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중합 레진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4초

수종의 치질 접착제의 미백 처리된 법랑질에 대한 전단접착강도 비교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of different bonding systems on bleached enamel)

  • 김광근;박정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1호
    • /
    • pp.30-35
    • /
    • 2004
  • 치아 미백술은 치아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가장 보존적인 방법의 하나로 인식되어져 왔으며 최근의 심미치과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그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술식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미백술 후 바로 접착수복을 할 경우 결합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정시간 경과 후 접착수복 술식을 시행할 것을 권장 하고 있다. 자가산부식형 (self-etching primer system) 접착제는 기존의 접착제와 다른 성분으로 인해 치아미백제에 의한 영향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미백술을 시행한 법랑질 상에서 서로 다른 세 가지의 접착 시스템을 이용하여 미백술 후의 지연 시간이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발거한 대구치 68개를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근원심으로 절단하고 치관부를 자가중합 레진에 식립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세 가지 접착제로 $One-step^{\circledR}$, Clearfil SE Bond $primer^{\circledR}$, One-up Bond $F^{\circledR}$를 이용하였다. 각 접착제를 미백을 시행하지 않는 대조군과 미백 시행 후 바로 접착한 즉시 접착군, 그리고 2주간 생리식염수에 보관한 후에 접착한 지연군으로 나누어 총 9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접착제를 처리한 면에 Clearfil $AP-X^{\circledR}$ 복합레진을 2mm충전하고, 40초간 광중합을 시행하였다. 24시간 후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One-step^{\circledR}$의 경우, 즉시 접착군에서 지연 접착군보다 유의성 있게 낮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Clearfil SE $Bond^{\circledR}$의 경우, 즉시 접착군과 미백을 시행하지 않은 군간에는 접착 강도에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지연접착군에서는 낮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One-Up Bond F$^{\circledR}$의 경우, 즉시 접착군에서 유의성 있게 낮은 전단접착강도를 나타내었고, 전반적인 접착 강도가 다른 두 접착제에 비해서 유의성 있게 낮은 값을 보였다. $One-step^{\circledR}$을 사용할 경우 지연접착을 하는 것이 추천되며, Clearfil SE Bond$^{\circledR}$의 경우에는 즉시 접착을 시행하더라도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One-Up Bond $F^{\circledR}$의 경우 미백술 후 접착수복 과정에 사용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진시멘트의 색안정성에 대한 가속시험 (COLOR STABILITY OF THE RESIN CEMENTS WITH ACCELERATED AGING)

  • 송하정;박수정;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4호
    • /
    • pp.389-396
    • /
    • 2008
  • 본 연구는 레진 시멘트의 색 안정성을 평가하여, 레진 시멘트의 변색에 의한 심미 수복물의 실패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4종의 이원중합형 레진 시멘트인 Panavia-F (PA, KURARAY), Duolink (DL; BISCO), Variolink II (VL; Ivoclar Vivadent), 및 RelyX Unicem (UC: 3M ESPE)과 1종의 자가중합형 레진 시멘트인 Resiment Ready-Mix (with fluoride) CE (RM: j.1.Blosser)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복합레진 Gradia Direct (CD ; GC)과 복합 레진 인레이용 Tecera Dentin A3 (TE ; Bisco)를 사용했다. 각 재료 당 직경 6.5 mm, 두께 4.5 mm의 디스크형 시편 10개를 제작하였다. 중합 후 시편은 분광색채계측기인 Spectrolino (GretagMacbeth)를 이용해 CIE $L^*a^*b^*$값을 측정하고 가속시험을 위해 빛이 차단된 refrigerated bath circulator에서 60$^{\circ}C$ 증류수에 30일간 보관 후에 색 측정을 시행하고, 시험 전 후의 색차를 계산하였다. 가속 시험 후 $L^*$ 값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a^*$ 값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b^*$ 값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 0.05). TE가 15일과 30일 모두에서 가장 적은 색변화 (p < 0.05)를 보인 반면 GD는 15일 가속 실험 후 큰 색변화를 보였다. 30일 가속 실험 후 PA, VL, RM, DL 그리고 UC 순으로 ${\Delta}E^*$값이 커졌으며 (p < 0.05), 30일 후 모든 레진시멘트 들은 육안으로 변색을 인지 할 수 있는 3 이상의 ${\Delta}E^*$ 값을 보였다.

표면처리방법이 지르코니아와 레진시멘트 간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Zirconia Ceramics to Resin Cemen)

  • 김경수;김정미;김유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69-7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각각 다른 표면처리를 한 지르코니아를 레진시멘트로 접착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평가, 비교하는 것이다. 디스크 모양의 산화 지르코늄(3-TZP, Kyoritsu, Tokyo, Japan) 시편 120 개를 다음과 같이 표면처리 하였다. (1)110 ${\mu}m$ 산화 알루미나 분사 처리 (2)Silica coating(RocatecTM, 3M ESPE) (3)처리하지 않음 시편을 한 군당 10 개씩 총 6 개군으로 나누어 두 개의 지르코니아 시편을 자가 접착형 레진 시멘트(RelyX U-200, 3M ESPE)로 합착하였다. (1)처리하지 않음/처리하지 않음 (2)처리하지 않음/110 ${\mu}m$ 산화 알루미나 분사처리 (3)처리하지 않음/Silica coating (4)110 ${\mu}m$ 산화 알루미나 분사 처리/110 ${\mu}m$ 산화 알루미나 분사 처리 (5)110 ${\mu}m$ 산화 알루미나 분사 처리/Silica coating (6)Silica coating/Silica coating. 각 군의 전단결합강도를 만능시험기로 측정하였다. 표면처리에 따른 결합강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고 사후 분석으로 Tukey HSD test를 실시하였다. Silica coating을 한 두 개의 시편을 접착한 군이 가장 높은 결합 강도를 보였다(P<0.05). 표면 처리하지 않은 시편을 접착한 군과 두 개의 시편 모두 알루미나 분사 처리한 시편을 접착한 군은 서로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그 외의 군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낮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Silica coating은 자가중합형 레진시멘트를 이용하여 접착한 두 지르코니아 간의 결합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다양한 중합방법에 따른 악안면 보철용 폴리우레탄과 자가중합 레진 간의 결합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hesiveness between Polyurethane Sheet for Maxillofacial Prostheses and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in Various Polymerization Methods)

  • 김두열;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2호
    • /
    • pp.123-132
    • /
    • 2000
  • The field of maxillofacial prosthetics is concerned with the prosthetic reconstruction of missing head and neck tissue. Currently, facial prostheses are usually applied in cases of defects caused by the surgical removal of tumors or congenital defects. While silicone has been most widely used for the reconstruction of missing maxillofacial defects, it does not have ideal physical properties. Therefore, bonding a thin polyurethane sheet to silicone prostheses was recommended. In this case skin adhesives were used for the retention of maxillofacial prostheses. But retention of devices has always been problematic. The contributions of implants can be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Implants have reduced the need for adhesive use, simplifying cleaning procedures and thus extending the life of the prostheses. For implant-retained prostheses, retentive matrix is necessary to hold attachments and/or magnets. The retentive matrix is usually fabricated with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or visible light- polymerized re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dhesion-in-peel force of silicone adhesive to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and polyurethane sheet with two different surface textures : pumice polish only or retention groove, and three surface primers : Dow corning 1205 primer or Dow corning S-2260 primer or FactorII A-304 primer, and two polymerization methods : room temperature or dry heat oven. The t-peel bond strength of specimens was determined as described in ASTM Standard D1876-72.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ANOVA test, multiple range test an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peel bond strength of A-304 primer was the highest an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2260(p<0.05). 2. The t-peel bond strength of specimens with retention groove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pecimens polished with pumice(p<0.05). 3. The t-peel bond strength of specimens polymerized in dry heat oven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pecimens in room temperature(p<0.01).

  • PDF

지속적 가압 주사식 열중합 의치상 레진에 대한 열중합, 자가중합 및 광중합 레진의 결합력에 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TENSILE BOND STRENGTH OF HEAT-CURED, COLD-CURED, AND LIGHT CURED DENTURE BASE RESINS BONDED TO CONTINUOUS-PRESSURE INJECTION TYPE DENTURE BASE RESIN)

  • 황승우;정문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5-393
    • /
    • 1993
  • Injection processing of denture base resin was introduced by Pryer in 1942, in an attempt to reduce processing shrinkage. More recently a continuous-pressure injection type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SR-Ivocap, Ivoclar AG, Schaan, Liechtenstein.), and it reduced processing error and increased resin den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ensile bond strength of heat-cured, cold-cured, and light-cured denture base resin bonded to continuous-pressure injection type resin. To know it, 60 cylindrical resin specimens were fabricated, and tensile bond strength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tensile bond strength bonded to continuous-pressure injection type resin was lower than bonded to conventional heat cured resin. But tensile bond strength of conventional heat cured resin bonding with light cured resin was lower than continuous-pressure injection type resin. 2. Of the tensile bond strength bonded to continuous-pressure injection type resin, tensile bond strength bonding with continuous-pressure injection type resin was the greatest(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onding with conventional heat cured resin), followed by cold-cured, light-cured resin. 3. Of the tensile bond strength bonded to conventional heat cured resin, tensile bond strength bonding with conventional heat cured resin was the greatest and followed by continuous-pressure injection type resin, cold-cured resin, light-cured resin. According to these results, bonding of continuous-pressure injection type resin with conventional heat cured resin or continuous-pressure injection type resin is acceptable, but bonding with light-cured resin is questionable.

  • PDF

지연성 운동이상증 환자에서 functionally generated path 술식과 이중스캔법을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 제작: 증례 보고 (Fabrication of fixed prosthesis by employing functionally generated path technique and dual scan technique in a tardive dyskinesia patient: a case report)

  • 실파;이두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227-233
    • /
    • 2023
  • 지연성 운동이상증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 약물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자발적 신경학적 운동 장애로 불수의적인 하악의 움직임과 이갈이를 초래하여 과도한 하중이 치아 및 보철물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 지연성 운동이상증 병력이 있는 40대 남성이 상악 전치부 상실로 인한 보철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13, 15, 23의 지대치 형성 후 실리콘으로 인상을 채득하고 레진 블록을 밀링하여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시적 과정에서 임시 보철물의 교합면 1/3을 제거하고 교합면에 자가중합 아크릴 레진을 도포하여 환자의 구강에 장착하였다. 레진이 경화되는 동안 하악의 불수의적 움직임으로 대합치에 의한 functionally generated path (FGP)가 레진 표면에서 기록되었다. 수정된 임시 보철물을 제거하여 구내 스캐너로 스캔 후 이중 스캔 방법을 사용하여 임시 보철물의 디자인을 수정하여 최종 보철물을 설계하였다. 최종 보철물은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로 제작하였다. 본 증례는 FGP 기술과 이중 스캔 방법 이 지연성 운동이상증 환자에서 조화로운 교합을 갖는 고정성 보철물의 제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crylic Resin에 혼합된 Polyphosphate가 미생물의 부착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PHOSPHATE MIXED IN ACRYLIC RESIN ON THE ATTACHMENT AND GROWTH OF ORAL BACTERIA)

  • 홍선희;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9-79
    • /
    • 2003
  •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에 polyp를 혼합하지 않은 대조군, 그리고 레진 분말에 대한 polyP(사슬길이 13과 18의 혼합물인 Calgon)의 무게비를 1%로 혼합한 polyP 1%군, 2% 혼합한 polyP 2%군 및 3% 혼합한 polyP 3%군으로 분류하여 경화시킨 후, 경화된 각각의 레진과 실험균주 S. mutans GS5, S. sobrinus 6715, S. gordonii G9B및 Challis, 그리고 P. gingivalis 2561과 Candida albicans ATCC90027을 대상으로 레진표면에 대한 미생물들의 부착의 정도, 성장 억제효과 및 접촉각의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로 미루어 아크릴릭 레진에 포함된 polyP는 구강 미생물에 대해 직접적으로 강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나 미생물의 부착 특히 우식원인균인 mutans streptococci의 부착을 방해하는 것으로 가늠되며, 이는 polyP의 첨가에 의한 아크릴릭 레진 표면에서 일어난 소수성의 변화가 일부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PolyP가 혼합된 아크릴릭 레진의 장착은 일반적인 아크릴릭 레진으로 제작된 가철성 장치를 장착한 후 나타날 수 있는 우식 이환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여겨진다.

  • PDF

FRC-포스트의 표면처리가 레진시멘트와의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f FRC-Post on bonding strength to resin cements)

  • 박찬현;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2호
    • /
    • pp.125-131
    • /
    • 2011
  • 연구목적: Silane 처리가 FRC-포스트와 레진 시멘트 간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FRC-포스트로 LuxaPost (DMG)와 Rely-X Fiber Post (3M ESPE)를 사용하였으며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인 Rely-X Unicem (3M ESPE)과 전통형 레진시멘트인 Rely-X ARC (3M ESPE)와의 Rely-X Ceramic Primer (3M ESPE)를 이용한 표면처리 유무에 따른 결합강도를 push-out test를 실시하여 측정하고 independent samples t-test 및 one-way ANOVA와 Scheffe 사후검정을 95% 유의수준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실험 결과 Rely-X Fiber Post를 사용한 실험군에서 silane 처리와 관계없이 Rely-X ARC를 적용하였을 때, 다른 실험군들에 비해 높은 결합 강도가 나타났으며 LuxaPost를 사용한 실험군에서 각각의 레진 시멘트에 대해 silane 처리를 하였을 때 시행하지 않은 실험군에 비해 높은 결합 강도가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미리 silane 처리된 LuxaPost를 사용하더라도 silane 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오염된 유치 상아질에 대한 자가 부식 프라이머의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PRIMER SYSTEMS TO CONTAMINATED DENTIN IN PRIMARY TEETH)

  • 서주희;이광희;김대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7-114
    • /
    • 2002
  • 연구목적은 자가부식 프라이머의 적용 시기에 따른 타액과 혈액 오염에 대한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유치 시편을 각각 10개씩 제작하여 대조군, 접착전 타액 오염, 접착제 중합후 타액 오염, 접착전 혈액 오염, 접착제 중합후 혈액 오염된 상황으로 2가지 종류의 자가부식 접착제와 복합레진을 적용하여 만능 물성 시험기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접착제 적용전 타액 오염(I군)시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결합력이 유사하거나 약간 감소되었으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접착후 타액 오염(II군)이나 접착 전후의 혈액 오염(III, IV군)시 유의하게 결합력이 감소하였다. (P<0.01). Clearfil SE Bond가 AQ Bond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 PDF

수 종의 복합레진 접착 시스템에서의 미세 누출의 비교 (COMPARISON OF MICROLEAKAGE WITH THREE DIFFERENT ADHESIVE SYSTEMS)

  • 석충기;남동우;남순현;김영진;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36-644
    • /
    • 2004
  • 최근 자가 부식형 접착 시스템이 개발되어 법랑질 및 상아질에 모두 적용할 수 있고, 임상적 술식을 단순화 시켰다. 이 접착 시스템은 적용하기 용이하고 임상적으로도 법랑질 및 상아질에 높은 결합강도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는 in vitro 상에서 복합레진 5급 와동의 법랑질 및 상아질 경계에서 전부식 처리를 동반한 one-bottle 접착시스템과 자가 부식형 접착 시스템을 사용하였을 때 미세 누출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교정적 목적으로 발치된 30개의 소구치를 무작위적으로 3개 군으로 나누었다; 1 군 (Single $Bond^{(R)}$ + Filtek $Z250^{(R)}$), 2 군 (Clearfil SE $Bond^{(R)}$ + Filtek $Z250^{(R)}$), 3 군 (Adper Prompt $L-Pop^{(R)}$ + Filtek $Z250^{(R)}$). 표준화된 5급 와동을 각 소구치 협면, 설면에서 백악-법랑경계에 평행하게 형성하였으며, 와동의 치은측 1/2은 백악법랑경계보다 1mm 치근단으로 연장하였다. 접착 시스템을 제조자의 지시대로 적용한 다음 복합레진을 충전하고 제조자의 지시대로 광중합하였다. 시편을 $37^{\circ}C$ 증류수에 5일 간 보관 후 $5^{\circ}C{\pm}2^{\circ}C$$55^{\circ}C{\pm}2^{\circ}$에서 1000회 열순환한 다음, 2% methylene blue 용액에 12시간 침잠시켰다. $Isomet^{TM}$ (Buehler Co., Lake Bluff, IL, USA)을 사용하여 치아를 충전물 중앙에서 종절단한 후 입체 현미 경하에서 25배의 배율로 색소 침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t-test 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dot}$ 실험에 사용 된 접착 시스템 중에 미세 누출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접착 시스템은 없었다. ${\cdot}$ 상아질 경계에서의 미세 누출이 법랑질 경계에서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001). ${\cdot}$ 법랑질 경계에서 자가 부식형 접착 시스템은 전부식 처리를 동반한 one-bottle접착 시스템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dot}$ 상아질 경계에서, 자가 부식형 접착 시스템은 전부식 처리를 동반한 one-bottle 접착 시스템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