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입원치료

Search Result 1,45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uration of Abstinence after Discharge from Alcoholism Inpatient Treatment - Comparing Voluntarily vs. Involuntarily Admitted Patients - (알코올중독자의 입원동의 여부에 따른 퇴원후 단주기간에 관한 연구)

  • Rhee, Chaie-W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no.39
    • /
    • pp.57-81
    • /
    • 2008
  • Motivation has been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predicting long-term outcomes of alcohol abuse treatment. Whether a patient agreed on his/her inpatient treatment at time of hospitalization could be an indicator of their motivation for treatment. This study focused on this aspect of treatment motivation and examined whether this factor predicts post-discharge abstinence. A sample of 145 individuals who were hospitalized for alcohol abuse treatment participated in the baseline data collection, of which only 66 successfully completed the 8 month follow-up telephone interview. The findings of survival analysis suggest that voluntarily admitted individuals had significantly longer duration of post-discharge abstinence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A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revealed that voluntary admission and family suppor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post-discharge relapse of drinking,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marital status, living alone, and working statu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re discussed.

CLINICAL STUDY OF SUDDEN DEAFNESS (돌발성 난청에 관한 임상적 고찰)

  • 이철희;전종범;홍석찬;장선오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5.2-6
    • /
    • 1987
  • 저자들은 1978년부터 1986년까지 서울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했던 원인불명의 돌발성 난청환자 중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60예에 대한 임상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0명의 환자중 45예가 입원 치료를 받았고 15예는 외래환자로 성별은 남자 36명. 여자 24명이었고 연령분포는 10대에서 50대에 걸쳐 널리 분포되었다. 2) 발생시기는 아침 기상시가 많았고 양측성인 경우는 4 예 있었다. 3) 동반증상은 이명, 이충만감, 현기증의 순으로 많았고 상기도염은 14예에서 있었다. 4) 입원치료는 prednisolone 경구투여와 저분자 dextran을 정맥주사하였고, 이중 25예는 histamine정맥주사나 heparin 피하주사를 추가로 겸용 치료하였다. 5) 청력회복의 결과는 Siegel의 분류방법을 따랐고, 입원 치료한 경우 완전회복이 6예, 부분회복이 8예, 경도호전이 9예로 23예(51.1%)에서 청력 호전이 있었다. Histamine과 heparin의 사용은 청력회복 결과를 높이지 못하였다. 외래환자의 경우는 입원치료군과 비교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15예중 6예(40%) 에서 청력 호전이 있어서 입원 치료군이 좋은 성적을 보였다. 6) 치료의 예후에 관련된 요인으로 발병후 1주내에 치료를 시작한 경우 결과가 좋았다. 완전회복이 된 6예중 5예가 1주 내에 치료를 시작한 것이었다. 현훈이 동반된 경우는 현훈이 없는 경우보다 예후가 나빴다. 청력상이 하강형인 경우는 상승형이나 편평형보다 결과가 좋지 않았으며 내원시 고도의 심한 난청을 보인 경우는 청력회복이 거의 없었다.

  • PDF

PROGNOSIS OF TREATED IN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S USING A STRUCTURED TELEPHONE FOLLOW-UP INTERVIEW (구조화 전화추적 면담을 이용한 품행장애 입원 치료 환자의 예후)

  • Chae, Jeong-Ho;Moon, Seok-Woo;Lee, Eun-Hoi;Hahm, Woong;Bang, Yang-We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1 no.2
    • /
    • pp.231-239
    • /
    • 2000
  • Objectives:The major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outcome of psychiatric treatment in in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 and to elucidate factors affecting its prognosis. Methods: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00 in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 who had been treated with a specialized adolescent treatment program. Follow-up structured telephone interview had been performed in 96 patients. Results:1) At the point of follow-up, 90% of the patients were improved in behavioral patterns, 2% of the patients were worse, and 8% of the patients were unchanged. 2) Intrafamilial relationship was improved in 70% of the patients, worse in 2%, and unchanged in 28%. 3) Fifty-seven percent of families thought to be helped by psychiatric inpatient treatment, 6% replied to be harmed, and 37% thought not to be helpful. 4) Comparing the good prognosis group who were all better in behavioral patterns, intrafamilial relationship, and efficacy of treatment with the rest of subjects, the good prognosis group was significantly younger and had more history of problems in familial structure. Conclusion:Although the present study had some meterological limits, the promising positive results in the outcome of in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 encourages further more sophisticated investigations in this problematic psychiatric conditions.

  • PDF

Comparison of Rehospitalization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in Normal and Low Birth Weight Infants Discharged from NICU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퇴원한 정상 체중아와 저출생 체중아의 재입원에 관한 비교)

  • Min, Sae Ah;Jeon, Myung Won;Yu, Sun Hee;Lee, Oh Ky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5 no.12
    • /
    • pp.1503-1511
    • /
    • 2002
  • Purpose : Although the short- and long-term outcomes of low birth weight(LBW)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survivor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much less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normal birth weight(NBW) infants(greater than 2,500 gm) who require NICU care. Methods : We retrospectively examined the neonatal hospitalizations and one year health status of 302 NBW and 131 LBW admissions to our NICU. Information on the neonatal hospitalization was obtained from a review of medical records. Postdischarge health status was collected by using telephone surveys and medical records. Results : After initial discharge, 21.2% of the NBW infants and 23% of the LBW infants required rehospitalization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asons for rehospitalization of the NBW infants included respiratory disorders (32.1%), G-I problems(26.2%), genitourinary problems(11.9%), surgery(10.7%), cardiac problems(7.1%), and congenital/developmental problems(1.2%). For the LBW infants, the order of frequency was the same, with the percentages slightly different. Neonatal risk factors related to the rehospitalization of the NBW infants included mechanical ventilation,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congenital anomaly. But no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of neonatal risk factors with rehospitalization of LBW infants was found. Conclusion : Low and normal birthweight NICU survivors were rehospitalized at similar rates. The most common cause of rehospitalization was respiratory problems. Neonatal risk factors related to rehospitalization of NBW infants were mechanical ventilation,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congenital anomaly. However, no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of neonatal risk factors with rehospitalization of LBW infants was found. The data suggests that NBW infant survivors, as well as LBW infant NICU survivors, require close follow up.

Comparison of Ambulatory Care with Hospitalization for a Severe Atopic Dermatitis Patient (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외래치료와 입원치료 비교)

  • Yu, Seung-Min;Yun, Young-Hee;Son, Byeong-Kook;Choi, In-Hwa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
    • v.22 no.3
    • /
    • pp.178-187
    • /
    • 2009
  • Background : Atopic dermatitis is chronic exzemaous dermatitis and the recurrence rate of atopic dermatitis is high. Many patients are suffering from pruritus. Objective : This study compared ambulatory care with hospitalization for atopic dermatitis treatment of one patient,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iental medicine program for atopic dermatitis patients during short term hospitalization. Method : We treated a 5 year-old boy with uncontrollable atopic dermatitis by ambulatory care and hospitalizaion. Herbal medication and herbal dressing was done samely during ambulatory care and hospitalization. Intensive life management, education for compliance was done only during hospitalization. Results : Even though he had been treated for 5 months by ambulatory care, he still suffered from severe itching, erythema, oozing and insomnia. Admission duration was 10 days. During admission, the SCORAD scores and subjective scores were decreased rapidly.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effects of the treatments can be different due to compliance of the patient and in that view the short term hospitalization program could be more helpful than ambulatory care for uncontrollable atopic dermatitis patients.

  • PDF

Clinical Study on 16 Conservatively Treated Acute Compression Fracture Patients with Focus on Compression Ratio (급성 흉요추부 압박골절 환자 16례의 보존 치료에 따른 Compression Ratio에 중점을 둔 임상 고찰)

  • Joh, Byung-Jin;Koh, Pil-Seong;Yi, Won-Il;Baek, Yong-Hyeon;Nam, Tong-Hyun;Park, Dong-Suk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6 no.4
    • /
    • pp.1-9
    • /
    • 2009
  • 목적 : 한양방 협진을 통한 보존적 입원 치료를 받은 급성 흉요추 압박골절 환자군에서의 압박골절 compression ratio의 급성기 내의 변화를 기록 분석하여 차후 환자군의 예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방법 : 한양방 협진병원 척추센터에 입원하여 보존치료를 시행한 발병 2주 내의 압박골절 환자 중 2회 이상의 시점에서 압박골절 부위의 측면 X-ray 영상이 있는 환자 16명의 기록을 수집하였다. X-ray상 급성 압박골절이 발생한 추체(n=19)의 anterior wall과 posterior wall의 높이를 입원 1주차, 입원 2주차, 입원 3주차와 최종 영상 확보 시점의 X-ray에서 측정해 wedge fracture에 해당하는 anterior column fracture가 있는 추체(n=14)에 한해 anterior height/posterior height의 공식을 통해 compression ratio를 산출하였다. 2차적 지표로 입원 1주차에서 입원 3주차까지 환자의 VAS(visual analog scale) 통증 척도 점수를 분석하였다. 그 외 연령, 성별, 입원 기간, 총 치료기간, 당뇨, 골다공증, 골밀도, 압박골절 기왕력, 압박골절의 형태의 빈도와 비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전방 골주 단독 골절에서의 compression ratio는 입원 1주차에서 3주차, 그리고 최종 영상 확보시점까지 각각 20.92${\pm}$10.42, 25.22${\pm}$10.90, 25.57${\pm}$11.04, 25.07${\pm}$11.94로 기록되었다. 시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compression ratio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통증 VAS 점수 평균은 입원 1주차부터 3주차까지 각각 7.44${\pm}$2.07, 4.67${\pm}$1.63, 3.00${\pm}$1.80으로 기록되었다. 시점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1주차-2주차 p=.003, 1주차-3주차 p<.000 2주차-3주차 p=0.021). 결론 : 본 연구의 협진 입원치료 압박골절의 compression ratio는 입원 1주차 시점에서 최종 follow-up 시점까지 유의한 차이를 보일 만큼의 추가적인 추체 높이 감소를 보이지 않아 향후 좋은 예후를 예상할 수 있다. 통증 VAS 점수는 모든 주별 시점간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 PDF

Association of Nutritional Status with Clinical Outcome of Stomach Cancer Patients (위암환자의 입원초기 영양상태와 치료효과와의 관련성)

  • Kim, Young-Ok;Han, B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6
    • /
    • pp.1185-1189
    • /
    • 2000
  • 본 연구는 입원한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영양불량의 정도를 중심으로 영양위험의 정도를 추정하며, 이러한 환자들의 초기 영양상태와 치료결과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병원에 입원한 209명의 위암환자였다. 영양불량은 표준체중백분율, 혈청알부민, 총임파구(TLC)로 판정하였으며, 치료결과는 합병증유무, 퇴원시 상태, 사망 등 세가지 관점에서 측정하였다. 표준체중백분율, 혈청 알부민, 총임파구수를 기준으로 영양상태를 보았을 때 비위험군은 39.7%였고, 위험군 I은 41.6%, 영양불량이 심한 위험군 II는 18.7%로, 환자의 60.3%가 영양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위암환자 입원초기의 영양불량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결괴 퇴원시 상태가 "좋은"이 95.7%, 나쁨이 "4.3%"였으며, 사망환자는 6.8%, 합병증은 20.1%발생하였다. 또한 초기영양상태와 합병증과의 관련성은 높은 변수군 분류의 적절성(p<0.03)을 보여주고 있으며, 초기영양상태와 퇴원시의 치료상태에서도 높은 변수군 분류의 적절성(p<0.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초기 영양상태와 사망과의 관련성 검토 결과 초기영양상태가 불량한 경우 사망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위암 환자의 초기 영양상태는 환자의 치료결과와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는 갑상선암 환자의 만족도 개선 연구

  • Pyo, Seong-Jae;Kim, Bong-Su;Jo, Yong-Gwi;Sin, Chae-Ho;Kim, Chang-Ho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 /
    • v.12 no.1
    • /
    • pp.130-136
    • /
    • 2008
  • 목적: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는 많은 환자들이 장기간의 전처치와 격리 입원 동안에 신체적 불편함을 호소하므로 이를 줄여주기 위하여 첫째, 방사성옥소 치료 전 환자들이 저옥소식을 잘 지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둘째, 4일간의 격리입원기간 동안 심리적 어려움과 신체 적불편함을 줄여줌으로써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자들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환자들의 불편함을 파악하였다. 2. 방사성옥소 치료를 위해 입원한 환자 36명에게 입원 기간 동안 느낀 점을 기록하게 하고 이를 조사하였다. 3. 환자 퇴원시에 치료과정에 대한 만족도 설문을 문제점 개선 전 33명, 개선 후 22명에게 조사하였다. 결과: 문제점과 개선안을 도출하였으며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개선활동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만족도 설문을 조사하였으며 개선 전 후를 비교하였다. 문제점으로 1) 저옥소식: 맛이 없다, 반찬 가려 먹기가 어렵다. 2) 치료병실 생활: 속이 메스꺼워 음식 섭취가 곤란하다, 병실이 춥다. 3) 호르몬제 투여중지: 전신이 나른하다, 몸이 붓는다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활동은 1) 입원 전 예약 시에 음식조절(저옥소식)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하였다. 2) 타부서와의 협의-협조사항(치료병실의 청결유지와 쾌적한 병실을 만들기 위해 16층 병동과 협의, 저옥소식 영양상담을 치료 과정중에 넣기 위해 영양과와 협의, 온열매트리스 설치와 보온이불 구입을 위해 시설팀과 협의 등)을 해결하려 노력했다. 3) 전반적인 개선활동(방사성옥소를 차질없이 구입, 치료병실의 치료 전 후 방사능오염 방지,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 해소 등)을 하였다. 환자의 만족도 설문에 대한 개선 활동 전 후 비교 결과에서 '치료과정 전체에 대해 힘들었다'는 개선 전 후에 각각 80.6%, 81.8%로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문제점으로 도출된 '저옥소식이 힘들었다'는 개선 전 후에 각각 24.1%, 27.8%로 역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병실생활이 힘들었다'는 개선 전 후에 각각 48.3%, 72.2%로 큰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호르몬 투여중지로 인해 힘들었다'는 개선 전 후에 각각 27.6%, 0%로 큰 차이를 보였다. 고찰 및 결론: 환자들의 불편함을 줄여주기 위하여 연구자들의 개선활동이 있었고 그 중에서 입원병실의 생활환경이 특히 향상되었다. 그러나 결과에서 '병실생활이 힘들었다'에 대한 답의 비율은 오히려 더 높아졌다. 이는 '호르몬 투여 중지로 힘들었다'로 답하는 환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줄었기 때문에 높아진 것으로 생각되었다. 방사성옥소 치료로 인해 생길 수밖에 없는 신체적 반응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들은 항상 힘들었다고 할 것이다. 만족도 개선 활동으로 환자의 힘든 치료과정을 완전히 해소시켜 줄 수는 없었으나 환자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으며 좀 더 향상된 치료환경을 제공하는 기회가 되었다.

  • PDF

Diabetes Guide - 당뇨병 환자가 입원 치료 필요할 때

  • 사단법인한국당뇨협회
    • The Monthly Diabetes
    • /
    • s.239
    • /
    • pp.59-61
    • /
    • 2009
  • 미국의 사례에서 보면 전체 입원환자 중 약 7.2% 이상이 당뇨병환자이고, 이것은 비당뇨인에 비해 2.4배의 입원율에 해당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사정은 비슷해 보통 1000병상에 당뇨병환자가 130명꼴에 달할 정도로 적지 않은 수를 보이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당뇨병환자라면 아무 증상이 없고 불편이 없어도 혈당이 높다고 입원을 권하곤 하는데, 그 내막을 알아보자.

  • PDF

Frequency of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and Relevant Medical Treatment in a Tertiary Care Hospital in Korea (3차 의료기관에서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arrhea의 발생빈도 및 치료에 관한 연구)

  • Kang, Hye-Kyung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21 no.3
    • /
    • pp.228-236
    • /
    • 2011
  • 배경: 약물로 인한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CDAD)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항생제와 프로톤 펌프 억제제 소모량을 고려할 때 질환 치료과정에서의 CDAD 발생빈도 및 CDAD 유발 이전에 투여한 약물의 사용빈도와 CDAD의 치료방법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 방법: 경상대학교 병원에서 2011년 1월부터 6월까지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대변 독소 검사에 의해 CDAD로 판명된 환자의 성별, 연령분포, 질환명, 입원병동, 재발률을 조사하였으며 CDAD 판명이전에 투여한 약제 및 CDAD 판명후 치료약제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동안 CDAD 대변 독소 검사 의뢰된 환자수는 1,500명이었으며 CDAD 양성은 111명(9.3%)이었고, 재발은 29명(26.1%)이었다. CDAD를 주소로 입원한 환자는 17명 (15.3%)이었고, 나머지는 입원기간 중에 발생하였다. CDAD 양성인 환자의 연령대는 60대에서 32.4% (36/111명) 이었고, 내과병동에서 34.2%를 나타내었고, 재발률은 외과계 병동에서 4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DAD 환자의 17% (19/111명)은 항암제 투여 동안 발생하였으며 CDAD 발생 전 사용약물로는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가 162회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 되었으며, 히스타민2 수용체길항제 107회, 스테로이드 82회, 비 스테로이드 항염제 79회, 프로톤 펌프 억제제 77회, 하제 59회, 항암제가 33회 처방되었다. CDAD 치료약제로는 8종의 약제가 241회 처방 되었으며 metronidazole이 99회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고, vancomycin이 37회로 나타났다. 결론: 입원환자에 있어서 CDAD양성은 특히 고령의 암환자가 많아 항암제 투여 시에는 CDAD 발생에 주의해야 할것으로 보인다. CDAD의 치료약제로는 metronidazole이 vancomycin 보다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