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입지이동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Implementation of GIS Network Analysis System for Resource Allocation and Locating Facilities (자원 할당 및 입지 설정을 위한 GIS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의 구현)

  • 우성호;양성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44-146
    • /
    • 1998
  •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의 네트워크는 실세계의 도로망, 전기망, 상하수도관 등을 표현한다.[4] 우리는 네트워크 분석 기능 중 자원 할당과 입지설정과 관련된 기능들의 Gothic 시스템에서 구현하였다. 자원 할당 문제는 네트워크 상에 자원을 공급하는 공급지와 자원이 이동하는 경로, 그리고 자원의 수요지가 존재할 때, 공급지의 자원 공급 능력과, 자원의 이동 비용, 그리고 자원의 수요량과의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자원이 할당되는 지역을 설정해 주는 문제이다. 입지 설정 문제는 자원을 공급하는 서비스 센터의 위치를 결정해 준다. 센터의 위치는 인구로 대표되는 소비자의 분포와 이동 비용에 의해 결정된다. 입지 설정은 어떤 지점의 인구 밀집도를 분석해 주는 포텐셜(potential) 함수[3]와, 소비자들의 이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센터의 위치를 설정해 주는 두 기능으로 구성된다. 센터의 위치를 설정해 주는 문제는 높은 계산 량을 요구하므로, 본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연산의 양을 줄이는 Approximation 기법을 사용하였다.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distance decay for the relocated firms using distance-decay function by industrial typ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거리조락함수를 이용한 수도권 지역간 기업이동 거리감쇄효과 실증 연구)

  • An, Youngsoo;Lee, Seungil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1 no.2
    • /
    • pp.47-6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distance-decay for the relocated firm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MA).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structed distance-decay function for the relocated firms by industrial types using a general distance-decay function. The data of relocated firms in the SMA extracted from the spatial database which was constructed in an previous research. The industrial type divided into 3 parts which are construction, manufacturing, and service.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by each industrial type of the effect of distance-decay, the explanatory power($R^2$) of the each function were all high. In the construction, the adjusted $R^2$ of the distance-decay function was 0.728, the manufacturing was 0.802 and the service was 0.812. It means the effect of distance decay for the relocated firms in construction industrial type more big than the effects of distance decay for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al types.

An Analysis of Firm Relocation into or out of Busan Metropolitan Region and De-industrialization (부산지역 전출입 기업의 재입지 특성과 산업공동화에 관한 연구)

  • Kwon, O-Hyeok;Choi, Hong-Bong;Kim, Eun-You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3
    • /
    • pp.412-42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relocation into or out of Busan Region. Especially, it analyses the relation between relocated regions, firms' sizes and industrial sectors of the relocated firms systematically. For this, examinations of former studies about firm relocations, forming of analytical framework for systematic investigation were done. In short, this analysis figures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rms' characteristics and relocations.

  • PDF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Loca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case of Kumchon Gu - Office in Seoul (GIS 기법을 이용한 공공 시설 입지분석 및 타당성 검토)

  • 장훈;허준;김민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81-387
    • /
    • 2004
  • 도시주민들은 경제, 문화생활 및 의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보다 다양하고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다. 주민들의 이러한 요구는 공공서비스 시설의 입지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 도시의 입지결정 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중의 하나는 공공서비스를 보다 저렴하고 편리하게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이용주민들의 복지를 극대화 시켜야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공공시설의 위치결정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접근성 이론과 GIS 공간분석 기법을 접목하여 입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도별 최적입지를 산출하고, 각 구청의 연도별 최적 입지점의 지도화를 통해 그들의 이동 추이를 추적하며 각 구청의 연도별 최적값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연도별 현구청의 입지 혹은 이전할 입지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서 입지분석을 위한 이론적 검토로서 공공서비스 시설의 입지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구청사의 입지 적정성을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평가할 수 있는 계량적인 입지분석 방법을 검토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근거를 실제 공공시설적용을 위하여 금천구를 선정하였고, 구청의 도시현황을 분석하고, 도로망, 인구추정을 통하여 관련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성적, 정량적 분석 및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하여 구청사 위치의 적정성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Business relocation grant policies and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relocations to non-Seoul metropolitan areas (기업의 지방 이전 보조금 지원 제도와 관련한 수도권 제조업체의 비수도권 이동 확률 변화 분석)

  • Yi, Yoojin;Kim, Euijune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3 no.3
    • /
    • pp.61-78
    • /
    • 2017
  • Among several policies for industrial decentralization introduced since the 1960s, business relocation grant policies put a heavy financial burden o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in the likelihood of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relocation to the non-SMA associate with the change in business relocation grant policies. Using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survey data from 1996 to 2014, manufacturing firms' relocation decision model in nested logit structure was estimated. The data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movements from the SMA to the non-SMA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grant policies. However, estimation results of firms' relocation decision model indicated that the likelihood of firms relocating from the SMA to the non-SMA de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grant policies. In particular, firms' likelihood to move into the rural regions is even lower in the period of the grant extension. This suggests that increasing rate of relocations toward the rural regions may have been driven by the growing advantage of rural locations, such as low land rent and improvement in market accessibility, rather than the grants per se. This implies that the alleviation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of the rural regions and the creation of business friendly environment such as easy access to premises at reasonable prices and strengthened linkage with the SMA, rather than simple provision of business relocation grants, needed to attract businesses in the rural regions.

The Location Patterns of Retail Services and the Consumer Behaviors in Jeju Island (소매 유통업체의 입지적 특성과 소비자 이동 행태에 대한 분석: 제주도 서귀포시를 사례로)

  • 현기순;이금숙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1
    • /
    • pp.97-11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pattern of retail services and the consumer behaviors. For the purpose we select Jeju Island as the study area, because it retains relatively little distorted retail service systems by it's locational isolation. The retail service systems comprise three types: large-scale modern marts, conventional markets, and periodic market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se three different types, of retail services, and to figure o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 behaviors for each of them. We performed questionnaire surveys for getting the data of consumer behaviors. We applied several statistical methods to analyze the survey data. Most of retail services are located in two urban centers, Jeju City and Seoguipo City. We found that the locations of retail services are determined strongly by population size. The selection of market type and the location to go for shopping are related strongly with the types of goods. However, there is a wide difference in the consumer behaviors according to the consumer'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Young wives tend to go shopping to large-scale marts in Jeju City which is the higher level central place, while old wives go shopping to conventional markets and periodic markets. They also show different shopp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household income levels. Low income groups prefer to go conventional markets located near to their residence, middle income groups go to large-scale marts in Jeju, and high income group go out of the Jeju Island. However, the consumer behavior does not show big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family. There are also no difference in the selection for shopping location according to the consumer's resident locations.

  • PDF

Analysis on Determinants of Residential Location Choice for the Intra-Urban Migr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 주거 이동 가구의 주거입지 선택 요인 분석)

  • Jun, Myung-Jin;Kang, Do-Gyu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2 no.1
    • /
    • pp.83-10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location choice for the inter-urban migr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doing so, we have built a discrete choice model, using household sample data from the 2010 Kore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We classified households, which made a intra-urban movement during the last five years, into four groups: 1) movers from Seoul (central city) to Gyunggi-Incheon (suburban), 2) movers from Gyunggi-Incheon to Seoul, 3) Intra-Seoul movers, and 4) intra-Gyunggi-Incheon movers. The analysis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location choice were found among different types of movers. Second, movers from Gyunggi- Incheon to Seoul were likely to choose small housings with fewer rooms, indicating that their housing choices were forced rather than voluntary due to high housing prices in Seoul. Third, all types of movers have a high preference for the neighborhood with a good accessibility by public transit including subway. Lastly, neighborhood amenity was also an important attracting factors for the intra-urban migrants in Seoul.

Chang in the Small Boat Building Industry: the Case of the Lake Washington Ship Canal (소규모 boat공업의 입지에 관한 연구 : Seattle 의 Washington 운하지역의 경우)

  • Lim, Yeong D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24
    • /
    • pp.1-18
    • /
    • 1981
  • 본 연구는 미국에서 boat공업의 중심지 중의 하나인 Seattle의 boat 공업의 입지와 그 변화를 고찰하므로서 소기업의 입지를 구명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Seattle에서 소규모 boat제조업체가 가장 많이 집중한 Washington호와 Shilshole 만간의 운하지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려 이 지역내에 입지하고 있는 boat 제조업체의 기업주와 interview한 결과를 기본자료로 이용하였다.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지역의 소규모 boat 공업은 boat제조에 흥미와 능력을 가진 기업가들이 boat 공업에 유리한 Seattle의 환경의 영향을 받아 그들의 기업을 그들의 오랜 거주 지역에서 시작하므로서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담수를 지향하는 이 공업의 입지상의 특색, 원료공급처와 제품판매처의 위치, 주위의 지형 그리고 지방정부의 정책에 기인하여 이 공업은 Chittenden Locks와 Portage 만간의 운하지역에 그 입지가 국한되었다. 다시 이 지역내에서는 주위의 지형과 토지이용, 기업의 재정적인 능력 때문에 이 운하지역에 연해있는 기존공장 혹은 건물을 이용하여 입지하게 되었다. 입지후에 이 공업은 원료공급처와 제품판매처와의 강한 linkage를 형성하고 있다. 더구나 원료공급처의 희소성에 기인한 공간적 독점과 소비자 및 제품의 특성 때문에 연구지역의 대부분의 소규모 boat 제조업체는 바로 근처에 있는 원료공급처 및 소비자와 긴밀한 contact를 하고 있고 이러한 contact를 통하여 그들의 입지를 존속시키고 있다. 한편 Seattle 이 가지고 있는 boat 공업에 유리한 기업환경의 덕택으로 이들 소규모 boat 제조업체들은 수요의 계절적인 변동에서 초래되는 노동력의 공급 때문에 곤란을 받을 뿐 장기적인 불황에 직면한 적은 없다. 이리하여 이들 업체들은 이러한 계절적인 변동에 대처하기 위해 생산 input 의 조절, 주위의 기존공장이나 건물의 병합을 통한 연속적인 확장 혹은 그들의 action space 내에 있는 기존공장이나 건물을 이용한 이동등과 같은 입지변화를 보여왔을 뿐이다. 이리하여 연구지역의 소규모 boat공업은 Seattle의 경제 system 내의 주요 subsystem의 하나로서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그러나 만약 기업의 외부환경에서 초래되는 stress, 즉 주민의 소득저하, 타 recreation 산업이 쇠퇴하게 되면 이 공업 또한 쇠퇴될 것이다. 요컨대 담수 지향성과 관련된 입지상의 특색을 제외하고는 연구지역의 소규모 boat 공업은 타 소규모 공업과 동일한 입지상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 PDF

Changes in National-Level Locational Pattern of Professional Sports Franchises in the U.S. during 1950-2001 : Focusing on Four Major Sports Leagues (미국 프로스포츠 프랜차이즈의 입지패턴과 그 변화양상(1950-2001))

  • Pillsung Byun;Ahn, Yo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5
    • /
    • pp.498-510
    • /
    • 2002
  •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wo focuses to analyze the changes in national-level locational pattern of the U.S. professional sports franchises during 1950-2001. The first is to empirically clarify spatial orientation in the changing locational pattern of sports franchises. The second is to identify compared characteristics of the relocation cases reflecting the orientation to other cases, for the variables indicative of franchises' and leagues' pursuits of their relocation-related interests ultimately affecting franchises' relocations, by employing a legit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es, sports franchises and leagues, respectively have shown spatial orientation toward relocating to and toward locating new franchises in southern and western areas, responding to the changes in U.S. urbanization pattern. And, relocation cases reflecting the orientation have displayed a feature of the higher annual population growth rate in destination urban area than in origin area, in comparison to other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