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플란트 주위 조직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oft tissue responses to differential shapes of the implant abutment (임플란트 지대주 모양에 따른 주위 연조직 반응에 관한 연구)

  • Ahn, Soo-Yong;Han, Chong-Hyun;Heo, Seong-Joo;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Lee, Hae-Jun;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1
    • /
    • pp.167-177
    • /
    • 2006
  • 연구배경 임플란트에 관한 전통적인 연구들은 주로 임플란트 매식체와 골조직간의 결합에 중점을 두어왔다. 최근 임플란트의 심미적 관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의 재건 및 유지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이 임플란트 지대주의 모양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재료 2 마리의 성견을 대상으로, 먼저 하악의 모든 소구치를 발치하고, 3개월의 치유 기간 후에 각 4분악에 실험에 사용된 3개의 다른 모양의 지대주를 가진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1) 위로 벌어진 모양의 지대주 (2) 안쪽으로 오목하게 좁아진 지대주 (3) 평행한 모양의 지대주. 식립 순서는 무작위로 하였으며, 3개월 후 실험동물을 희생하고 조직 표본을 얻었다. 조직 표본은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고, 상피, 결합조직, 전체 연조직의 수직적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이번 연구에서 임플란트 주위의 연조직을 측정한 결과, 접합 상피는 1.21 ${\pm}$ 0.47 mm, 결합조직은 1.16 ${\pm}$ 0.39 mm, 전체 연조직 두께는 2.37 ${\pm}$ 0.47 mm로 이전의 연구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지대주 주위의 연조직 중 결합조직이 많은 부위에서는 여러 주행 방향의 교원 섬유들이 관찰되었다. 그 중에서 결합조직이 차단막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으로 주행하는 교원 섬유들이 모든 지대주 모양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오목하게 좁아진 모양을 가진 지대주에서는 오목하게 파인 부분으로 많은 원형으로 주행하는 교원 섬유들이 관찰되었다. 오목한 모양의 지대주는 다른 모양의 지대주에 비해서 측면 방향의 연조직 두께가 두꺼웠다. 특히 위로 벌어진 모양의 지대주에 비해서 두꺼운 연조직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내부에 많은 결합조직 교원 섬유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오목한 모양의 지대주가 연조직을 두껍게 유지하고, 많은 원형으로 주행하는 교원 섬유들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오목한 여태의 지대주가 연조직 유지에 더 유리하고, 따라서 심미적인 부위에서 연조직의 퇴축을 예방하는데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Considerations in implant crestal module to preserve peri-implant tissue (임플란트 주위 조직 보존을 위한 임플란트 경부의 디자인에 관한 고찰)

  • Kim, Hong-Jun;Kim, Jee-Hwan;Kim, Sung-Tae;Lee, Jae-Hoon;Park, Young-Bum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9 no.4
    • /
    • pp.346-353
    • /
    • 2011
  • Purpose: The peri-implant soft tissue is remodeled by the initial marginal bone resorption affecting the prognosis and esthetic result of treatment. Thus various designs on implant neck design are studied to preserve peri-implant b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on the causes of initial marginal bone resorption, the configuration of peri-implant soft tissue, and the implant crestal module favorable in preserving peri-implant tissue.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ies on the causes of initial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the implant crestal modules are researched and reviewed using Pubmed database. The implant crestal modules including one piece and two-piece implant, internal and external hex abutment, taper and butt joint connection, scalloped design abutment, and platform switching concept are reviewed. Results: A number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preferred one piece implant to two-piece in preserving initial peri-implant tissue. For two piece implants, internal hex abutment and taper joint connection appear more favorable than external hex abutment and butt joint connection relatively. Controversial issues still exist on scalloped design requiring more studies on it. Although the rationale is not certain, the concept of platform switching seems favorable in preserving initial peri-implant tissue based on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Conclusion: Each implant crestal module contains its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th various controversial issues. In the aspect of preservation of initial peri-implant tissue, however, one-piece implant seems beneficial. In cases when two-piece implant is more appropriate due to prosthodontic concerns or any other problems, the application of platform switching concept, internal connection abutment, and taper joint connection may be favorable for the preservation of peri-implant tissues.

The effects of tissue punch diameter on healing around implants in flapless implant surgery (무피판 임플란트 수술에서 연조직 펀치의 크기가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

  • Lee, Du-Hyeong;Jeong, Seung-Mi;Choi, Byung-H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7 no.3
    • /
    • pp.301-311
    • /
    • 2009
  • Statement of problem: Flapless implant surgery using a soft tissue punch device requires a circumferential excision of the mucosa at the implant site. To date,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on clinical outcomes of flapless implant surgeries, there are no published reports that address the appropriate size of the soft tissue punch for peri-implant tissue healing. Purpose: In an attempt to help produce guidelines for the use of soft tissue punches, this animal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 of soft tissue punch size on the healing of peri-implant tissue in a canine mandible model. Material and methods: Bilateral, edentulated, flat alveolar ridges were created in the mandibles of six mongrel dogs. After a three month healing period, three fixtures (diameter, 4.0 mm) were placed on each side of the mandible using 3 mm, 4 mm, or 5 mm soft tissue punches. During subsequent healing periods, the peri-implant mucosa was evaluated using clinical, radiological, and histometric parameters, which included Gingival Index, bleeding on probing, probing pocket depth, marginal bone loss, and vertical dimension measurements of the peri-implant tissu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 <0.05) between the 3 mm, 4 mm and 5 mm tissue punch groups for the length of the junctional epithelium, probing depth, and marginal bone loss during healing periods after implant placement. When the mucosa was punched with a 3 mm tissue punch, the length of the junctional epithelium was shorter, the probing depth was shallower, and less crestal bone loss occurred than when using a tissue punch with a diameter $\geq$ 4 mm. Conclusion: Within the limit of this study, the size of the soft tissue pun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optimal healing. Our findings support the use of tissue punch that 1 mm smaller than implant itself to obtain better peri-implant tissue healing around flapless implants.

Strategic serial extractions and immediate implantation for interdental papilla preservation: A case report (치간 유두 보존을 위한 전략적 연속발치술과 즉시 임플란트 식립: 증례보고)

  • Choi, Geun-Bae;Lee, Jung-Jin;Ahn, Seung-Geun;Seo, Jae-Mi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5 no.3
    • /
    • pp.286-291
    • /
    • 2017
  • Maintaining the blood supply of the interdental alveolar bone is crucial for preserving the interdental papilla. Rebuilding the interimplant papilla between adjacent implants is more difficult than rebuilding the interdental papilla between the natural tooth and implant. Therefore, preserving the interimplant tissue is necessary when adjacent implants are closely placed. In this case report, three effective methods for maintaining the surrounding tissue, namely strategic serial extraction, immediate implantation, and provisionalization of adjacent maxillary central incisors, were performed. The marginal gingiva and interimplant papilla were well maintained for 24 months.

The effect of Ca-P coated bovine bone mineral on bone regeneration around dental implant in dogs (개 모델에서의 임플란트 주위 골결손시 Ca-P 표면 처리된 이종골의 효과)

  • Cho, Su-Yeon;Jeon, Hye-Ran;Lee, Sun-Kyoung;Lee, Seoung-Ho;Lee, Jun-Young;Han, Geum-A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4
    • /
    • pp.913-923
    • /
    • 2006
  • 목적 : 최근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은 널리 사용되는 수술 방식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주위 골결손시 Ca-P으로 표면 처리된 이종골을 사용하여 골재생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재료와 방법 : 두 마리의 개 모델에서 하악 소구치와 제일 대구치를 발치하였다. 발치 6주 후 trephine bur를 이용하여 7.5 mm 지름과 5 mm 깊이를 가진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이 후 이 결손부의 중앙에 3.5 mm 지름과 15mm 길이의 fixture(GS II)를 식립하였다. 결과적으로 임플란트와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골 사이에는 2.0 mm정도의 gap이 만들어진다. 준비된 결손부 내로 자기골 또는 $Biocera^{(R)}$를 채웠다. 각각 4주, 8주 후 조직 절편을 제작하였다. 조직학적 평가를 위해 Block biopsy를 시행하였다. 결과 : 두 집단 모두 임상적으로 골이 완전히 채워졌다. 자가골이 이식된 부위(control)의 평균 골-임플란트 접촉(BIC)은 각각 4주째 $28.2{\pm}19%$였고, 8주째 $44.9{\pm}9%$였다. $Biocera^{(R)}$가 이식된 부위(test)의 평균 BIC는 각각 4주째 $34.6{\pm}27%$였고, 8주째 $27.6{\pm}23%$였다. 자가골이 이식된 부위(control)의 평균 골밀도는 각각 4주째 $32.7{\pm}25%$, 8주째 $37.4{\pm}17%$였다. 골-임플란트 접촉(BIC)과 골밀도의 평균 비율(%)은 비슷하였다. 조직학적으로 자가골과 이종골 이식 부위 모두 주변골과 잘 조화를 이루었고 유사한 치유 양상이 관찰되었다. 자가골과 이종골 이식 부위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 임플란트 주위 2 mm의 골 결손부위에 자가골 또는 이종골로 채운 경우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 임플란트 fixture 주위의 골 결손부 해소를 위해 자가골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 $Biocera^{(R)}$를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Histologic findings of three-wall intrabony defects around dental implants using different grafting materials in beagle dogs (수종의 골이식재를 이용한 성견의 임플란트 주위 3면 골내낭의 조직학적 관찰)

  • Moon, Hee-Il;Moon, Sang-Kwon;Shim, Chang-sung;Shim, Jung-Sung;Lee, Yong-Keun;Cho, Kyu-S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3 no.3
    • /
    • pp.439-455
    • /
    • 2003
  • 연구목적 : SLA surface dental implant 주위의 3면 골내낭에서 xenogeneic demineralized bone matric putty, porous ${\beta}$-tri-calcium phosphate, 새로이 개발된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를 사용한 치료를 조직학적으로 비교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실험동물로는 15개월에서 18개월 사이의 12kg에서 15kg 정도되는 성견을 사용하였다. 20개의 SLA surface implant가 사용되었으며, 성견 하악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사용되었다. 임플란트 식립전에, 각각의 임플란트 근심면에 straight fissure bur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3면 골내앙(근원심 5mm ${\times}$협설 3mm ${\times}$깊이 3mm)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골 결손부에는 demineralized bone matrix putty, porous ${\beta}$-tri-calcium phosphate,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를 넣은 것을 각각 실험군으로, 이식재를 넣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8주 후에 실험 동물을 희생시키고 조직학적 관찰을 하였다. 결과 : 조직학적 소견상 임플란트 주위에 급성 염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은 매우 적은량의 신생골을, ${\beta}$-TCP을 이용한 골내낭에서는 약간의 기저부에서 유래된 신생골이 관찰된다. ${\beta}$-TCP granules 가운데로 상당량의 측면의 골에서 유래된 신생골 형성이 보인다. xenogeneic DBM putty에서는 많은 량의 신생골이 기저부에 형성된 것을 볼수 있으나 대조군과의 차이는 크지 않다. 이식재의 종류와 상관없이 흡수되지 않은 이식재를 임플란트 주위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골내낭 안의 이식재들은 모두 connective tissue로 둘러 싸여 있었다. 모든 실험군에서 이식재에서 기인한 신생골 형성과 임플란트 표면에 신생 골유착의 조직학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Increase of the Width of Peri-implant Keratinized Tissue using Apically Positioned Flap: Case Report (근단 변위 판막술을 사용한 임플란트 주위 각화조직 폭경의 증대: 증례보고)

  • Chee, Young-Deok;Seon, Hwa-Kyeong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9 no.4
    • /
    • pp.407-417
    • /
    • 2013
  • The one of peri-implant soft tissue problems seen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of implant therapy is an inadequate zone of keratinized tissue. Keratinized tissue plays a major role around teeth and dental implants, helping in maintaining and facilitating oral hygiene. A free gingival graft (FGG) is chosen to correct the soft tissue defects and provide optimal peri-implant health in order to increase the long-term prognosis of the implant reconstruction. However, the patient treated with FGG has pain and discomfort on donor site such as palate. It is also technically demanding, time consuming, and the color match of the tissue is often less than ideal. An apically positioned flap (APF) is selected for increasing the keratinized tissue simply while or after the second stage implant surgery. This case report shows successfully increasing the width of peri-implant kenratinized tissue through APF procedure on small site of dental implant instead of FG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