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각 증상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174초

VDT 작업 후의 조절기능 변화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after VDT Work)

  • 서은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5-291
    • /
    • 2012
  • 목적: VDT 작업이 조절기능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조절기능 이상과 전신 및 안질환이 없고 교정수술을 받은 경험이 없는 대학생 48명(남 16명, 여 32명)을 대상으로 VDT 작업 전과 2시간 작업 후의 굴절력, 조절래그, 조절용이성, 상대조절력과 최대조절력, 순목 횟수 값을 측정하였다. 원거리 굴절교정 도수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든 검사를 실시하였고 VDT 증후군의 자각증상에 관련된 항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2시간동안 VDT 작업 후의 굴절력변화는 0.23 D 증가하였고, 조절래그 변화량은 우안에서는 $0.17{\pm}0.42D$, 좌안에서는 $0.23{\pm}0.47D$(t=2.26, p=0.03) 만큼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절용이성과 상대조절력과 조절력은 VDT 작업 후에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순목 횟수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VDT 작업 후 안정피로가 33.4%, 어깨통증이 33.3%의 자각증상을 보였다. 결론: 2시간 VDT 작업 시간에 따라 조절래그는 증가하였고, 전반적인 조절기능의 능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각적 부담을 주는 증상으로는 안정피로가 가장 높은 자각도를 보였다.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자의 피팅 상태 확인 유무에 따른 자각적 증상 (Subjective Symptoms according to Fitting Test in Soft Contact Lens Wearers)

  • 김정희;안영주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31-442
    • /
    • 2018
  • 목적 :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착용실태 및 구입현황, 피팅 상태 확인 유무에 따른 자각적 증상, 그리고 베이스커브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구매하기 위하여 서울소재의 안경원 및 렌즈샵에 방문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98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카이제곱 검정과 Fisher의 정확 검정을 이용하여 피팅 상태 확인(착용감과 관련된 문진, 푸시업 테스트 등) 유무에 따른 자각적 증상(건조함, 빛 번짐, 착용감 불편, 시력저하)을 비교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오즈비를 구하였다. 결과 :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구입 시 시력검사를 받고 구입한 경우는 안경원은 86.6%, 렌즈샵은 64.7%이었다. 콘택트렌즈를 구입할 때 피팅 상태의 확인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피팅 상태의 확인을 받은 경우에 비해 건조함(오즈비 4.41, 95% 신뢰구간 1.25-15.62)과 착용감 불편(오즈비 2.68, 95% 신뢰구간 1.08-6.64)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87.8%가 베이스커브라는 용어를 알지 못하고 있었으며, 콘택트렌즈 구매 시 92.9%가 베이스커브와 관련된 설명을 듣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 96.9%가 베이스커브 검사를 받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소프트 콘택트렌즈 처방 시 피팅 상태의 확인을 통한 적절한 베이스커브의 변경을 통해 기존 소비자들의 콘택트렌즈의 착용 시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혜 깊어지는 건강: 40대를 지켜라 -자각증상 없는 당뇨병 합병증이 더 무섭다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5권4호
    • /
    • pp.20-22
    • /
    • 2011
  • 사회의 중추라 할 수 있는 40대의 당뇨병 발병률이 크게 증가하고 이에 따른 당뇨병 합병증에 의한 사망률도 증가하여 당뇨병이 40대의 사망원인 8위를 차지하고 있다. 과거 30~40년 전부터 경제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면서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을 비롯한 생활양식의 변화를 당뇨병 유병률이 1990년대부터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당뇨병 유병률이 약 5~6%, 즉 250만 명 이상이 당뇨병 환자로 추산되고 있으며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 PDF

당뇨병 신경병증과 족부질환

  • 신동혁
    • 월간당뇨
    • /
    • 통권213호
    • /
    • pp.10-13
    • /
    • 2007
  •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당뇨병성 망막질환, 당뇨병성 신장질환과 더불어 당뇨의 3대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원인은 확실하게 정립되어 있는 것은 없으나 높은 혈당으로 인하여 유발된 신경섬유 부종이 원인이라는 보고가 많다. 당뇨와 관련된 모든 합병증과 마찬가지로 신경병증 역시 상당히 초기부터 진행한다. 대개 유병기간이 10년이 넘어 가게 되면 대부분의 당뇨병환자들이 자각적인 증상을 느끼게 되지만 사실은 발병 전 당내성이 존재하는 시기부터 신경병증은 시작된다.

  • PDF

전산화단층촬영실 방사선사의 VDT증후군 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Symptoms of VDT Syndrom in Radiological Technologists at CT Room)

  • 임상묵;이병남;이강우
    • 대한방사선협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24
    • /
    • 2003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video display terminal (VDT) syndrom and prevent the harm of VDT syndrom Materials and Methods : A questionnarie study was performed with 170 radiotechnologists working at CT room

  • PDF

고등학생들의 컴퓨터 작업환경, 휴식과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Computer Workstation, Rest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High School Students)

  • 윤태형;차태현;황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037-3047
    • /
    • 2012
  •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휴식, 컴퓨터 작업 환경과 근골격계 증상과 위험비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K지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685부를 최종회수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컴퓨터 사용시 통증부위는 허리, 어깨, 목의 통증을 가장 많이 호소하였다. 통증부위별 통증유무에 따른 작업자세 및 환경평가점수의 차이는 통증이 없는 사람이 통증이 있는 사람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통증부위와 작업환경과 음의 상관이 보인 것은 책상(어깨), 의자(목, 어깨, 허리, 무릎, 발목/발), 모니터(어깨, 허리), 키보드(목, 어깨, 엉덩이/허벅지, 발목/발) 등의 결과가 나타났다. 작업환경과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위험비(odds ratio)는 목은 모니터, 무릎과 발목/발은 의자의 환경이 좋을수록 통증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컴퓨터 작업환경과 근골격계 증상이 관련성이 있으며 컴퓨터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컴퓨터 작업환경을 개선해줌으로써 근골격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예방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치주질환자에서 근관치료의 유무에 따른 수직 치근 파절의 실태분석 (Analysis of vertical root fracture in endodontically versus nonendodontically treated teeth o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 김명준;장현선;김동기;김병옥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413-426
    • /
    • 2005
  • 수직 치근파절은 특이성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치과의사가 정확한 진단을 하기 어렵다. 따라서 수직 치근파절의 임상적 특징, 진단적 증상을 파악하여 향후 근관치료된 치아나 치료되지 않은 치아에서 수직 치근파절의 유발인자와의 관련성 및 고찰을 통해 수직 치근파절의 예방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대상은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 중 최근 2년간 144명의 환자에서 근관치료를 받았거나 받지 않았던 치아 중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수직 치근파절로 진단된 156개의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불확실한 증례에서 수직 지근파절의 최종 진단은 외과적 탐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금이 간 치아와 관련될 수 있는 치근파절의 증례의 경우는 제외되었다. 근관치료된 치아와 치료되지 않은 치아, 환자의 나이와 성별, 치아종류 및 파절된 치근부위, 자각증상의 유무를 기준으로 각각의 수치와 백분율로 분류하였다. 수직 치근파절의 증상과 증후별로 분류하였으며, 진단방법에 의한 분류, 치료방법에 따른 분류, 근관 치료 후 수직 치근파절이 발생한 기간에 따른 분류를 시행하고 통계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근관치료를 받지 않았던 치아의 수직 치근파절의 발생율은 58%였다. 2. 성별에 따른 발생률에 있어서 남성의 호발양상을 나타내었다. 3. 근관치료된 치아에 있어서 치료되지 않은 치아에 비해 호발연령이 낮았다. 4. 전치부의 수직 치근파절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특히, 강한 교합력을 필요로 히는 구치부에서의 높은 발생율을 나타냈다. 5. 수직 치근파절의 가장 주된 증상 및 증후는 깊은 치주낭 깊이였다. 6. 근관 치료 후 수직 치근파절이 발생한 기간은 평균 5.7년이었다. 7. 다수 증례에 있어서 3개 이하의 결손치를 가졌고, 자각증상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괴에서 한국인에 있어서 근관치료를 받지 않은 치아의 수직 치근파절은 드문 현상이 아님을 알 수 있었고 남성과 구치부에 있어서의 높은 발생율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로는 강한 교합력, 딱딱한 음식의 저작습관, 치조골 흡수에 따른 낮은 저항성, 골 유연성의 저하 등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수직 치근파절은 아직까지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는 여전히 어려운 상태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진단방법 및 더 나은 연구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그리고, 향후 보다 많은 증례에 대한 분석, 치주질환에 이환되지 않은 경우의 분석, 치료 후 생존 기간에 대한 고찰 등도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