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특성

검색결과 2,448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교육환경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 (Correlation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Confidence of Performance in Core Nursing Skills,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구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501-511
    • /
    • 2023
  •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하는 간호대학생 178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교육환경 및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9월 24일부터 10월 1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 3.36점,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3.42점, 임상실습 교육환경 3.20점, 임상수행능력 3.66이었다. 자기주도학습,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교육환경과 임상수행능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사키기 위하여 핵심간호술 교육을 체계화하고, 유기적인 산학협력을 통하여 임상실습 교육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방어기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ENSE MECHANISMS IN ADOLESCENT VICTIMS OF SCHOOL VIOLENCE)

  • 박영숙;신지용;진혜경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158-168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에서 피해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방어기제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연구대상은 학교폭력 피해자인 41명의 임상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없는 40명의 정상군이다. 임상군을 다시 19명의 환자군과 22명의 학교군으로 나누어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도구는 이화방어기제검사와 분노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중 중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상군은 임상군에 비하여 허세, 반동형성, 전치, 통제, 합리화, 해리 등으로 구성된 신경증 적 단계의 방어기제와 억제, 예견, 승화, 이타주의, 유우머 등으로 구성된 성숙단계의 방어기제를 유의하게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임상군 내에서 낮병동 환자가 외래환자에 비하여 성숙단계의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학교군이 입원군에 비하여 허세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전치, 행동화 방어기제는 특성분노, 상태분노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이며, 신체화 방어기제는 특성분노와, 퇴행 방어기제는 상태분노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인다.

  • PDF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임상자료의 샘플링 방법 연구 (Study for the sampling method using simulation in clinical data)

  • 손기철;김달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4호
    • /
    • pp.677-682
    • /
    • 2012
  • 여러 분야에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표본설계를 하고 있다. 특히 실험군과 대조군이 존재하는 임상자료에서는 모집단에서 집단별 일반적 변수들의 특성이 표본에 잘 반영되어야 하므로 더욱더 표본설계가 중요한 문제이다. 즉 모집단에서 집단별로 일반적 변수들이 가지는 빈도, 중심척도 그리고 산포척도 등이 표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야 한다. 그러나 주로 이루어지는 표본설계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워 일반 연구자가 사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집단별로 일반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임상자료의 샘플링 방법을 연구하였다. 또한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자료에 적용하여 모집단과 표본의 일반적 변수의 특성값을 계산하여 보았고 통계적 가설검정을 이용하여 모집단과 표본집단에서 일반적 변수들의 값의 차이 여부를 비교하여 보았다.

임상실습에 대한 임상병리(학)과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임상실습 만족이 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 Survey of Satisfaction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Students on Clinical Practice)

  • 신경아;김효신;이선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52-259
    • /
    • 2019
  • 이 연구는 임상실습을 실시한 임상병리(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전공 만족도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 차이와 전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실습 만족도 요인을 확인하였다. 2018년 8주의 동계 임상실습을 수행한 4년제 2개교, 3년제 7개교 임상병리(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2월 20일부터 2019년 3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44명을 최종 분석 자료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46문항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문항,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문항 4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임상실습에 대한 영역별 만족도 중 임상실습 평가부분의 만족도가 5점 만점에 평균 3.88점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았으며, 임상병리(학)과 전공 만족도가 보통 이하인 군보다 보통을 초과한 군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임상병리(학)과 전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실습 만족도 요인으로는 임상실습 시간에 대한 만족도와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병리사국가시험 및 직무의 변천 비교를 중심으로 한 기초자료 제안: 한국,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Proposals on Basic Data Based on Comparison of Changes in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National Examination and Job Definition: Focused on Korea, Japan, and Taiwan)

  • 구본경;김명수;김윤식;이준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71-81
    • /
    • 2023
  • 본 연구는 임상병리사국가시험과 직무의 변천 과정을 조사하고 일본, 대만 등 주변국 간 국가시험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우리나라는 1965년 200문항, 1977년 200문항, 1982년 300문항, 1992년 250문항, 2006년 330문항, 2015년부터 현재까지 280문항이 출제되었다. 임상생리학 실기는 생리학적 검사의 특성상 실시간 모니터링이 중요하며, 한편 업무영역에서 다른 직종 간의 갈등이 존재한다. 임상분자생물학은 분자생물학적 검사의 진단적 중요성과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를 고려하여 새로운 전공과목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임상검사실관리학은 임상병리사들에게 정책 및 지침 권고사항을 제공한다. 제안된 임상병리사국가시험은 임상생화학, 임상혈액학, 임상수혈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분자생물학, 임상조직학, 임상세포학, 임상생리학, 임상검사실관리학을 전공과목으로 구성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임상병리사의 업무 정의를 각종 화학적 또는 생리학적 검사에서 진료에 필요한 의생명과학적 또는 생리학적 검사로 개정할 것을 제안한다.

응급구조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Students)

  • 최성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59-767
    • /
    • 2013
  • 이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응급구조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실습만족도 평균 3.61(${\pm}0.70$)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실습만족도에 유의한 항목은 희망취업분야(F=3.98, p=0.004)이었다. 실습실태에 따른 실습만족도에 유의한 항목은 실습시작학년(t=0.43, p=0.038), 실습기간(F=2.82, p=0.025), 담당부서(F=11.81, p=0.000)이었다. 임상실습 술기와 실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관찰횟수(r=0.221, p=0.000), 시행횟수(r=0.170, p=0.002)는 실습만족도와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확고한 직업관을 가져야 할 것이며, 임상실습 시작학년과 실습기간을 응급구조과 학생의 특성에 맞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습기관에서 실습을 담당하는 부서 역시 응급구조과라는 특수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습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지반특성을 고려한 토사재해 예측 기법별 위험지 분석 (Analysis of Hazard Areas by Sediment Disaster Prediction Techniques Based on Ground Characteristics)

  • 최원일;최은화;백승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12호
    • /
    • pp.47-5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토사재해 예비중점관리 대상지역 중 총 6개 연구지역(춘천, 성남, 세종, 대전, 미량, 부산)을 선정하여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모델은 현재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존 모델(SINMAP, TRIGRS)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LSMAP)을 활용하였으며, 결과 비교분석을 통해 개발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에 사용되는 매개변수는 크게 지형특성, 토질특성, 임상특성, 강우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모델에 따른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 분석 결과 LSMAP 및 TRIGRS에 비해 SINMAP을 이용한 분석은 대체로 위험지를 광범위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델별 적용되는 분석 매개변수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임상특성을 고려한 LSMAP은 TRIGRS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예측 위험지 기준 -0.04~2.72%의 범위 내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산지에 분포하는 임상 정보가 비탈면 안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에 중요한 매개변수임을 알 수 있다.

위암환자의 재발유형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특성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Recurrence in Curatively-resected Gastric Cancer Patients)

  • 하태경;권성준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1호
    • /
    • pp.23-30
    • /
    • 2007
  • 목적: 위암 환자 수술 후 재발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재발의 조기 발견과 이에 따른 보다 나은 치료 성적을 얻기 위하여 필수적인 정보이다. 즉 종양의 특성에 따른 재발의 유형, 재발시기, 재발 이후의 경과 등을 이해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6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본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근치적수술을 시행 받은 1,338명의 환자 가운데 재발 유형을 모르는 경우(n=60), 사고사 및 타 질환으로 사망한 경우(n=55)를 제외한 1,223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재발예(n=241)와 비재발예(n=982) 사이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재발예 가운데 재발의 유형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재발예는 비재발예에 비하여 위전절제술, 진행된 병기, 림프관이나 혈관 침윤예, 위전벽암, 크기가 큰 암, 미분화암, 미만형, Borrmann 4형이 의미 있게 많았다. 복막파종은 여성, stage III, 위상부 및 위전벽암, 미분화암, 미만형, Borrmann 4형이 의미 있게 많았고, 혈행성전이는 조기위암, stage I, 국소전이는 Borrmann 1, 2, 3형이 의미 있게 많았다. 복막파종의 경우 혈행성전이나 국소전이에 비하여 재발 후 생존기간이 짧았다(7.0개월, 9.5개월, 12.5개월). 조기재발군은 병기3, 4기, N3, 림프관침윤율이 높았고, 후기재발군은 병기3기, N1이 조기재발군에 비해 의미 있게 많았다. 결론: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위암수술 후 재발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강점코칭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trength Coaching Program for First Clinic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홍주영;이소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39-143
    • /
    • 2020
  • 본 연구는 강점코칭이 첫 임상 실습에 임하는 간호대학생의 임상 수행능력, 자아존중감, 임상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 실험연구이다. 실험군(n=22)과 대조군 각각 2주간의 첫 임상실습을 시행하였고, 기간 중 실험군에는 감정코칭을 시행하고, 대조군(n=21)은 2주간 임상실습 기간 종료 후 코칭을 수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1월 7일부터 4주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동질성 검증은 t-test와 χ2-test로, 가설검증은 Independent t-test, 사후검정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감정코칭은 자아존중감과 임상 실습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임상 수행능력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감정코칭은 첫 임상 실습에 임하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임상 실습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될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효능감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Clinical Nursing Instructors' Teaching Efficacy and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 박인희;서은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99-108
    • /
    • 2021
  • 임상실습이 최적의 학습상황이 될 수 있도록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효능감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확인해 보다 나은 임상실습을 위해 효율적인 간호교육의 운영방안을 융복합적 차원에서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효능감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의 학력, 직급, 임상경력, 임상지도경력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교수효능감의 평균평점은 3.77±0.89 이며, 하위요인 중에서는 임상술기지도효능감이 3.97±0.93으로 가장 높았다. 간호학생이 임상실습 만족도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최대 5점 중 평균평점은 3.69±0.46이며,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실습교과 3.98±0.60로 가장 높았다.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효능감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r=0.13, p=.749). 임상실습현장에서 고연령, 풍부한 임상경력, 높은 교육수준을 가진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효능감이 높았다. 학생들은 실습만족도 중 교과운영과 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간호학생들의 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임상현장에서는 교수효능감 뿐 아니라 실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함께 개선해 나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