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극효과

Search Result 1,94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Word superiority effect based on the Hangout font types (한글 글꼴 동일성 여부에 따른 단어 우월 효과)

  • Park, Soo-Jin;Jung, Woo-H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5.10a
    • /
    • pp.73-76
    • /
    • 2005
  • 한글의 글꼴 동일성 여부가 단어 우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바탕체 글꼴을 탐사 자극으로 사용하여 검사 자극과의 글꼴 일치 여부가 단어 우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자극 제시 시간에 따라 알아보았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첫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탐사 자극의 글꼴을 각각 바탕체와 세벌체로 하고, 검사 자극이 탐사 자극과 일치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단어 우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두 실험 결과, 탐사 자극과 검사 자극의 글꼴 일치 여부는 한글 단어 우월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탐사 자극과 검사 자극의 문자형이 서로 달라도 단어 우월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어 우월 효과가 국지적인 시각 자극의 속성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PDF

Emotional Decision-Making (정서적 의사결정)

  • 이수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262-27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정서의 처리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지를 조사하였다. 정서의 우선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제작되었던 Murphy와 Zajonc(1993)의 실험 패러다임을 응용하여 비의식적인 수준에서의 정서점화효과와 의식적인 수준에서의 정서점화효과를 비교하였다. 정서적 경험에 있어서의 차별화를 조작하기 위하여서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사용되었던 표정사진 대신 사건사진을 점화자극으로 사용하였다. 실험 1과 실험 2에서 모두 식역 이하 수준에서 점화자극을 제시하였던 경우 Murphy와 Zajonc(1993)이 발견한 점화자극으로 인한 동화의 효과가 나타났다. 원 연구자들에 따르자면 점화자극에 대한 자각은 점화자극으로 인한 동화효과를 상쇄하여야 한다. 그러나 자극제시시간을 정서적 각성이 충분히 일어나도록 길게 한 조건에서는 사건사진(실험 2)만이 정서적 동화효과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런 결과들이 지니는 정서처리의 과정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PDF

The Effect of Stimulus-Response Compatibility on Hangul Transcription Typing Behavior (한글타자 행동에서 자극-반응 합치도 효과)

  • 조양석;황태웅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5 no.2
    • /
    • pp.25-45
    • /
    • 1994
  • The pres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timulus-response compatibility (S-R compatibility) on Hangul transcription typing. In this experiment, two condition were manipulated, the first was a low S-R compatibility condition in which consonants were typed with left hand and vowels with right hand; the second was a high S-R compatibility condition in which hands for consonants and vowels were reversed. Subjects were requested to type the letter presented on the screen as accurately and immediately as possible. It was found that the compatibility interacted with the vowel shape. That is, in the high S-R compatibility condition, the response time was shorter when letters of vertically- shaped vowel were typed than when those of horizontally-shaped vowel were typed. In the low S-R compatibility codition, however, the response time was shorter for letters of horizontally-shaped vowel than for those of vertically-shaped vowel.

  • PDF

Effect of the Multisensory on the Stress-relieving for Vehicle Driver (운전자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다감각 자극의 효과)

  • Kim, Young-Joo;Kim, Hyejin;Lee, Hyunwoo;Jo, Youngho;Whang, Mincheo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4 no.4
    • /
    • pp.107-116
    • /
    • 202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sensory stimulation on relieving the stress experienced by drivers. The photoplethysmograms (PPGs) of 30 healthy subjects were measured, and their subjective response to stressful situations and normal driving were evaluated. The subjects underwent nonstimulation and multisensory stimulation in stressful driving situations. Heart rate estimation from the PPG was collected via an ear-type sensor to reduce movement noise. The signals acquired were sampled at 200 Hz using BIOPAC PPG100C. Heart rate variability (HRV) was analyzed to compare the effect of multisensory stimulation on stress situations. In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blue, green, and yellow were used for the visual sensory system; white, pink, and brown noises were used for the auditory sensory system; and lavender, lemon, and rosemary were used for the olfactory sensory system.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however, the HRV results showed an increased HF (%) and decreased LF (%) and LF/HF (%) in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e.g., green, pink noise, and rosemary) when compared to the nonstimulation.

Effects of Self-Explanation and Prompts Depend on the Students' Need for Cognition (인지욕구와 자기설명이 학습 수행에 미치는 영향)

  • Lee, Hyo-Hee;D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10.05a
    • /
    • pp.25-30
    • /
    • 2010
  • 자기설명이 학습을 촉진시키려면 무엇을 설명해야 하는지 판단해야 하고, 그에 대해 적절한 설명을 산출해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촉진자극(propmpt)를 제공해서 무엇을 설명해야 하는지에 대해 도움을 주면 자기설명 효과가 얻어지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자기설명과 촉진 자극의 효과가 학습자의 인지욕구(need for cognition)와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지욕구 수준을 상하로 나누어 3 요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촉진자극과 자기설명의 효과는 과제와 학습자의 인지욕구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기억검사에서는 인지욕구가 낮은 학습자에게서만, 자기설명의 효과와 촉진자극의 효과가 관찰되었다. 반면에 이해검사에서는 인지욕구의주효과가 유의하였고, 3 요인상호작용 효과가 경향을 보였다. 즉 촉진 자극을 제공하는 것은 인지욕구가 높은 학습자에게서만 학습을 향상시켰다. 이 결과는 인지부하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A Study for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Wound Healing (상처 치료에 있어서의 전기자극의 효과에 대한 연구)

  • Park, Jin-Woo;Lee, Hyang-Jun;Im, Jae-Joong;Yoon, Hye-Kyoung;Kim, Chan-Hwan
    • Proceedings of the KOSOMBE Conference
    • /
    • v.1995 no.11
    • /
    • pp.235-238
    • /
    • 1995
  • 모든 살아있는 조직은 표면전위(surface electropotentials)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조직에 손상를 가져오는 상처가 발생되었을 때 그 상처를 치료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상처부위에 인위적으로 표면전위의 특성을 가진 전기적인 자극을 가함으로서 상처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상처의 발생 직후에 음(-)의 전기자극을 가할 때 높은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상처의 치료에 전기자극을 사용할 때, 자극의 특성 변화가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가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하였다. 즉, 쥐의 복부부위를 일정한 크기로 절개하고, 그 부위에 1mA와 10mA의 자극 펄스를 지속시간을 10msec와 100msec로 변화하면서 $1\sim3$일간 제시한 후 상처가 치료된 정도를 비교하였다. 모든 자극이 끝난 후 상처부위에 대한 조직검사를 수행하여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전기자극을 전혀 가하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전기자극을 행한 그룹들의 육아조직에 있어서 그 형성 상태가 양호하였고, 괴사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염증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자극의 횟수를 증가할수록 전기자극으로 인한 치료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각 그룹 내에서 자극의 특성을 변화시키며 수행한 검사의 결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tudies on the Stimulating Effect of Strobe Light -III - Heart Rate Change of Jack Mackerel by Strobe Light Intensity - (스트로보광의 자극효과에 관한 행동 생리학적 연구 -III - 스트로보광 강도에 의한 전갱이의 심박수변화 -)

  • 안영일;유원귀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9 no.2
    • /
    • pp.128-133
    • /
    • 2003
  • Stimulus effects of strobe light on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were studied by measuring the heart rate change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robe light intensity of 5~75 lx$\cdot$s. Heart rate was observed for 60 min: 10 min before, 30 min during and 20 min after the strobe light stimulus. The measurement of heart rate was repeated three times at 2 hour interva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eart rate increased during stimulus but temporarily decreased immediately after ending of stimulus. The heart rate changes in both during and after stimulus were decreased with reducing light intensities. The heart rate change according to the repeated experiment was not remarkably different under the lower light intensity

Magnetic Nerve Stimulation Coils with Magnetic Mirror Effect (자계 거울 효과를 이용한 신경 자극 코일)

  • 한병희;김기왕;김재곤;박태석;이수열;조민형;양종수;김정회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3 no.4
    • /
    • pp.287-293
    • /
    • 2002
  • For non-contact nerve stimulations using time varying magnetic field, high amplitude current pulses have to be applied to a magnetic nerve stimulation coil. To increase the magnetic stimulation frequency we have to increase both power supply capacity and cooling capacity of the magnetic nerve stimulator. To alleviate these problems. we propose a new magnetic nerve stimulation coil design methods. Utilizing magnetic mirror effect of a ferro-magnetic plate attached to a magnetic stimulation coil. we have improved efficiency of the stimulation coil. We have analyzed magnetic mirror effect for various kinds of stimulation coils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and we present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with several kinds of stimulation coils.

Effects of Stimulus-response Compatibility In Hangul Typewriting Behabior (한글 타자행동에서 자극-반응 합치도 효과)

  • Cho, Yang-Seok;Hwang, Tae-Wung;Lee, Mahn-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268-281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한글 타자 행동에서 자극-반응 합치도 효과가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았다. 타자에 생소한 남녀 피험자 40명을 자극-반응 합치도가 높은 조건과 낮은 조건의 자판으로 20명씩 나누어 배치하였고 반응 시간을 측정하였다. 한글 타자 행동에서 자극-반응 합치도 효과는 세로 모음이 있는 철자에서 반응 개시 시간에 나타났다. 이는 한글 전사 타자 행동에서 글자 자극부호를 운동 부호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자극-반응 합치도 효과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 PDF

Differential Priming Effects for Pictures and Words in Data-driven and Conceptually-driven Processes (처리유형에 따른 그림자극과 단어자극의 점화효과 차이)

  • 김성일;이정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87-92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단어를 지각하게 되면 그 단어에 대한 의미가 자동적으로 활성화되고 그림표상까지도 활성화되지만, 그림을 지각하고 난 후에는 의미표상체계는 활성화되지만 단어의 지각적 표상체계는 활성화되지 않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 1과 2에서는 지연시간을 달리하여 그림을 지각적으로 처리를 하게 한 후 단어에 대한 점화효과를 보았으며, 실험 3 에서는 그림을 개념주도적 처리를 하게 한 후 단어에 대한 점화효과 및 암묵적 기억과 재인기억을 비교해 보았다. 실험결과 지각적 판단과제에서는 조건간의 아무런 차이가 없었지만, 의미적 판단과제에서는 동일조건과 그림조건에서의 반응시간이 통제조건을 포함한 기타 조건들에서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미적 표상체계로부터 단어의 지각적 표상체계까지의 상호작용 통로가 존재하지 않으며, 그림자극이 단어자극의 점화효과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동일한 의미적 표상체계의 활성화가 단어자극의 지각적 표상체계까지 확산되기 때문이 아니라, 그림자극에 대한 의미적 표상체계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