 complete pain relief, 21 marked pain relief). Those who underwent vertebroplasty for all acute symptomatic vertebrae had significantly better clinical result than those who did not. Further vertebral collapse and eventual bursting fracture occurred in 1 vertebra which showed intradiskal leakage of bone cement and disruption of cortical endplate on postoperative CT scan. Conclusion : Preoperative MR imaging and whole body bone scan are very useful in determining the symptomatic vertebrae, especially in the patients with multiple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To obtain favorable clinical result, the careful radiologic evaluation as well as clinical assessment is required. Control of PMMA volume seems to be the most critical point for avoiding complications.

  • PDF

부산 하수처리장에서 공정별 용존 희토류 원소의 농도 및 인위적 기원 가돌리늄의 배출량 평가 (Assessments of Dissolved Rare Earth Elements and Anthropogenic Gadolinium Concentrations in Different Processes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Busan, Korea)

  • 임이진;류종식;이준엽;이준호;조형미;김태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03-311
    • /
    • 2022
  • 자기공명영상(MRI) 장비의 조영제로 흔히 사용되는 가돌리늄(Gd)은 매우 안정된 상태로 하수처리과정에서 거의 제거되지 않고 수환경으로 유입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공법으로 하수처리를 하는 부산 수영 하수처리장에서 채취한 하수 시료의 공정별 용존 희토류 원소의 제거율 및 수환경으로 배출되는 인위적 기원 Gd(Gdanth)의 배출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용존 희토류 원소는 공정별 처리 단계에 따라 무거운 희토류 원소(Tb-Lu)에 비해 가벼운 희토류 원소(La-Eu)에서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일부 시료에서 나타난 음의(negative) Sm anomaly (<1)는 생물학적 제거 과정에서 Sm이 입자나 인산염과 흡착되어 함께 제거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모든 시료에서 양의(positive) Gd anomaly (149±50, n=9)를 보였으며, 공정별로 측정된 Gd의 총 농도 중 Gdanth은 약 97%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수처리과정에서 Gdanth 이 거의 제거되지 않고 수영강 하류로 배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별 처리용량을 고려하여 각 공정에서 배출되는 Gdanth의 배출량은 259 mmol/day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수처리장을 통해 수영만 연안으로 Gdanth이 지속적으로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Gd의 중장기적인 관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침의 진통효과: 체성감각신경자극으로 유도된 진통작용에 대한 기능성자기공명영상장치를 이용한 연구 (Acupuncture Analgesia : A Sensory Stimulus Induced Analgesia Observed by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조장희;황선출;손영돈;강창기;;배선준;이언정;성강경;박태석;김영보;민훈기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57-71
    • /
    • 2004
  • Objective : Physiological evidence regarding acupuncture's effect in human patients is not yet well established, despite considerable evidence for its therapeutic efficacy. Besides target or disease specificity of acupuncture, acupuncture analgesia (AA) appears to be another large subclass that poses many questions, such as whether there is point specificity with respect to which acupoint is most effective for a particular condition. Methods : We observed brain activation with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using a set of stimuli that consist of pain, pain following Meridian acupuncture, and pain following Sham acupuncture. Results : Among the new observations, the most interesting fact is that data sets of both Meridian acupuncture and Sham acupuncture show decreased activation of the same brain areas related to the pain processing signals. Present functional MRI study demonstrate two important biological observations that could elucidate AA mechanism in human participants: the effects of acupuncture occur through mediation of the higher brain areas. Sham acupuncture stimulation appears to be almost as effective as traditional Meridian acupoint stimulation, suggesting that acupuncture is not entirely point specific. Decreased activation in the limbic paleo cortical areas appears to be the probable neurological manifestation of AA and strongly implies that acupuncture stimulation inhibits the transmission of ascending pain signals to the higher cortical areas by the previously known descending pain inhibitory circuit. Conclusion : We, therefore, a hypothesized that this pain inhibitory circuit is initiated and mediated via the broad sense Hypothalamus Pituitary Adrenal (BS HPA) axis in conjunction to the "sensory stimulation."

  • PDF

분류 지식의 생성과 이해 형태 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두뇌활성 변화 (Learning-Related Changes on the Brain Activation Patterns in Classification of Knowledge-Generation and -Understanding)

  • 권용주;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87-497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학습 방식(범주생성형 vs. 범주이해형)이 학생의 분류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두뇌 수준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24명의 건강한 오른손잡이 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생성 집단과 이해 집단의 두 집단으로 나뉘어 12주간의 서로 다른 학습프로그램을 체험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과제수행 과정에서의 두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학습프로그램 경험 전후에 fMRI 측정과 지필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분류범주생성 과제의 수행에서 생성집단은 교수-학습 경험 후 대뇌피질 영역과 기저핵 영역이 함께 증가되었으며, 선택-갈등과 관련된 전두피질 영역과 해마옆이랑의 활성감소가 나타났다. 반면 이해집단은 의미 있는 활성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분류범주이해 과제의 수행에서는 이해집단이 교수-학습 경험 후 대뇌피질 영역과 해마옆이랑의 활성증가가 있었으며, 우측 전두피질부와 소뇌의 활성감소가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특정 교수-학습 양식에 의해 학생이 경험하는 학습양식은 이와 관련된 학생의 특정 두뇌 시스템의 발달을 강화 혹은 약화 시킬 수 있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결과는 두뇌 맞춤형 과학적 분류 학습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apid Loc 기기를 이용한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with Rapid Loc Device)

  • 권덕주;이기병;정웅교;이병택;박상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0-185
    • /
    • 2005
  • 목적: 본 논문의 목적은 Rapid Loc 기기를 이용한 관절경적 연골판 봉합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44례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퇴행성 병변이 동반되지 않은 단순 종파열로 진단되어 관절내시경하에서 Rapid Loc 기기를 이용하여 연골판을 봉합한후 평균 6개월이상의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Orthopaedische Arbeitsgemeinschaft Knie (OAK) 평가 지표와 자기 공명 영상 촬영을 이용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관절연 압통, 관절내 부종, McMurray 검사에서 양성인 경우는 임상적 실패로 간주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33.4세 평균 추시기간은 15개월이었다. 임상결과는 우수 15례(34.1%), 좋음 20례 (45.5%), 양호 7례(15.9%), 불량 2례(4.5%) 였다. MRI상 Reicher 분류를 이용한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grade 1 15례(33.3%), grade II 21례(50%), grade III 7례(16.7%)였으며, 임상적 실패는 8례(18%)였다. 술후 합병증은 1례에서 발생되었다. 결론: Rapid Loc 기기는 연골판 봉합술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삽입물이 유연하여 연골 손상이 적고, 사용이 간편하고 파열 부위의 압박 정도를 조절 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는 기법이라 사료된다.

  • PDF

회전근 개 파열 봉합술 후 재파열 환자에서 임상결과와 원인 인자 (Clinical Outcome and Causative Factor in Patients of Structural Failure after Rotator Cuff Repair)

  • 전재명;송정석;손동욱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1호
    • /
    • pp.29-36
    • /
    • 2008
  • 목적: 회전근 개 파열의 개방적 봉합술 후 임상적 결과와 회전근 개 연속성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재파열 발생의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회전근 개 파열로 수술적 봉합술을 시행받은 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최소 1년 이상 추시하여 자기 공명 영상(MRI)을 촬영하고 재파열 유무를 확인하였다. 임상 결과는 재파열된 군과 유지된 군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재파열의 원인 분석을 위해 수술전 파열의 크기, 유병 기간 등을 양군에서 비교하였다. 결과: 회전근 개 재파열군(n=22)의 수술후 임상결과는 수술전에 비하여 의미있게 호전되었으나(p<0.001, p<0.001). 근력은 수술후 의미있게 호전되지 않았다(p=0.099, p=0.243). 수술전 파열의 크기가 컸던 환자에서 재파열이 많았으며(p<0.001), 재파열된 군은 수술전 유병기간이 길었다(p=0.027). 결론: 회전근 개 개방적 봉합술 후 재파열이 되더라도 임상 결과는 호전되나 극상근과 외회전근의 근력은 의미있게 호전되지 않았다. 수술전 파열의 크기가 크고 유병 기간이 긴 경우에 수술후 재파열의 빈도가 높았다.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에 대한 뇌영상 연구 (An fMRI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reativity and Emotional Susceptibility)

  • 조선희;이민주;최유용;김희백;이건호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03-5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고등학교 과학발명반집단(n=13)과 일반 고등학생집단(n=13)을 대상으로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을 제시하고 뇌활동성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외 창의력 경진대회 수상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과학발명반집단은 창의적 성격검사(WKOPAY, SAM) 점수가 상위 96%이내였으며 일반집단은 보통 수준이었다.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IAPS사진) 제시 시 뇌활동성을 분석한 결과 과학발명반집단은 일반집단에 비해 중간측두이랑(MTG)과 상측두이랑(STG) 영역 등에서 뇌활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창의적 성격검사점수와 뇌활동성 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MTG, STG 영역 등에서 유의적인 상관도(p<0.005)를 나타내었다. 특히 흥분의 측면보다는 기분(유쾌/불쾌)의 측면에서 유의적인 상관도를 보이는 영역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적 창의력이 높은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정서적 감수성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과학영재교육 대상자의 선발과 교육프로그램에서 정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의료영상 검사를 위한 상지 보조기구의 3D 프린터 제작 연구 (Study on 3D Printer Production of Auxiliary Device for Upper Limb for Medical Imaging Test)

  • 김형균;윤재호;최성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4호
    • /
    • pp.389-394
    • /
    • 2015
  • 의료영상 검사는 정보기술 및 의료장비의 발달로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를 묘사하는 능력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상지회전이 필요한 어깨관절 의료영상 검사에서는 인체구조의 복잡성으로 정확한 자세유지가 의료영상의 진단적 가치에 매우 중요하다. 자기공명검사의 경우 긴 검사시간과 고정된 자세가 필요해 검사자의 노력과 환자의 의지만으로 재현성 있는 검사가 불가능하다. 이에 상지회전과 정량적 각도가 가능한 보조기구를 개발하여 진단적 가치가있는 의료영상 검사를 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조기구를 제작하였으며, 공학용 프로그램인 CATIA 프로그램으로 3차원 모델링을 설계하여, 3D프린터로 최종 완성된 보조기구를 제작하였다. 사용된 3D 프린터는 Stratasys Objet350 Connex 모델이며, 재질은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였다. 완성된 보조기구의 크기는 $120{\times}150{\times}190mm$이며, 손잡이부의 내경은 125.9 mm 로 디자인되었다. 보조기구는 총 4개의 부품으로 바디부(외부), 손잡이부(내부), 고정단자, 연결부로 구성되었으며 바디부와 손잡이부는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2.1 mm의 유격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손잡이부에는 360o 눈금선을 표시하여 환자마다 관찰에 필요한 회전각도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추적검사나 양쪽검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회전근 개 파열 봉합술 후 재파열 환자에서 불량한 임상 결과의 원인 인자 (Risk Factor for Poor Clin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Retear after Repair of the Rotator Cuff)

  • 이희제;주일한;허정민;오현근;이봉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61-67
    • /
    • 2021
  •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재파열이 확인된 환자를 분석하여 불량한 임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인자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회전근 개 파열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 받은 631명의 환자 중 1년 이상 외래 추시를 하고 추시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검사상 재파열이 확인된 42예의 환자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수술 전후 운동 범위, 관절경하 건의 파열 정도 및 양상, MRI 검사상 파열 및 재파열의 크기, 파열의 진행 여부, 지방 변성 정도 등 환자의 기능적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측정하고 기능적 결과는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로 평가하였다. 불량한 임상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찾기 위해 ASES 점수가 80점 미만인 군을 불량한 임상 결과의 군으로 정의한 뒤 80점 이상인 군과 비교하여 불량한 임상 결과의 위험 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재파열이 확인된 군(n=42)의 수술 후 임상 결과는 수술 전에 비하여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 단변량 분석상 수술 전 visual analogue scale (VAS) 점수, 파열의 진행은 불량한 임상 결과와 연관이 있었고 동반된 견갑하건의 봉합은 양호한 임상 결과와 연관이 있었다. 하지만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에서 견갑하건의 봉합을 제외한 수술 전 VAS 점수 및 파열의 진행만이 불량한 임상 결과에 대해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결론: 수술 전 VAS 점수와 추시 MRI 검사에서 회전근 개 파열의 진행은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재파열을 진단받은 환자의 불량한 임상 결과와 연관 있는 위험 인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