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시 수복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5초

임시수복 재료와 본딩제의 화학적 호환성이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Chemical compatibility of interim material and bonding agent on shear bond strength)

  • 이종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4호
    • /
    • pp.293-300
    • /
    • 2016
  • 목적: 중합방식과 화학적 조성이 다른 본딩제들이 자가중합형 비스아크릴 임시수복 재료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반 형태의 비스아크릴 임시수복 재료 시편 40개를 준비한 후 본딩제의 중합특성에 따라 대조군을 포함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본딩제 도포 후 직경 4 mm의 원형 구멍을 가진 4 mm 두께의 테플론 몰드를 이용하여 동일한 비스아크릴 임시수복 재료을 첨상하였다. 전단결합강도시험을 시행하였으며 파절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Tukey 사후분석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0.05로 검증하였다. 결과: 화학중합형 본딩제를 사용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27.36{\pm}4.30 MPa$, P < 0.05) 모든 시편에서 비스아크릴 임시수복 재료 내에서 파절이 일어나는 응집성 파절 양상을 보였다(100%). 실험군중 가장 낮은 값은 광중합형 본딩제를 사용한 군에서 기록되었으며($13.29{\pm}2.56 MPa$) 이는 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값을 보였다. 동일한 광중합 방식 이지만 화학중합 레진과의 호환성을 높인 본딩제를 사용한 군에서는 광중합형 본딩제를 사용한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 = 0.043). 결론: 본딩제의 종류가 수리된 비스아크릴 임시수복 재료의 전단결합 강도에 영향을 주며, 비스아크릴 임시수복 재료의 수리 시 적절한 본딩제 선택이 중요하다.

완전 디지털 시스템으로 기존 교합을 보전한 All-on-4 임플란트 수복증례 (All-on-4 implant restoration with full-digital system preserving existing occlusion: A case report)

  • 김경희;정승미;이예찬;안설은;최병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30-337
    • /
    • 2018
  • 무치악 환자에게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수복 치료는 그 효용성이 검증되었으나, 복잡한 치료과정이 수반된다. 반면, 현대 치의학에서 디지털 기술력은 나날이 발전하여 현재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수복치료까지 그 범위를 확장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66세 하악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에 대하여 진단부터 수술, 임시수복물 및 최종수복물의 디자인과 제작까지 디지털 시스템을 모든 단계에 이용하였다. 수술 전 진단단계에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점막스캔과 환자의 안정적인 기존 총의치 교합을 토대로 임시수복물을 디자인하였다. 수술가이드를 이용하여 무절개 임플란트 식립 후에 사전제작한 임시수복물을 임플란트와 연결하여 즉시 임시수복물로써 사용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교합이 형성된 임시수복물의 수직고경과 중심위를 이전하여 최종수복물을 디자인 및 제작 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의 수직고경과 교합을 보전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무치악환자에서 복잡할 수 있는 임플란트 치료의 간단한 프로토콜을 정립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비심미적인 상악 전치부 환자에서 이중 스캔을 이용한 심미보철 수복 증례 (Aesthetic restoration n patients with unaesthetic maxillary anterior teeth using double scan : A case report)

  • 고창우;김민지;양홍서;박상원;박찬;윤귀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66-172
    • /
    • 2018
  • 상악 전치부 치료 시에는 다양한 구도 속에서 체계적인 진단을 통해 적절한 형태와 배열, 색조를 가지는 수복물을 제작하여 심미적으로 환자가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이끌어내야 한다. 이를 위해 치아 구도, 치은구도, 안면구도, 치아-안면 구도의 4가지 구도 속에서 조화를 이루는 진단 및 치료계획이 필요하다. 심미적인 욕구가 강한 경우, 주관적인 환자의 심미안을 만족시키면서 기능적인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적절한 임시 수복물을 제작하여 기능적, 심미적 측면의 평가가 필요하다. 최종 보철물 제작에 이중 스캔을 이용하여 임시 수복물의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전치부가 비심미적인 환자에서, 체계적인 심미 분석 하에 임시 수복물을 제작하고 기능적, 심미적 측면을 평가 및 수정하여, 이중 스캔을 통해 임시수복물의 정보를 최종 수복물에 반영 후 최종 수복한 증례이다.

표면연마와 제작방법에 따른 임시 수복용 레진의 굽힘강도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flexural strength of temporary restorative resin according to surface polishing and fabrication methods)

  • 임재훈;이재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1호
    • /
    • pp.16-22
    • /
    • 2021
  • 목적: 표면연마와 제작방법이 임시 수복용 레진의 굽힘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가지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30개의 임시 수복용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고, 기계적 연마로 표면연마를 시행한 그룹과 연마를 시행하지 않은 2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시편은 37℃ 항온기에 24시간 보관 후 만능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3점 굽힘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Two-way ANOVA와 Tukey's HSD 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표면연마 여부와 관계없이 CAD/CAM milling으로 제작한 시편이 가장 높은 굽힘강도를 나타냈고, SLA 3D printing, DLP 3D printing, Conventional method 순으로 높은 굽힘강도를 나타냈다. 결론: 표면연마는 임시 수복용 레진의 굽힘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못했지만(P > 0.05), 제작방법에 의해서는 굽힘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05).

주조 금속 구조물을 이용하여 강화한 임시보철물 수복 증례 (Reinforcement of provisional restoration with cast metal framework: A case report)

  • 김현영;문윤희;이종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46-52
    • /
    • 2017
  • 임시보철물은 고정성 보철물로의 수복 과정에서 지대치 보호 및 기능과 심미성 회복의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이를 장착한 상태로 최종 수복 전에 장기간의 관찰이 필요한 환자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나,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로 인하여 잦은 파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강화된 임시보철물의 제작을 고려할 수 있다. 이 문헌에서는 교합 수직 고경의 증가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증례를 소개하고자 하였으며, 수직 고경 증가의 영향으로 임시보철물 사용 시 더 큰 부하의 작용 및 장기간의 사용이 예상되었다. 이에 주조 금속 하부구조물을 첨가하여 bis-acryl 레진으로 강화된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였으며, 약 4개월의 관찰 기간 동안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열형성 기술을 활용한 임시 의치 수복 증례 (The case of interim denture applying for thermoforming technique)

  • 윤준구;송영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2호
    • /
    • pp.135-140
    • /
    • 2016
  • 사고로 인하여 갑자기 치아를 상실하게 된 환자에게 정신적 안정, 심미성과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빠른 임시 보철물 수복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외상으로 인하여 예상치 못한 치아 상실이 발생한 환자에게 열형성 기술(thermoforming technique)을 이용한 수복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즉시 상아질 봉쇄와 지연 상아질 봉쇄에 따른 상아질 접착의 미세인장 결합강도 비교 (The comparison of microtensile bond strength with immediate and delayed dentin sealing)

  • 이흥배;한종현;심준성;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2-380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즉시 상아질 봉쇄 (immediate dentin sealing; IDS)을 시행한 경우와 지연 상아질 봉쇄 (delayed dentin sealing ; DDS)를 시행한 경우를 비교하고, 지연 상아질 봉쇄 시 상아질 접착제를 먼저 중합한 경우와 복합레진과 함께 중합한 경우에 있어서 상아질과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사람의 건전한 대구치 20개의 치관부를 삭제하여 상아질 표면을 노출시켰다. 상아질 접착 후 바로 복합레진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군을 4 가지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주수 하에 model trimmer를 이용하여 치관부 삭제 후 바로 2-step etch-and-rinse dentin bonding agent (ONE-STEP, Bisco, USA)를 이용하여 상아질 접착을 시행하고 복합레진 (RENEW, Bisco, USA)을 수복하였다. 실험군 A는 치아 삭제 후, Fermit을 이용한 임시수복 상태로 5일간 생리식염수에 보관하였다. 임시수복 제거 후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고 별도의 중합없이 레진을 축조하고 함께 중합하였다. 실험군 B는 치아 삭제 후, 상아질 접착제 도포 및 중합하고 임시수복을 시행하여 5일간 생리식염수에 보관하였다. 임시수복 제거 후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고 별도의 중합없이 레진을 축조하고 함께 중합하였다. 실험군 C는 치아 삭제 후, 임시수복 상태로 5일간 생리식염수에 보관하였다. 임시수복 제거 후,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 및 중합하고, 레진을 축조 및 중합하였다. 각 치아를 단면적 1 $mm^2$, 길이 10-12 mm의 막대형 시편으로 절단하여,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합강도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증은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아 삭제 후 별도의 상아질 접착 시행 없이 임시수복하고, 레진 축조 전 상아질 접착을 도포 후 별도의 중합과정 없이 레진과 함께 중합할 경우, 상아질과의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 < .01). 2. 치아 삭제 및 임시 수복 기간 후, 상아질 접착제를 먼저 중합하고 복합 레진을 수복하는 경우와 치아 삭제 후 상아질 접착을 시행하고 수복물 장착 시 상아질 접착을 재시행하는 경우 간의 상아질에 대한 결합강도의 차이는 없었다 (P > .05).

심미적 부위에서 가공치 하방 잔존치조제의 형성 및 연조직 복제 모형을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 수복증례 (Pontic site development and soft tissue transfer of the esthetic area: a case report)

  • 김학천;노관태;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23-331
    • /
    • 2013
  • 고정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 시 보철물 자체의 심미성뿐 아니라 보철물과 조화로운 주변 연조직의 형성 또한 중요한 요소이며, 임시보철물을 이용하여 조화로운 연조직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임시보철물을 통해 형성한 연조직의 형태는 적절한 형태를 갖는 최종 수복물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종모형으로 정확하게 복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임시보철물 주위 연조직의 형태는 인상과정 또는 인상재의 압력 등으로 최종 모형으로의 복제가 어렵다. 따라서, 임시보철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구강내의 연조직 형태를 모형으로 복제하여 연조직과 조화로운 최종 수복물을 제작하는 서로 다른 2가지 방법을 본 증례보고에서 소개한다.

CAD/CAM의 복제 기법을 이용한 전방 유도의 재현 증례 (Reconstruction of anterior guidance using duplication technique of CAD/CAM: a case report)

  • 배지철;김원희;전영찬;정창모;윤미정;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1-127
    • /
    • 2014
  • 광범위한 보철 수복 치료는 수복 부위별로 다양한 고려 요소를 필요로 한다. 특히, 상악 전치부의 교합 계획은 다른 부위보다 더 많은 지식과 기술을 요한다. 전방 유도(anterior guidance)를 결정하는 상악 전치부 설면 외형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면, 기능적인 불편감과 함께 전체 치열의 불안정성을 야기한다. 임시 수복물 장착한 상태에서 적절한 조정을 통해 조화로운 전방 유도를 얻었다면 임시 수복물의 설면 형태를 최종 보철물로 정확하게 구현하는 방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CAD/CAM (computer-aided design / computer-aided manufacturing) 시스템의 복제 기법을 활용하여 지대치의 디지털 이미지와 임시수복물의 디지털 이미지를 중첩시켜 보다 간편하게 보철물 형태를 복제하였다. 기존의 방법에 비해 술자는 진료실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환자는 기능과 심미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