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간호활동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1초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alling and Service Qual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이소윤;권영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57-665
    • /
    • 2023
  •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K시 장애인활동지원기관 4개소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이고, 총 308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수집은 2023년 3월 13일부터 4월 28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 자기효능감, 서비스 질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변인에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명의식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명의식의 하위요인인 친사회적 지향과 서비스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명의식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이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일부 도시.농촌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 자기효능 및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Urban and Rural Elderly)

  • 최연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74-384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levels of Instrumental Activities in Daily Living(IADL),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their relationships among the aged who lived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subjects consisted of 239 persons (urban = 120, rural = 119), aged 65 ov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from July 20 to August 30, 1998, and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s, Pearson Correlation, t -test $X^2$-test and ANOVA, using an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IADL was 2.06/5, the mean score of Self-efficacy was 49.61/100 and the mean score of Social support was 2.37/5. 2) Concerning house ownership, the group of urban elderl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rural elderly while in the handling of pocket money, the rural elderl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urban elderly. 3) Concerning Self-efficacy, the group of urban elderl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rural elderly. 4) The IAD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efficacy and to Social support. 5) Concern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ge, educational level, religion, living with a spouse, money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sated to the IADL scores, to Self-efficacy and to Social support.

  • PDF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자기 효능감, 신체활동 및 인지기능의 관계 (The Relations among ADL, Self-efficacy,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Function in Korean Elders)

  • 왕명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1-109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 among ADL, self-efficacy,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s. Methods: A total of 257 subjects aged between 60 and 92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200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5.0. Results: Differences in ADL, self-efficacy,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function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AD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cohabitation, recognition on health, and successful ag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ohabitation, recognition on health, and successful aging. Physic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cohabitation, and cognition on health. Cognitive fun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job, and recognition on heal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of the ADL variables was .565 for self-efficacy, .633 for physical activity and .460 for cognitive function.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health status of community-dwelling elders and developing more specific health promotion programs.

요양시설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수행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Depression among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 김명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7-375
    • /
    • 2018
  • Purpos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163 elderl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Scheff?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0. Results: The mean score for depression was 9.24, for self-efficacy 3.19, and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1.85.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research variable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The model explained 24.0% of the variables.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elf-efficacy were defined as an important influential on depress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is needed to reduce depression levels in the elderly to enhance daily living activities and self-efficacy.

제 2형 당뇨 환자의 식이, 신체활동, 자가간호, 자기효능감과 심혈관 합병증 위험요소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Diet, Physical Activities, Self-efficacy, and Self-care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Clients with Type II Diabetes)

  • 이해정;김명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83-294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Diabetic patients (N=160) were interviewed from November, 2003 to June, 2004. The 24 hour dietary recall,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he Diabetes Management Self-Efficacy Scale for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the Revised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Scale and Parma Cardiovascular Risk Index were used to measure the predictor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e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10.0. Results: Mean dietary intakes of the participants were protein(P) of 64.5g, carbohydrate(C) of 280.74g, fat(F) of 30g, and calcium of 511.45mg. The ratio of CPF was 75:17:8. About 45% of the participants didn't exercise on a regular basis. The levels of self-efficacy, self-car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the participants were moderate. Self-efficacy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long with self-care, exercising for more than 6 months, carbohydrate intakes and levels of physical activitie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 programs increasing self-efficacy on diabetic management would be more beneficial than the fractional approach focusing only on diet or physical activities.

  • PDF

금연서포터즈를 활용한 흡연예방 및 금연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흡연 지식 및 신념, 금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Program using Smoking Cessation Supporters on the Smoking Knowledge and Beliefs and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혜숙;최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05-312
    • /
    • 2021
  • 본 연구는 금연서포터즈를 활용한 흡연예방 및 금연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흡연지식 및 신념, 금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흡연예방 및 금연프로그램은 흡연관련 일반적인 교육(1회 30분씩 8회)과 대학생 금연서포터즈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30명으로 구성된 대학생 금연서포터즈는 팀당 6명, 총 5팀으로 구성하여, 팀별 온라인 동영상 홍보, 금연 홍보 및 캠페인 활동, 금연 도전자 모집 및 멘토링 등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금연서포터즈를 활용한 흡연예방 및 금연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흡연 지식을 높이고, 흡연에 대한 신념을 부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흡연에 관한 인식과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흡연예방 및 금연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비흡연학생의 흡연예방과 간접흡연으로 인해 타인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하였고, 흡연 학생에게는 금연동기부여와 금연 성공유지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등 대학 내 금연문화 확산에 기여하였다.

종합병원간호사의 조직효능감,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Efficacy, Self-efficacy, Nursing Professionalis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eneral)

  • 김현우;박은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7호
    • /
    • pp.75-82
    • /
    • 2023
  • 본 연구는 G시의 종합병원간호사 129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간호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분석은 빈도, 백분율,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피어슨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3.53점, 집단효능감은 3.66점, 간호전문직관 3.20점, 조직몰입은 3.47점이었다. 조직몰입 영향요인은 집단효능감(β=0.240, p =.003), 근무형태 중 주간(β=0.249, p =.003), 간호전문직관(β=0.229, p =.004)이었다(F= 10.478, p <.001). 그러므로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서 집단효능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병동별 의사소통프로그램, 협력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종합병원간호사의 근무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야간근무자 전담제도와 같은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 더불어 간호현장에서 현실에 실망하여 간호전문직관이 낮아지지 않도록 지지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또한 단위당 근무가 진행되는 간호사를 위해 병동별로 타인 이해하기를 중점으로 코칭프로그램 지원 및 친목활동 지원이 병행된다면 집단효능감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푸드표현활동 프로그램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주관적 기억력, 우울,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Food Expression Activity Program on Subjective memory, Depression, and Self-expression in the Elderly living in the Elders Attending Senior Citizen Clubs)

  • 김소영;김다현;박은진;변지연;진민경;홍민초;한은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71-1179
    • /
    • 2020
  • 본 연구는 푸드표현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주관적 기억력, 우울,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사후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방법은 S시에 위치한 2곳의 경로당 이용 노인 대상자 36명이 참여하였으며, 2020년 1월 8일부터 2월 17일까지 총 6회기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에 주관적 기억감퇴, 우울, 자기표현의 변화를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신체적 이완활동, 인지활동 및 다양한 '푸드'를 이용하여 손의 움직임과 자기표현을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푸드표현활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주관적 기억력(t=2.67, p=.011), 우울(t=3.88, p<.001), 자기표현(t=2.09, p=.044)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푸드표현활동 프로그램은 경로당 이용 노인의 우울 감소와 기억력 및 자기표현을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융복합적 간호대학 진로선택 요인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nursing choice factors in senior high school students)

  • 한수정;김미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09-11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 3학년 학생이 간호학 전공을 선택하는 요인을 알고자 함이다. 2016년 7월 2일부터 8월 2일까지 대전 충청지역 소재 6개 고등학교 3학년 총 145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을 작성한 조사연구이다. 설문은 교사와의 관계, 보건교사와의 관계, 간호관련 학교경험, 경험적 요인, 사회적 요인, 부모와의 관계, 진로선택과 가정에서의 진로지도 경험을 포함한다.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으로 분석하였다. 보건교사와 관계가 긍정적이고, 학교 안팎에서 간호 관련 진로활동이나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학교 진로 관련 수업, 전문가 상담 및 교육 경험이 있었던 경우에 간호대학 지원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을 지원하는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을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 및 인재유치를 위한 홍보 방안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정치효능감과 간호전문직관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litical 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nursing students)

  • 우정희;하지연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63-27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nursing students who, as they become future leaders in the nursing field, will need to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health policy decision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web-based questionnaires answered by 157 nursing students between March 13 and 27, 2023. Thos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political participation was 2.77±0.70 out of 5 points. Political particip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olitical efficacy (r=.48,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27, p<.001). Furthermore, sex (female) and political efficacy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on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nursing students, which explained it with 24.0% power. Conclusion: Providing timely nursi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enhancing political efficacy, which could promote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nursing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