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신주기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Prediction of Pregnancy Outcomes by Uterine Artery Impedances on the Day of Embryo Transfer in Human IVF (인간 체외수정술에서 배아 이식일의 자궁동맥 임피던스에 따른 임신의 예측)

  • Jeong, Ju-Eun;Jo, Moo-Sung;Kim, Seung-Chul;Joo, Jong-Kil;Choi, Jong-Ryeol;Lee, Kyu-Sup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6 no.4
    • /
    • pp.293-300
    • /
    • 2009
  • Objectiv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uterine blood flow on the day of embryo transfer can be a predictor of pregnancy outcome in human IVF. Methods: Fifty-one patients undergoing IVF program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erum estradiol levels were measured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and uterine pulsatility index (PI) and resistance index (RI) was examined for at embryo transfer of day 3. Results: Of 51 cycles, 22 cycles were clinically pregnant (43.1%) and the implantation rate was 14.7%. Uterine PI and RI had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with serum estradiol levels (p<0.05). These uterine blood flow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gnant and nonpregnant groups. The pregnancy rate was slightly higher in patients with PI more than 3.0 compared to those with PI of 3.0 or le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uterine PI and RI at the day of embryo transfer could not be a good predictor of pregnancy in IVF treatment. But they had an inverse correlation with serum estradiol levels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COH-IVF Outcomes for Infertile Patients With Borderline Ovarian Tumor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경계성 난소 종양의 보존적 수술 후 불임 환자에서 체외수정시술의 유용성)

  • Lee, Hyun-Joo;Ahn, Ka-Yougng;Hahn, Ho-Suap;Park, Chan-Woo;Yang, Kwang-Moon;Lee, In-Ho;Kim, Tae-Jin;Lim, Kyung-Taek;Lee, Ki-Heon;Kang, Inn-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4 no.2
    • /
    • pp.87-94
    • /
    • 2007
  • Objective: To examine determinants of successful pregnancy and evaluate COH-IVF outcomes of infertile patients after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of borderline ovarian tumor (BOT). Methods: In women of BOT (n=93),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1999, 44 of 93 women underwent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From theses 44 women, patients characteristics, surgical and histological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14 women who conceived and 30 women who failed to conceive. For 5 infertile women of 30 women who failed to conceive, 10 attempt IVF cycles were analysed; clinical pregnancy rate (CPR), implantation rate (IR) and live birth rate (LBR). Results: Women who conceived tend to be younger (25.9 vs 27.0 years) and lower serum CA-125 level (59.7 vs 72.9) compared to women who failed to conceive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For 8 cycles out of 10 attempt IVF cycles, except for 2 cancellation cycles, the mean number of oocytes retrieved was 5.6 (range 2$\sim$16) with a mean fertilization rate of 74.4%. The CPR, IR and LBR per embryo transfer were 50.0% (4/8 cycles), 31.6% (6/19) and 50.0% (4/8 cycles) respectively.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after COH-IVF initiation, 29.6 (range 14$\sim$61) months, no recurrence was found. Conclusion: No determinant of successful pregnancy was found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for BOT. COH-IVF may be considered for infertile patients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of BOT. However, larger clinical studies with longer follow-up are necessary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H-IVF. All patients should be informed of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ovarian hyperstimulation and close follow-up is necessary after COH-IVF.

The Hormonal Levels of the Short Luteal Phase in Korean Women(II);Change of Serum Prolactin (황체기단축현상을 가진 한국여성의 호르몬양(II);혈청 Prolactin의 변동)

  • Yoon, Yong-Dal;Lee, Joon-Ye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11 no.2
    • /
    • pp.5-15
    • /
    • 1984
  • 본 연구는 황체기 단축현상(Short luteal phase, SLP) 을 가진 한국여성의 월경주기내 Prolactin 호르몬의 농도변화를 정상월경주기 (Normal luteal phase, NLP)와 비교하고져 하였다. 한편, Circadian rhythm 내 PRL 농도의 변화를 비교하고 임신기간중 PRL의 농도변화를 방사면역측정법(RIA) 으로 조사하였다. SLP여성의 PRL 농도는 후기의 여포성숙기(Late follicular phase) 및 초기황체형성기(Early IuteaI phase) 정상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정상 월경주기에서는 PRL/Progesterone(mU/1/mg/ml)의 비율이 후기 여포성숙기까지 증가한 후 LH Peak day 이후 감소하는데 반하여 SLP여성의 비율은 조기 여포성숙기부터 계속적인 감소현상을 보였다. 또한 취침전 (04:00시) PRL의 농도는 SLP여성에게는 현저히 낮았다. 임신주기중 PRL의 농도는 4개월째 1,077mU/l 에서부터 9개월째 4,462mU/l까지 점진적인 증가를 하였다. 위의 결과로 보아 황체기단축현상은 PRL의 분비이상이 하나의 주요요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PRL/Progesterone의 농도비율이 SLP의 판정에 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an Endometriosis Affect the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IVF-ET ? (자궁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의 체외수정시술에 관한 연구)

  • Jung, Byeong-Jun;Song, Hyun-Jin;Oh, Ik-Hw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9 no.3
    • /
    • pp.223-227
    • /
    • 2002
  • 연구목적: 전반적인 자궁내막증이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특히 stage III-IV 자궁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 체외수정시술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진단복강경을 통해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환자 중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은 91명 131주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stage III-IV의 자궁내막증을 갖는 환자는 27명 34주기였다. 비교군은 이시기에 진단된 순수 난관원인으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한 40명 56주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학적 검사는 Student's t-test와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고, p<0.05를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전체 자궁내막증 환자와 난관인자의 체외수정시술에서 두 군간의 나이는 $31.6{\pm}3.3$, $32.6{\pm}3.6$세로 비슷하였다. 채취된 난자의 수 ($10.3{\pm}6.6$ vs $11.7{\pm}5.1$), 성숙난자 수 ($7.4{\pm}4.7$ vs $7.7{\pm}4.9$), 수정율 ($70.2{\pm}32.4%$ vs $73.7{\pm}20.0%$), Good embryo quality rate (8세포 (G1+G2)를 2PN의 개수로 나눈 값) (32.6% vs 32.4%) 및 배아이식 수 ($4.6{\pm}1.4$ vs $4.8{\pm}1.1$)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또한 임상적 임신율의 경우도 각각 30.7%, 42.8%로 비슷하였다.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내막증과 난관인자의 비교에서 성숙난자 및 채취된 난자의 개수는 각각 $8.8{\pm}4.9$, $7.7{\pm}3.9$, $11.3{\pm}7.0$, $11.7{\pm}5.1$개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수정율은 stage III와 IV 군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66.2{\pm}30.0%$ vs $73.7{\pm}20.0%$). Good qulity embryo rate (GQER)는 stage III-IV 자궁내막증 환자군에서 22.0%로 순수 난관인자의 32.4%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0.15, Chi-square test). 배아이식 수의 경우는 각각 $4.7{\pm}1.5$, $4.8{\pm}1.1$개로 차이가 없었다. 배아이식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의 경우는 stage III-IV군에서 25.0% (8/32), 난관인자 군의 42.8% (24/56)로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p=0.06, Chi-square test),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내막증을 갖는 환자에서 임신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체외수정시술시 자궁내막증이 임신율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 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의 체외수정시술에서는 임신율에 나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Superovulation and Early Embryonic Development by Pituitary Transplants (뇌하수체 이식이 과배란 및 초기태아 발육에 미치는 영향)

  • Yang, Mhan-pyo;Kim, Young-hoon;Yang, Il-suk;Kwun, Jong-kuk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26 no.1
    • /
    • pp.39-47
    • /
    • 1986
  • 본 연구는 한개의 뇌하수체를 이식시켜 과배란된 미성숙 흰쥐에서 초기태아 발육과 착상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0일령 숫컷 흰쥐에서 뇌하수체를 제거하기 15일 전에 정소를 제거시켰으며 정소가 제거된 쥐에서 얻은 한개의 뇌하수체를 실험 시작일(임신 3일전 : D-2) 오전 7시에서 10시 사이에 28일령의 암컷 흰쥐의 우측 신장 피막 아래 이식시켰다. 대조군은 같은 날 오전 10시에 4 IU PMSG를 투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쥐들은 난소 및 자궁 무게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임신 3일전, 2일전, 1일전, 임신 1일, 2일, 3일 및 5일에 희생시켰다. 또 다른 쥐들은 난 회수 및 난소를 관찰하기 위하여 임신 1일, 2일, 3일 및 5일에 희생시켰으며 임신 8일에는 착상 상태를 조사하였다. 임신 1일에는 질도말법에 의해 발정주기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하수체를 이식시키거나 4 IU PMSG를 투여함으로써 발정 동기화를 이룰 수 있었다. 뇌하수체를 이식시킨 쥐와 대조군에서 임신 1일 전인 발정전기에 있는 흰쥐는 각각 64.7%, 71.3%이었다. 2. 뇌하수체 이식군 및 대조군의 교배율은 각각 75.0% 및 80.2%였으며 첫 배란은 각 처치후 3일 이내에 일어났다. 3. 과배란된 흰쥐에서 임신 1일에 황체화된 난포와 임신 황체수는 평균 $46.1{\pm}2.9$개였으며 임신 2일부터 그 수는 임신 1일 보다 많았다. 4. 과배란된 흰쥐에서 회수된 난의 수는 임신 1일과 2일에 각각 평균 $46.1{\pm}2.9$$49.8{\pm}4.2$개였으며 대조군은 $8.6{\pm}0.3$$8.9{\pm}0.4$개로 나타났다(p<0.001). 5. 임신 3일부터 과배란된 흰쥐에서 난의 회수율은 임신 2일과 비교할 때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p<0.001) 난의 발육은 지연되거나 퇴행되었다. 난 발육단계의 분포는 임신 3일과 5일에 특히 변이가 많았다. 6. 과배란된 흰쥐에서 임신 8일에 착상 부위수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며(p<0.001), 18마리의 과배란된 흰쥐 중 특히 10마리에서는 $28.1{\pm}0.7$개의 착상부위가 확인되었다. 7. 과배란된 흰쥐의 난소 무게는 임신 1일전부터 임신 3일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이 기간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고능력한우 유래의 수정란 생산 및 이식에 관한 연구

  • 한만희;최창용;정세환;김상희;신권희;권응기;최선호;손동수;이규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4-144
    • /
    • 2003
  • 본 연구는 수정란이식기술을 이용하여 혈통과 유전능력이 분석된 고능력한우로부터 수정란을 생산하고 이를 번식기반이 미약한 농가의 수란우에 이식함으로서 우수한우 유전자원을 조기확대 보급하여 농가단위의 개량 및 번식우 사육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공란우는 축산기술연구소 남원지소의 축군에서 유전능력이 평가된 우수암소를 선발하였고, 발정주기 9~11일째부터 Folltropin-V(Vetrepharm, Canada) 50mg씩을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근육주사하고 투여 6회째에 dineprost (LutalyseTM, Upjohn, USA) 20mg을 근육주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인공수정은 dinoprost 주사후 48시간 전후에 발정을 확인하고 12시간 간격으로 2straw씩의 정액으로 3회 실시하였으며, 2차 인공수정 후 100$\mu\textrm{g}$ GnRH를 근육주사하였다. 수정란 채란은 공란우의 발정확인후 7~8일째에 balloon catheter(FHK, Japan)를 이용하여 비외과적방법으로 수정란을 회수하였다. 수란우는 각기 다른 사육조건의 4개 농가(OB, BD, SH 및 SG농장)에서 양호한 번식성적을 가진 개체를 10두씩 선발하여 CIDR plus(EAZI-Breed, New-Zealand)를 질내 7일간 삽입하고, CIDR plus제거 1일전에 dinoprost 20mg을 근육주사하여 발정동기화를 유도하였다. 수란우의 발정상태가 정상이며 발정주기 7~8일째에 직장검사법으로 황체검사를 실시하여 황체가 존재하는 쪽의 자궁각에 수정란 1 개를 이식하였다. 수정란이식 후 13일째에 혈액을 채취하여 임신진단키트(제네디아프로테 트, 녹십자)를 이용하여 임신여부를 1차적으로 확인하였다. 과배란을 유기한 13두의 공란우중 9두(69.2%)가 과배란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회수된 수정란 51개중 이식가능수정란은 38개(74.5%) 였다. 발정동기화를 유도한 수란우 40두중에서 35두(87.5%)가 발정이 동기화되었으며, 그 중 황체검사를 통하여 30두의 수란우에 수정란을 이식하였다. 수정란이식후 13일(발정주기 21일)에 혈액을 이용한 임신진단에서 농가별 수태율은 각각 37.5%, 70.0%, 60.0% 및 71.4% 로서 평균 60.0%를 나타내었다.

  • PDF

Efficacy of Coculture System in the Patients with Poor Prognoses on Human IVF-ET Program (사람의 체외수정 시술시 저적응 예후를 보이는 환자에서 공동배양술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 Byun, Hye-Kyung;Youm, Hye-Won;Koong, Mi-Kyung;Son, Il-Pyo;Kang, Inn-Soo;Lee, Ho-J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4 no.2
    • /
    • pp.211-216
    • /
    • 1997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whether the coculture system of human embryos with Vero cells can improve the quality of embryo or overcome the repetitive implantation failures in order to obtain pregnancy. From January to December 1996, a total 202 cases which patients with the problems of repetitive implantation failures (group I) or those with the poor embryonic quality in their previous cycles (group II) was analysed. The quality of cocultured embryo, pregnancy, on-going and implantation rates between coculture and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Of 93 cases in group I, coculture was performed in 34 cases and conventional IVF for the rest. Of 109 cases in group II, 36 for coculture and 73 for conventional IVF. In group I, pregnancy, on-going and implantation rates in coculture group (14/34 (41.2%), 9/34 (26.5%), 16/81 (19.8%),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11/59 (18.6%), 8/59 (13.6%), 12/152 (7.9%), respectively). There is significance in the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p=0.028 and p=0.015). In group II, pregnancy, on-going and implantation rates in coculture group (8/36 (22.2%), 5/36 (13.9%), 8/87 (9.2%),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5/73 (6.8%), 3/73 (4.1%), 3/158 (1.9%), respectively). Like the result of group I, there is significance in the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p=0.028 and p=0.022). Coculture system with Vero cells works well in the groups of the two indications. Although the case of 3 day-coculture was small as 15 cases in group II, 3 day-coculture improved pregnancy rate (4/15 (26.7%)). Therefore, 3 day-coculture with assisted hatching is recommended to the patients with poor embryonic quality. In conclusion, coculture system with Vero cells can be suggested as an effective method which improves pregnancy rate in those who have repetitive implantation failures or whose embryonic quality was poor in their previous cycles.

  • PDF

Healthcare Application Modeling Using Smart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케어 스케쥴링 애플리케이션)

  • Lee, Seung-Ho;Lim, Myung-Jae;Lee, Ki-Yo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0 no.4
    • /
    • pp.35-40
    • /
    • 2010
  • Recently, The medical services make use mobile healthcare system to transmit patient information on wireless environment. But It is difficult to satisfied for specified patient to send message, and it's not sufficient healthcare system to help regular treatment for example a diabetic or a pregnant woman. Thus, this paper proposes an healthcare scheduling application which manages a pregnant woman pregnant-checking, fetal movement sensing, antenatal training and promotion of health information using networking,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lication framwork of WPAN concepts.

Using Smartphone System for Healthcare Application Modeling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모델링을 위해 이용한 스마트폰 시스템)

  • Lee, Seung-Ho;Lim, My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820-823
    • /
    • 2010
  • 최근 의료 분야는 환자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달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을 사용한다. 그러나 현재 환자에게 지원하는 메시지는 특정 환자를 만족시키기는 어렵고, 당뇨환자이나 임신부와 같은 정기적인 환자 관리를 도와주는 헬스케어 시스템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PAN의 네트워킹 및 데이터 전송방식과 응용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특히 임신부를 대상으로 임신확인부터 주기별 건강관리, 태아움직임, 태교 및 건강상식 등을 관리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케어 스케줄링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