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입원생활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5초

경기도 S시 노인의 신체적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근거한 장기요양시설 보호대상자 추계 (Estimation of Elderly Needing Long-term Care in S-city Gyeonggi-do according to ADL and IADL)

  • 이후연;김서아;이혜진;정상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2호
    • /
    • pp.237-247
    • /
    • 2004
  • 이 연구는 경기도 S시 노인의 신체적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장기요양보호 대상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S시의 장기요양시설의 필요 병상 및 규모를 추계하기 위한 연구이다. 장기요양시설의 필요 조사는 경기도 S시 각 동별 65세 이상 노인의 2.7%를 층화 무작위 추출을 이용하여. 최종 39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장기요양시설의 필요는 신체적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이용하여 장애정도를 평가하는 OECD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기준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OECD의 기준에 의하면 정기요양시설 입원 대상자수기 4,716명(31.2%)이었고, 보건사회연구원 기준에 의하면 1.739명(11.5%)이었다. 따라서 S시에 필요한 장기요양시설은 1,739병상에서 4,716병상이었다 이 연구는 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필요를 추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장기요양시설의 규모를 추계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 PDF

스마트 홈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art Home 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Wheelchair Users)

  • 우지희;김정현;김종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42-248
    • /
    • 2019
  • 본 연구는 Electronic Control Unit (EC)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홈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국립재활원 재활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에서 지역 사회 복귀와 집으로 퇴원을 계획하는 대상자 중에서 스마트 홈을 경험하기를 원하는 사람을 연구에 포함하였다. 15명의 참여자 중 척수손상장애인은 10명, 나머지 5명은 뇌병변 장애인이었다. 스마트 홈은 ECU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가구 및 기반 제품들의 전동화, 기반 시설들의 자동화 그리고 제품과 시설들을 통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와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휠체어 사용자의 일상생활 수행도와 만족도는 캐나다 작업수행평가에 의해 평가되었다. 스마트 홈에서 거주해본 결과 거실과 현관, 침실, 기타(환경적요소) 부분에서 일상생활의 수행도가 3점 이상의 평균값 차이를 보였다. 공간별 수행도 비교 결과, 현재 주거 공간에 비해 스마트 홈 주거 공간별 수행도가 모두 유의미한 차이(p<0.05)로 향상되었다. 만족도 역시, 거실과 현관, 침실, 주방 영역에서 4점 이상의 차이를 보였고 주거 공간별 만족도 비교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p<0.05)로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하이테크 기반의 스마트 홈 적용 가능성의 기초적인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를 가진다. 추후에는 근거 수준의 질 향상을 위해 다수의 연구 참여자를 확보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A Study on the Major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Stroke Survivors)

  • 양정빈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239-1261
    • /
    • 2010
  • 본 연구는 장기간 노인(전문)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규명함으로써 대상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방안들을 제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충청지역 및 D 광역시 소재 노인(전문)병원 18곳과 요양시설 13곳에서 장기 입원(입소)하고 있는 55세 이상의 뇌졸중 생존 노인들이며 서베이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08년 12월 16일부터 2009년 1월 17일까지 실시되었고, 총 328부의 설문지가 통계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건강관련 삶의 질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특히 건강관련 삶의 질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영역 중 사회적 관계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투입된 독립변수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우울', '향후 경제적 부담감', '일상생활수행능력', '장애수용', '중복질환', '경제적 주부양자가 배우자인 경우'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기재활 및 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질병관련 요인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규명되었고, 그 가운데서도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이 제일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사회복지사들의 역량을 고취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요양병원 노인 입원환자의 특성 및 ADL (일상생활수행능력) 관련 요인 : 환자조사 자료 (2013-2014)를 이용하여 (Characteristics and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ociated Factors of Elderly In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A Survey of Patients (2013-2014))

  • 박영희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9-171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ociated factors of elderly in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wide data of 'Survey of Patients (2013-2014)' administerd by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data includ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27,606 cases of elderly in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Results : The survey scores for the elderly inpatients were as follows: 57.6% 'Needed much and total help' with ADL, followed by 26.6% who 'Needed much help', and 15.8% who 'needed minimal supervision'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ADL score was high in the following categories: women, old age, referred visit, health insurance type, not-recovered & death, transferred, corporate hospitals, small hospital size, low number of physicians per 100 beds, and high number of nursing staff per 100 beds. The inpatients with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diseases of the circulatory system' and 'diseases of the genitourinary system'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ADL score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ong-term care hospitals should provide active and proper care for patients with high ADL scores and improve medical personnel training as well provide more medical care.

입원환자와 일반인의 스트레스 생활사건과 대처 방법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tressful Life Events and Coping Methods of Medical Inpatients and Community People)

  • 최영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1-104
    • /
    • 1982
  • This study on stressful life events and coping methods of medical patients and community people was applied to people who was divided into two groups from July 19 to Aug. 7, 1982, One is hospitalized patients in medical ward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The other is inhibitants in eight Dongs of Seoul. This study compared the number and seversity of stressful life events reported by medical patients and community people within last six months, identified coping methods used by the two groups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coping methods. Two instruments are used in this study. The first one to measure stressful life events, is Holmes & Rahe(1967)'s S.R.R.S.(Soual Readjustment Rating Scale), which is translated & amended, So that it consists of 51 items. The second one is for evaluating coping method. It consists of 36 items amended through preliminary test after consideration of 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on the basis of Bell(1877)’s‘18-item-Questionnaire.’The materials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and severity of stressful life events reported by medical patients and community people (p>.05).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se of coping methods (p>.05). 3. Stressful life ev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ping methods (r=.363).

  • PDF

만성질환 입원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수발자 유형에 따른 수발만족도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Care Service depend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ype of Caregivers among In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 심선숙;이동숙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9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care services depending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ypes of care services for in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56 chronically ill patients.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personal interviews were used for collecting the dat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2.0) program for frequency,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chronically ill patients taken care of by family members were more satisfied with care services than those taken care of by paid caregivers. Also, the more able the patients were for their daily living activities,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care services. In addition, type of care service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affecting patients' satisfaction with care services most.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nurse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ose with low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aken care of by paid caregivers, who have the probability of low satisfaction of care services.

소아의 흉선 과증식증 수술적 치험 1례 - l례보고 - (Giant Thymic Hyperplasia in Children - 1 case report -)

  • 김성철;최진호;김진국;심영목;김관민;한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64-967
    • /
    • 2001
  • 흉선 과증식증은 소아에서 아주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보고례가 없다. 환자는 2살된 남아로 잦은 기침과 객담을 주소로 입원 후 시행한 혈액검사상 림프구 수가 55%로 증가돼있는 소견외에는 정상이었으며 흉부 단순촬영 및 흉부 단층 촬영상 우측 전중격등에 5$\times$10cm 크기의 종괴가 발견되었다. 정중 흉골절개를 통한 종괴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적출된 종괴는 180mg이었고 조직검사상 정상 흉선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등 흉선 과증식증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다. 환자는 술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회복된후 2년이 지난 현재까지 정상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흉선 과증식증으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열공성 뇌경색으로 한방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Independent Living of Lacunar Infarction Patients)

  • 박유진;이형권;김기태;고흥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5-112
    • /
    • 2012
  • This study sought a clinical analysis of 43 lacunar infarction patients treated by oriental medical therapie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dependent living group and dependent living group) according to K-MBI independence level. We had analyzed correlation of many factors like past history, several symptoms of lacunar infarction and ect between independent living group and dependent living group. The male to the female ratio of patients diagnosed lacunar infarction was 1:1.39, female(58.1%) was more dominant than male.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8th decade. The most common past history was Heart disease and without heart disease patients are treated well. Without hemiparesis, cognitive disorder, dysphagia patients are treated well. Patients arrived hopital within 72 hours after onset had treated well In regard to K-MBI of lacunar infarction patients, 65.1% improved and no one got worse. After treatment, 74.4% patients were able to independent living. The correlation between herbal medication and improvement was not founded.

노인요양병원 입원환자들의 삼킴기능이 삶의 질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wallowing Function on Swallowing-Quality of Lif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 백지영;오근배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67-177
    • /
    • 2013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s of swallowing function on quality of lif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elderly patients over the age of 65, 50 people in geriatric hospital of gwangju and jeonnam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wallowing function score of the subjects is $29.90{\pm}5.27$, SWAL-QOL score is $158.12{\pm}33.36$, ADL score is $80.40{\pm}22.91$. Second, swallowing function, SWAL-QOL details and ADL details of each oth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the items of swallowing function affecting on quality of life are 'oral cavity in residue', 'to eat solid food', and 'phlegm obstructs the throa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wallowing function of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and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Therefore, futur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swallowing function is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국립마산결핵병원에 입원한 환자에 대한 폐결핵의 임상적 동태에 관한 연구 (Clinical Study of Pulmonary Tuberculosis for Admitted Patients at National Masan Tuberculosis Hospital)

  • 박승규;최인환;김철민;김천태;송선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241-250
    • /
    • 1997
  • 목 적 : 결핵에 대한 국가결핵관리사업이 시작된 이후 결핵의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기는 하나 최근에 다제내성균결핵환자가 심각할 정도로 증가하고 있다. 다제내성균결핵은 기존의 항결핵제에 잘 반응하지 경향이 있으며 이는 낮은 치료순응도, 2차약제의 높은 부작용 그리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의 수가 많지않은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국립결핵병원에서 입원치료중인 결핵환자의 임상양태를 살펴보고 기존의 결핵치료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다제내성균결핵을 포함한 결핵의 치료효율을 개선시키고자 함이다. 방 법 : 1995년 12월 30일을 기준시점으로 국립마산결핵병원에 임원한 환자 336명을 대상으로 성별 및 나이, 처음결핵을 발견하게된 계기, 가족력, 환자의 생활근거지의 지역별 분포, 과거결핵치료력 등의 역학적 조사와 입원 당시의 주증상, 흉부 X-선 사진상의 병소별 분포, 동반질환 그리고 결핵치료중에 발생한 부작용등 임상양태에 대한 조사와 입원전 사용한 약제별 분류와 약제감수성검사의 결과 등에 대해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연령별 분포는 20대에서 50대까지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269예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발견계기별 분포는 보건소가 64.6%로 가장 높았다. 입원당시 주증상으로는 체중감소가 가장 흔했으며 다음으로는 기침, 호흡곤란 등의 순서였다. 흉부 X-선 사진상 병소별 분포는 양측성 병소를 가진 예가 201예로 가장 많았다. 동반질환을 가진 경우가 130예 였는데 그 중 당뇨가 49예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간질환, 정신질환 등의 순서였다. 95예에서 가족력이 있었는데 부모가 결핵을 앓았던 경우가 40예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형제, 부부 등의 순서였다. 결핵을 처음 진단받은 시기별 분포에서 1980년 이전은 31예 였으나 이후 최근으로 오면서 약간씩 증가하는 추세였다. 지역별 분포로는 부산, 경남지역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과거치료력을 가진 258예중 1회의 치료력을 가진 경우는 86예, 2회가 60예 그리고 3회이상이 112예 였다. 과거치료력을 가진 환자의 약제순응도별 분포는 133예만이 규칙적으로 복약하였다. 입원전 사용한 약제별 분포는 INH, EMB, RFP, PZA 등을 사용한 경우가 82예, INH, EMB, RFP 등을 사용한 경우가 50예 였으며 INH, EMB, RFP, PZA 이외 1가지 약제를 더 사용한 경우는 20예, 3가지 이상의 약제를 더 사용한 경우는 97예 였다. 154예를 대상으로 약제감수성검사를 한 결과 5제 이상 내성이 생긴 경우가 77예 였다. 치료도중 발생한 부작용으로는 위장장애가 58예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피부발진 및 소양감 그리고 관절통 등의 순서였다. 결 론 : 원인 모를 체중감소가 있을 때에는 결핵을 의심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핵을 치료할 때 환자에게 결핵의 치료과정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해 줌으로 치료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초치료시 균음전화시기가 늦다든지, 여러가지 상황으로 치료에 실패 할 가능성이 높다든지 환자의 여건상 지속적인 항결핵제 투여가 어렵다고 생각될 때는 수술요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치료실패후 재치료약제를 선택할 때는 이전에 사용한 초치료약제와 혼용처방이 되지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