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초

마커 정보와 방향성 정보를 이용한 자궁 경부진 암종세포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ction of Carcinoma Cell of Uterine Cervical Using Marker Information and Directional Information)

  • 이동균;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4-368
    • /
    • 2009
  • 자궁경부암은 다른 암과 달리 전암(前癌) 단계가 존재하므로 조기에 발견할 경우 생존율이 높다. 그러나 검체 적정성의 부족과 검체 체취의 오류로 인해 질병이 있음에도 음성으로 나타나는 위음성률이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세포 도말검사에서 사용되는 자궁 경부진 세포에서 암종 세포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의 배경 그리고 핵과 세포질 영역의 구분이 중요하기 때문에 조기 자궁 경부 세포진 영상에서 핵의 추출은 Lighting Compensation을 적용하여 영상을 보정하고, 명암도 분포가 가장 작은 B 채널과 명암도 분포가 높은 R채널과의 OR 연산을 적용한 후, $3{\times}3$마스크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이 제거된 영상을 이진화하고 Grassfir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종 세포의 후보 객체를 추출한다. 추출된 세포 객체에서 핵의 크기, 핵의 면적과 핵의 외곽의 방향성 정보를 이용하여 백혈구와 잡음으로 구성된 객체를 제거한다. 세포 도말검사 과정에서 겹쳐진 부분은 거리 함수와 명암도를 이용하여 마커를 추출하고 추출된 마커 정보와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겹쳐진 암종 세포를 분리한다. 자궁경부 편평 세포진 400 배율 영상과 자궁 경부 상피내 종양 400 배율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자궁 경부진 암종 세포 추출 방법보다 효과적으로 암종 세포 영역이 추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자궁경부암 선별 검사에서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의 이용 (Cervicography as a Screening Test for Cervical Cancer)

  • 이두진;이승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69-180
    • /
    • 1999
  • 우리 나라 여성암 중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는 자궁경부암의 선별 검사로서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1998년 3월 1일부터 1999년 10월 31일 사이에 자궁암 검진 목적으로 자궁경부 확대 촬영을 시행한 482명의 여성 중에서 31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 환자의 평균 산과력은 임신 4.4회, 분만 2.6회, 유산 1.9회였고 검진의 목적은 정기 검진이 164명으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는 35-39세 군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0-44세군, 45-49세군의 순이었으며 마지막 세포진 검사와의 검진 간격은 평균 17.1개월이었고 지금까지 한 번도 검사를 받지 않았던 여성은 64명이었다. 310명의 여성 중 정상으로 판단된 254명을 제외한 56명에서 질확대경 조준 하 생검을 시행하였으며 생검 소견은 만성 자궁경부염 26례, 경증 이형증 4례, 중등도 이형증 6례, 중증 이형증 2례, 자궁경부 상피내암 14례 및 침윤암 4례였다. 세포진 검사 결과와 자궁 경부 확대 촬영술의 결과는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세포진 검사 결과가 LSIL 이상일 때를 비정상으로 판정했을 때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6.7% 및 76.9%였고, 양성 예측률과 음성 예측률은 각각 81.3% 및 83.3%였으며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은 각각 23.1%와 13.3%였다. 자궁 경부 확대 촬영에서 의증(S2) 이상일 때를 비정상으로 판정했을 때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56.7% 및 96.2%였고, 양성 예측률과 음성 예측률은 각각 94.4% 및 65.8%였으며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은 각각 3.8%와 43.3%였다.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의 민감도는 세포진 검사에 비해 매우 낮았으나 특이도는 훨씬 높았고 서로 보완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에서 위음성률이 높았으나 위양성률은 낮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궁 경부 확대 촬영은 단독으로 선별검사에 사용하는 것보다는 세포진 검사와의 상호 보완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고 세포진 검사의 단점을 보완하는 자궁경부암의 집단 검진 방법으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Kapur 방법과 형태학적 특징을 이용한 자궁경부암 세포 추출 및 인식 (Detection and Recognition of Uterine Cervical Carcinoma Cells in Pap Smear Using Kapur Method and Morphological Features)

  • 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992-1998
    • /
    • 2007
  • 자궁 경부 세포진 영상의 효과적인 세포핵 영역 추출과 인식 및 분류를 위해서는 세포진 영상의 배경 그리고 세포핵과 세포질 영역의 정확한 구분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궁 경부 세포진 영상에서 세포핵 영역과 배경을 효과적으로 분할하기 위 해 Median 필터를 적용하여 전체적인 영상의 명암값을 보정한 후, Gaussian 필터를 적용하여 그레이 영상에서 존재하는 잡음을 제거한다. Kapur 방법을 통해 배경과 세포의 엔트로피 누적 확률을 이용하여 영상을 이진화 한다. 자궁 경부진 영상에서는 군집화된 세포 영 역 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군집화가 심화된 세포영역에서는 그 영역의 평균 명암도 값을 이용하여 세밀하게 영역을 재분할 한다. 그런 후, 미세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3{\times}3$ 마스크를 적용하여 미세한 잡음을 제거 한 후, 8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할된 영역에서 세포들의 후보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세포영역은 크기, 면적 비율, 핵 외곽의 방향성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 세포와 암세포를 인식 및 분류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된 방법의 성능이 전문의와 소견과 비교적 근접한 것을 보여준다.

자궁 경부진 핵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cleus Extraction of Uterine Cervical Pap-Smears)

  • 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699-1704
    • /
    • 2009
  • 자궁경부암은 다른 암과 달리 전암(前癌) 단계가 존재하므로 조기 발견할 경우에 생존율이 높다. 그러나 의사나 병리학자가 하루에 검진할 수 있는 양은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세포 도말 검사에 사용되는 자궁 경부진 세포에서 핵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조기 자궁 경부 세포진 영상에서 핵의 추출은 영상의 배경 그리고 핵과 세포질 영역의 구분이 중요하기 때문에 Lighting Compensation을 적용하여 영상을 보정하고, 명암도의 분포가 가장 작은 B채널에서 $3{\times}3$ 마스크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이 제거된 영상을 이진화하고 Grassfir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세포 객체를 추출한다. 추출된 세포 객체 중에서 군집화된 세포 영역에 대해서는 R 채널의 명암도 값을 반복 이진화에 적용하여 핵 영역을 추출한다. 실제 진단 세포학에서 사용하는 자금경부 세포진 400 배율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45개의 세포 영역 중에서 40개의 핵이 추출되었다.

결혼이민여성의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참여행위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Pap Smear Screening Participation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in Married Immigrant Women)

  • 김소영;최소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5-265
    • /
    • 2010
  • Purpose: This study's aim was to investigate participation in Pap smear screening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behavior and its related factor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65 married immigrant women in Gyeongsangnam-do from January 1 to March 20, 2010. Results: Results in this study showed that 51.5% have never participated in Pap Smear screening. Among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Pap Smear screening, 10.9% had regular screening, while 37.6% had irregular screening. Pap smear screen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in health checkup ($x^2$=34.009, p<.001)', whether or not there was a hospital the woman regularly visited ($x^2$=7.768, p=.021) and perceived barriers (F=3.214, p=.043). Conclusion: For improvement of Pap smear participation, this study proposes to develop variou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which can improve perceived barriers in regards to the related variabl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strategy to advertise the participation in Pap smear screening in a systematic and continuous manner in order to raise womens' awareness and to make married immigrant women realize the importance of regular Pap smear screenings.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를 받는 여성의 당혹성향과 당혹감 (A Descriptive Survey on Women′s Embarrassability and Embarrassment during Cervical Screening)

  • 조은정;정복예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32-843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women's embarrassability and embarrassment during cervical screening.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2 women who had a cervical screening at a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 using a questionnaire from February 4, 2001 to February 22, 2002.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embarrassability scale, embarrassment Scale, and demographic data. Result: 1) The mean scores of situational embarrassability was 82.6 and that of dispositional embarrassability was 106.7. 2) The mean scores of subject's embarrassment was 54.3 and 48.7 in 10 stages of cervical screening. The following three situations of 10 stages of cervical screening were highly ranked as to be embarrassing: 'during the examination', 'waiting for a doctor', and 'climbing up the exam chair and positioning her thigh for a exam'.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ispositional embarrassability and embarrassment of 10 stages of cervical screening.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tuational embarrassability of subjects according to education and the locations of servi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mbarrassability of subjects with regard to frequencies of pregnancy.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barrassment of subjects during cervical screening with respect to age, age at the time of first smear and gender of the examiner.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women experienced a high level of embarrassment during cervical screening, assuming a need for nursing intervention reduces women's embarrassment. Also,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barrassability and embarrassment of cervical screening, suggesting a need for further research identifying the effect of nursing intervention on embarrassment according to embarrassability.

연극학적 상호작용에 의한 탈성화 간호가 자궁경부 세포진 수검 여성의 당혹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esexualization Care guided by Dramaturgical Interaction on Women's Embarrassment during Cervical Cancer Screening)

  • 조은정;정복례;구태본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1-358
    • /
    • 200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sexualization Care guided by dramaturgical interaction on women's embarrassment during cervical cancer screening. Method: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ost-test only design. 62 women who had cervical cancer screening were' conveniently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Embarrassment was measured under four distinctive sub-dimensions by the method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s monitoring. The data of control group had a conventional pap smear were collected in advance and then those of experimental group were gathered after completing data collection in the control group. Women in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with a newly developed cervical cancer screening programme in which interdisciplinary team conducted dramaturgical interaction.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VA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core of physiological response of Embarrassment Measurement Sca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 <.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ognitive-emotional, non-verbal and verbal behavioral response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s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cervical s creening. Conclus ion: Desexualization Care guided by dramaturgical interaction during cervical screening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physiological response of women's embarrassment. Further research for identifying other main variables which might have influenced on women's embarrassment is needed.

  • PDF

The Bethesda System (TBS) -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의 새로운 보고양식 - (The Bethesda System (TBS) - A New Reporting System of Cervicovaginal Smear -)

  • 김희숙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5-98
    • /
    • 1995
  • In 1989, the Bethesda System (TBS) was introduced as an attempt to standardize cervical/vaginal reporting systems. TBS nomenclature was created for reporting cytologic diagnoses to replace the currently used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and Papanicolaou Class System, which are deemed less reproducible. The name for preinvasive squamous lesions was changed to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SIL), subdivided into low-grade and high-grade types. TBS recommends a specific format for cytologic report, starling with explicit statement on the adequacy of the specimen, followed by general categorization and descriptive diagnosis. Pathologic and epidemiologic studios performed over last 10 years have provided evidence that human papillomavirus (HPV)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ervical neoplasia, TBS corresponds not only to currently held views of the behavior of preinvasive lesions and their HPV distribution, but also to the current guidelines for clinical manag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