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궁 난관 조영술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난관 폐쇄에 기인한 불임 환자에서 난관 개통술의 효용성 (Efficacy of Transcervical Fallopian Tube Catheterization in Infertility Patients with Fallopian Tube Occlusion)

  • 박찬우;차선화;양광문;한애라;유지희;송인옥;김혜옥;강인수;궁미경;이경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4호
    • /
    • pp.321-327
    • /
    • 2010
  • 목적: 불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궁 난관 조영술을 이용한 난관 불임 선별검사에서 난관 막힘의 소견을 보인 경우 선택적 난관 조영술을 시행 후 실패 시 난관 개통술을 시행하여 난관 불임치료에 있어 난관 개통술의 효용성을 알아보고 난관 막힘 부위 및 형태에 따른 난관 개통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난관 불임 선별검사로서 자궁 난관 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자궁 난관 조영술 상 난관 막힘 소견을 보인 215명의 342개의 난관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난관 개통술을 시행하여 342개의 난관 가운데 248개의 난관이 개통되어 72.5%의 난관 개통률을 보였다. 막힘 부위에 따른 난관 개통률은 근위부 83.8% (197/235예), 협부 45.6% (47/103예), 원위부 100% (4/4예)를 보여 자궁-난관 접합부에 가까운 막힘 일수록 높은 개통률을 보였다. 막힘 형태에 따른 개통률은 점진형은 92.3% (157/170예), 오목형은 80.2% (69/86예), 볼록형은 25.5% (22/86예)의 난관 개통률을 보였다. 난관 막힘 부위와 형태를 종합하여 볼때 난관 근위부 점진형 막힘의 경우 91.6% (143/156예)의 높은 개통률을 보인 반면 난관 협부 볼록형 막힘의 경우에는 개통률이 11.3% (6/53예)에 불과하였다. 난관 개통에 성공한 156명 가운데 98명에서 임신에 성공하여 62.7%의 임신율을 보였다. 결론: 난관 개통술은 자궁 경부를 통한 시술로 수술적 방법이나 체외수정시술의 난자 채취에 비해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 입원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불임의 원인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난관 원인에 의한 불임 환자에서 우선적으로 시행해 볼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난관수종액이 생쥐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uman Hydrosalpingeal Fluid on the Development of Mouse Embryo)

  • 박준철;김정아;김동자;배진곤;김종인;이정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25-134
    • /
    • 2010
  • 목 적: 난관수종액내의 사이토카인 농도를 측정하고, 사이토카인 농도가 다른 난관수종액을 이용하여 생쥐 배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난관수종액은 자궁난관 조영술에서 난관수종이 진단되어 복강경을 통한 난관 절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난관 절제술 전에 난관으로부터 채취한 다음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킨 후 상층액만을 $-20^{\circ}C$에서 보관하였다. 난관수종액의 사이토카인의 조성 및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interleukin (IL)-$1{\alpha}$, IL-$1{\beta}$, IL-2, IL-4, IL-6, IL-8, IL-10,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feron (IFN)-$\gamm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MCP)-1 등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기본 배양액에 난관수종액을 5%, 10%, 30%의 비율로 첨가하여 각 군별로 배반포로의 발달을 관찰하였다. 결 과: 난관수종액내에서 IL-$1{\alpha}$, IL-$1{\beta}$, IL-2, IL-4, IL-6, IL-8, IL-10, TNF-$\alpha$, IFN-$\gamma$, VEGF, EGF, MCP-1가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정상 혈청 농도에 비하여 난관수종액-1은 IL-6, IL-10이 증가되어 있었고, 난관 수종액-2는 IFN-$\gamma$, MCP-1 및 VEGF가 증가되어 있었다. 각 난관수종액의 Th1/Th2 비는 HSF-1의 경우 IFN-$\gamma$:IL-10이 3.69로 정상인 데 비하여 HSF-2의 경우 IFN-$\gamma$:IL-10이 61.14로 크게 증가되어 있었다. 난관수종액을 포함하지 않는 배양액에서는 배반포기 발달률은 76.7%이었고, 난관수종액-1군은 74%로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난관수종액-2군의 경우 27.7%로서 대조군 및 난관수종액-1군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난관수종액-1의 경우 난관수종액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난관수종액-2군의 경우 농도에 증가함에 따라 배반포로의 발달이 감소하기는 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 론: 난관수종액마다 사이토카인의 조성이 다르며 이에 따라 생쥐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증가된 난관수종액이 배아발달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특정 사이토카인에 의한 작용을 규명하기는 위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불임 또는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중격자궁의 치료가 임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steroscopic Septotomy on Pregnancy in Patients with History of Infertility or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 구화선;차선화;양광문;배주연;안현숙;한애라;박찬우;강인수;궁미경;이경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4호
    • /
    • pp.361-368
    • /
    • 2010
  • 목적: 중격자궁은 흔하게 보고되는 선천성 자궁기형 중 하나이며 여성의 생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아직 이견이 많고, 따라서 치료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중격자궁의 존재 및 치료 여부가 생식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불임 또는 습관성 유산을 주소로 제일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자궁난관 조영술을 시행한 총 2,838명의 환자들 중 중격자궁이 진단된 4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27명은 자궁경 하 자궁중격 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17명은 진단 후 추가적인 치료를 받지 않았다. 대조군은 동일 기간 내에 자궁기형이 진단되지 않은 환자 42명을 나이를 고려 후 무작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군의 임신율, 자연유산율, 그리고 생존분만율 등에 대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대상군들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진단 후 21.8개월 이었다. 결과: 추적 관찰 기간 중 자궁경 하 질식 자궁중격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n=27)의 55.6% (15/27)가 임신에 성공한 반면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 (n=17)의 약 23.5% (4/17)만이 임신에 성공하여 치료받은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 (p<0.05). 한편 생존분만율은 치료를 받은 환자군 및 자궁기형이 진단되지 않은 불임 또는 습관성 유산 환자 (대조군, n=42)에서 각각 75%와 84.6%를 보인 반면 치료 받지 않은 군에서는 50% (2/4)를 보여 치료 받지 않은 중격자궁 환자에서 낮은 경향을 보이지만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결론: 중격자궁이 생식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자연유산 등 산과적 합병증 뿐 아니라 오히려 임신력의 저하에 더 큰 악영항을 미칠 수 있으며 불임 환자에서 중격자궁의 존재 시 적극적인 치료가 임신성공률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 되지만 보다 명확한 결론을 위해 규모가 크고 관찰 기간이 긴 대단위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궁난관 조영술 검사 시 Speculum 재질에 따른 흡수선량의 변화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the absorbed dose with speculum material-related in Hysterosalpingography)

  • 김연민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6
    • /
    • 2011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the entrance surface dose and absorbed dose in ovary when using the metal speculum and plastic speculum in hysterosalpingography respectively. The examinations was performed in anthropomorphic phantom into which calibrated photoluminescence glass dosimeter were placed on symphysis pubis level surface and ovary area. We checked average fluoroscopy time and spot expose times during the hysterosalpingography. It was average fluoroscopy time 58 sec, spot expose 5 times.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different groups to used metal and plastic speculum. We measured 10 times of absorbed dose in the same condition of the anthropomorphic phantom. We compared two groups adsorbed dose on ovary with speculum material-related. The entrance surface dose on of plastic Speculum using group was average 17.23 mGy, absorbed dose on ovary was average 3.51 mGy. The entrance surface dose on ovary of metal Speculum using group was average 19.95 mGy, absorbed dose on ovary was average 4.14 mGy. Plastic speculum using group shows a decrease absorbed dose(17.9%) as compared with metal speculum using group. The method of plastic speculum using in hysterosalpingography. might provide us with lower radiation dose, especially in patients with childbearing stage.

  • PDF

자궁수종이 있는 개에서 체내 성숙 난자의 회수 (Recovery of In Vivo Matured Oocytes from a Bitch with Hydrometra)

  • 김민정;조영광;강상철;오현주;김건아;;최유빈;이석희;김현일;이병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36-539
    • /
    • 2015
  • 한살령의 잡종 암캐에서 체내 성숙된 난자를 회수하기 위한 실험이 진행되었다. 혈청 프로게스테론 농도를 이용하여 배란 후 약 72시간 뒤에 개복술을 시행하였고, 비정상적으로 확장된 왼쪽 자궁각이 발견되었다. 양쪽 난소는 각각 여덟 개의 황체를 가지고 있었고, 배지를 난관에 관류시켜서 총 16개의 난자를 회수하였다. 모든 난자는 극체가 돌출되어 있었고, 25 um 미만의 난황주위 공간과 제 2중기의 핵을 가지고 있었다. 본 증례는 자궁수종을 가진 암캐에서 체내 성숙된 난자를 확인한 최초의 연구이며, 생식기 관련 질병을 가진 개과 동물에서 회수된 난자가 보조 생식 기술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불임 검사시 자궁난관 조영술의 진단 정확도 (The Accuracy of Hysterosalpingography for Evaluating Female Infertility)

  • 박준철;김종인;이정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3호
    • /
    • pp.223-230
    • /
    • 2005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hysterosalpingography (HSG) for evaluating female infertility patients by comparison with hysteroscopic and laparoscopic examination. Methods and Material: Total 219 infertile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between January 1, 2002 and December 31, 2003. Ninety seven patients (44.3%) were primary infertility, 122 patients (55.7%) were secondary infertility. We performed hysteroscopic and laparoscopic examination on next cycle when HSG revealed any abnormal finding, and 3~6 cycles later if HSG was normal. Results: The accuracy of HSG was 65.2% compared with hysteroscopic examination (sensitivity 88.4%, specificity 46.4%, false positive rate 53.6%, false negative rate 11.6%). The most common abnormal finding of hysteroscopy was uterine synechia (67.4%) followed by endometrial polyp, uterine anomaly (e.g. uterine septum), endometrial hyperplasia. Compared with laparoscopic examination, the accuracy of HSG was 76.9% (sensitivity 98.9%, specificity 70.6%, +LR 3.36, -LR 0.02).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normal patent tube was excellent (99.6%) but that of proximal tubal blockage was only 46.7%. The unilateral tubal obstruction of HSG was poor accuracy (+LR 3.85 -LR 0.68) and 70% of those was patent by laparoscopic examination. Laparoscopic examination also revealed that 53% of patients had peritubal adhesion and 37% of patients has additional pelvic findings, especially endometriosis. Among the patients had normal HSG, 53.5% patients with normal ultrasonography was diagnosed endometriosis (25.6% of them had endometriosis stage I-II). Conclusion: Normal HSG shows a high negative predictive value. Nevertheless, the incidence of associated pelvic disease in the normal HSG group is high enough to warrant diagnostic laparoscopy if nonsurgical treatment is unsuccessful. Because HSG has poor accuracy in predicting distal tubal blockage and peritubal adhesion, and poor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proximal tubal blockage, laparoscopic examination could be considered in abnormal HSG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