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가관리프로그램

Search Result 26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당뇨병성 신증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관리와 자기효능감이 혈액투석 관련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Self Management and Self efficacy on Hemodialysis related Symptom of Diabetic Nephropathy Hemodialysis Patients)

  • 전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99-308
    • /
    • 2019
  • 본 연구는 당뇨병성 신증 혈액투석환자들의 자가관리와 자기효능감이 혈액투석 관련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3곳의 대학병원과 7곳의 개인병원에서 254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경제상태가 안정되고 당뇨합병증이 없을 경우, 자가관리와 투석 관련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환자의 혈액투석 관련 증상이 낮았다. 이에 경제적인 지원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당뇨합병증을 미리 예방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하며, 질병 특이적인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자가혈당측정 기반의 개별 맞춤형 프로그램이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환자의 건강행태와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 Individually Tailored Program Based on Self-Measurement of Blood Glucose on Health Behavior and HbA1c in Diabetes and Pre-diabetes Patients)

  • 김윤경;김보라;유은숙;윤서영;정미정;최지혜;최재순;성현진;강영숙;이민숙;황태윤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7권2호
    • /
    • pp.67-77
    • /
    • 2022
  • 본 연구는 2021년 1월에서 10월까지 경주고당센터에서 당뇨병 환자 57명과 당뇨병 전단계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가혈당측정 기반의 개별 맞춤형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가혈당측정 기반의 개별 맞춤형 프로그램은 12주 동안 2주 간격으로 7차 교육이 실시되도록 구성되었으며 1차와 7차 교육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육은 전화로 진행되었다. 교육내용은 자가혈당측정 및 활용, 올바른 약물복용법, 저혈당 예방과 대처법, 합병증예방과 관리, 당뇨식사관리, 식사일지작성, 식사유형분석 등을 포함하고, 교육시간은 대상자마다 상이하여 20분에서 1시간까지 소요되었다. 프로그램 동안 대상자들은 자가혈당 측정치를 '송아리당뇨' 앱에 기록하였고 담당간호사와 영양사는 기록된 혈당치를 근거로 개별 맞춤형 혈당관리방법을 교육하였다. 교육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사전, 사후 설문평가 및 당화혈색소 검사가 실시되었다. 당뇨병 지식(20점 만점)은 14.77점에서 15.41점으로, 건강행태(40점 만점)는 25.50점에서 28.40점으로, 자가혈당 측정경험(6점 만점)은 2.70점에서 4.81점으로 증가하였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당화혈색소는 1차 평가(n=67명)에서는 7.38%에서 6.73%로, 2차 평가(n=53명)에서는 7.27%에서 6.67%로 감소하였고, 체질량지수도 24.47kg/m2에서 24.01kg/m2로 감소하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사후 당화혈색소는 혈당측정치활용도(r=-0.415) 및 사후 건강행태(r=-0.313)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혈당측정치 활용도는 사후 건강행태(r=0.581) 및 사후 당뇨병 지식(r=0.493)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당뇨병 환자와 당뇨병 전단계 환자의 혈당관리에 효과적이며, 사후 당화혈색소는 혈당측정치 활용도와 관련성이 있으며 혈당측정치 활용도는 사후 건강행태와 관련성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자가혈당측정 기반의 개별 맞춤형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혈당관리에 효과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 B형간염 환자를 위한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gram to Promote Self Manage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 양진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58-26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o promote self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Methods: The research w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The participants were 61 patients, 29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2 in the control group. A pretest and 2 post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main variabl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elf-management program, consisting of counseling- centered activities in small groups, was given for 6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X^2$,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PASW statistics program.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knowledge, self-efficacy, active ways of coping, and self-management compliance but not in passive ways of cop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ver two different tim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elf-management program is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self-efficacy, active ways of coping, and self-management complianc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Therefore, it can be usefully utilized in the field of nursing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chronic hepatitis B.

병원급식소의 세정작업 위탁관리에 관한 비용효과 분석 연구 (A Cost-effectiveness Study for the Contract Management of the Hospital Foodservice Dishwashing Work)

  • 이진미;박정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9-34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급식소의 세정작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위탁 전과 후의 비용효과를 비교하고 자가운영과 위탁운영체제의 세정담당 종업원들의 직무만족도를 비교하여 그 비용효율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세정작업의 위탁관리로 다음과 같은 잇점을 기대할 수 있었다. 첫째, 호봉이 낮고 적은 수의 종업원 이용으로 인건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었으며, 둘째, 봉급에 관한 항목을 제외한 다른 항목에 관해서는 자가운영과 위탁운영 체제의 세정담당 종업원들의 직무만족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째, 작업일정이나 인사배치에 있어서의 용이함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 병원급식소의 위탁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지속적인 평가와 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표준화된 치위생학과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Standardized Oral Health Care Program by Dental Hygiene School Students)

  • 노희진;김미나;안용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87-294
    • /
    • 2012
  • 본 연구는 경기도지역 일개 치위생학과의 표준화된 계속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과 구강건강상태를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치면착색제를 이용하여 치면세균막 관리능력검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SAS 9.2(SAS Institute Inc., Cary, NC.USA)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학생의 인구사회경제적특성에 따른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과 구강건강상태 및 자가구강위생관리능력을 살펴본 결과 관련성이 검토되지 않았다. 2. 대상자의 인구사회경제적특성에 따른 구강보건행태 중 하루 칫솔질 횟수는 가정의 월수입과 의미있는 관련성이 검토되었다(p<.05). 3. 구강보건행동은 대상자의 DMFT, 보조구강위생용품의 사용과 의미있는 관령성이 검토되었다(p<.05). 4. 표준화된 계속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교양수업으로 구강건강관련 교육을 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모두에서 구강보건지식, 행동, 태도와 자가구강위생관리능력의 긍정적 변화가 유도되었다(p<.05).

강릉시 일부 노인의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 형태별 운영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ects according to Type of Oral Exercise Program for Elderly in Gangneung City)

  • 이수향;유진아;유하은;이진희;신선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24-431
    • /
    • 2016
  • 본 연구는 구강체조와 구강근육마사지를 접목한 구강근육운동을 매뉴얼화하여 운영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의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방식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자가 실천 프로그램을 적용한 한울노인대학 노인 14명과 전문가 개입 프로그램을 적용한 강릉종합사회복지관 이용 노인 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문가 개입 집단에서 프로그램 운영 후 타액분비율이 증가하고, 주관적 구강건조증의 완화되었으나, 자가 실천 집단은 주관적 구강건조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집단에 대하여 프로그램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자가 실천 집단이 전문가 개입 집단보다 프로그램 내용, 방법, 자신의 구강 건강관리 도움, 계속 참여 의향, 타인에게 권유의향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대체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연구기간 중 대상자 모집의 한계로 표본수가 적고, 개입기간이 짧았던 한계가 있으나 본연구를 통해 구강체조와 구강근육마사지의 복합적 적용인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노인의 자발적 구강건강 행동 유지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일정 정도의 전문가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의 특성에 따라서 자가실천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과 전문가 개입 프로그램 적용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데 의의가 있다. 노인의 구강건강유지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구강건강증진사업을 전개할 때 효과적인 구강체조뿐 아니라 구강근육마사지가 접목된 구강운동 프로그램의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물질사용장애(SUD) 회복을 위한 웹-기반 라이프스타일 균형 모델(LBM)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Web-Based Lifestyle Balance Model(LBM) Program for Recovery from Substance Use Disorders(SUD))

  • 장세은;김나미;김관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73-274
    • /
    • 2019
  • 최근에는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의료계에 소개되고 있다. 중독 과학 분야 또한 기술 혁신을 통해 중독 예방 관리 및 치료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중독 회복에 있어 일상적인 환경에서의 적절한 치료개입과 장기적 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널리 알려졌으나 낙인, 노출, 비용에 대한 우려로 정신의료서비스의 이용률이 저조했다. 따라서 중독 치료를 통해 전인적 성장을 돕는 자가 관리 체계가 있다면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는 Davies(2015)의 라이프스타일 균형 모델(LBM)을 바탕으로 영국에서 개발된 웹기반 SUD 회복 프로그램인 Breaking Free Online(BFO)을 소개하고 향후 국내에서 적용 가능한 SUD의 치료적 개입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미용전공과 비전공 여대생의 모발영양지식, 모발상태, 모발행동에 관한연구 (A Study on Hair Condition Hair Control and Nutrition Knowledge of Hair and Beauty Care Major and Non-major Female Students)

  • 노영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92-596
    • /
    • 1999
  • 본 연구는 피부미용전공과 비전공여대생의 모발영양지식을 파악하고 모발영양에 관한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과 수강하지 않은 대상자들간의 모발상태 모발행동 등을 연구하고자 청주에 있는 피부미용과 여대생 146명과 비전공여대생 145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발영양지식은 전공여대생이 비전공여대생에 비해 훨씬 높았고 모발의 진단을 받아본 경험도 전공대상자가 높았다 그러나 모발상태 손상원인 모발에 관한 걱\ulcorner은 두 그룹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모발관리도 전공대상자가 비전공대상자 보다 많이 하고 있었고 모발손질 횟수도 전공대상자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미용실 출입횟수는 2-3달에 한번이 가장높았고 그룹간에 차이는 없었다. 1회 머리손질 비용도 전공대상자가 비전공대상자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고 샴푸의 선택기준은 두 그룹 모두 샴푸의 질과 본인 모발의 상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피부미용전공여대생은 모발영양과 모발 관리학 등에 관한 수업을 받았기 때문에 모발영양 지식이 많이 모발행동이 더 바람직하였고 모발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모발에 관한 교육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모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비전공여대생들에게도 모발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

자가관리프로그램이 슬관절염환자의 신체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Self-Management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 천의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14-525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elf-management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knee osteoarthritis. Method: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ho had knee osteoarthritis, were recruited from an arthritis clinic,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 city, Korea between February 16, 2004 and June IS, 2004. Seventeen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intervention and 18 subjects in for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 individual Self-management program. The self-management program consisted of dietary education and home-based exercise; walking and resistance exercise. The subjects performed this program 5 times per week during 8 weeks and recorded a diary for diet and exercis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Self-management program,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as a dependent variable were measured at three points in time: before, week4 and week8 after the interventions.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on physical function (F=5.08, p=.002)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F=7.42, p=.002) in the intervention group over the three measurement points in tim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on quality of life (F=8.08, p=.002)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F=4.89, p=.016) in the intervention group over the three measurement points in time.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a Self-management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 for women with knee osteoarthritis.

재가 갑상선암 환자를 위한 지역암센터 자가관리프로그램 중재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Self-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s at Thyroid Cancer-Diagnosis Stage : a Pilot Study)

  • 유혜라;부선주;전미선;조은미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82-59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self-management program o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particularly during the time of waiting for surgery after cancer diagnosis. Psychological distress, biological responses of immune cell counts, and quality of life were the variables of this study. Methods: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with the nature of a pilot study. Ten newly diagnosed thyroid cancer patients were recruited through physicians' referrals. After drop out of 4 participants, f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participants. Small group technique, a one and half hour-session per week for one month (total 4 sessions, 6 hours) was used. Relaxation techniques, meditation training, and strategies to reduce distress were provided by researchers. Standardized questionnaires and an established bio-assay were used for collection of data. Results: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lowering of psychological distress (p<.05) and improvement in global quality of life (p<.05). Biological responses of immune cell count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self-management program may reduce psychological distres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between the time of diagnosis and surgery. The self-management program would be a valuable approach for patients with an unexpected cancer diagnosis to prepare for their disease experience in a community se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