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적 효능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32초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Self-Efficacy and Clinical Reasoning among Nursing Students)

  • 이지영;김경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53-361
    • /
    • 2024
  • 시뮬레이션 교육은 현장감있는 모의 상황에서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직접간호 수행이 부족한 임상실습의 한계를 해결하여 간호대학생에게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을 습득하고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하곤란 대상자 간호 시나리오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일개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84명의 자료를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 교육 후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은 2.64점(3점 만점)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 증진을 위해서 다양한 임상현장을 반영하여 실재감있는 시나리오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Study 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김미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09-617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를 확인하고 각 요인들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학습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간호대학 3,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27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자료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고 변수들간의 관계는 자기효능감(r=.533, p<.001), 의사소통능력(r=.497, p<.001), 비판적 사고성향(r=.439, p<.001) 모두 임상수행능력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의 순으로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0.8%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대한 고려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나아가서 이러한 요인들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이 경함하는 무례함, 소진, 전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Rudeness, Burnout, Majo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hich Nursing Students Experience During Clinical Practice)

  • 전미경;오재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39-346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중 경험하는 무례함,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소진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질적인 임상실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상관성 조사연구로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 4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부터 10월 15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Program20.0을 이용하여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무례함은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를, 전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은 소진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의 소진에는 무례함,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이 영향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무례함을 감소하기 위한 병원과 학생, 임상실습지도자 및 병원의 유기적인 관계형성 및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성인학습자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f Adult Learners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stitution)

  • 박인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1-88
    • /
    • 2023
  •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C도에 소재한 5개 대학에 재학중인 성인학습자 간호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1일부터 2023년 1월 31까지 수집하였다. SPSS 26.0 프로그램으로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r=.773, p<.01),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r=7.87, p<.01),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간호전문직관(r=8.34, p<.01)이 서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대학생활 만족도, 실습동료관계,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F=57.86, p<.001), 설명력은 75.5%였다. 성인학습자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방안을 개발하는 것을 제도적인 교육전략이 필요하겠다.

임상간호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inical Nurse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 김세시라;김은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424-435
    • /
    • 2024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3개의 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6개월 이상의 임상간호사 345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𝛽=.36, p<.001)와 자기효능감(𝛽=.35, p<.001)이 높고, 직무스트레스가(𝛽=-.09, p=.018) 낮은 경우, 주 4회 이상 아침식사(𝛽=.20, p<.001)를 하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𝛽=.20, p=.001)하거나 보통인 경우(𝛽=.20, p<.001) 건강증진행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9%로 나타났다(F=26.57, p<.001).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반영이 필요하다.

시뮬레이션기반 분만간호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의 적극성, 임상수행능력, 팀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Delivery Nursing Practice on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Clinical Performance and Team Efficac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서은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129-136
    • /
    • 2023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기반 분만간호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의 적극성, 임상수행능력, 팀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D시에 소재한 S대학의 간호대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기반 분만간호 실습을 운영하였으며, 사전·사후 설문에 응답한 7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8월 30일부터 2022년 10월 2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기반 분만간호 실습은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의 적극성, 임상수행능력, 팀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에게 임상 현장 사례를 기반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한다면 임상에서 요구하는 핵심 능력 및 교육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어 충분한 표본 수의 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 효과의 지속성을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할 필요가 있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피로와 자기효능감 (Fatigue and Self efficacy o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 김은희;서순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28-336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피로와 자기효능감 정도 및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간호교육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 3학년 여학생 207명이었고,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3년 6월 1일부터 30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피로정도는 3.52($SD={\pm}.52$)점, 자기효능감 정도는 3.29($SD={\pm}.47$)점으로 임상실습 시 중상정도의 피로와 자기효능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피로가 낮았으며, 자의에 의한 입학동기와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피로가 낮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나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315, p<.001). 이상의 연구결과로 효율적인 임상실습교육을 위해 간호학생의 피로 예방과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교내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교 4학년의 현장실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 적용- (The Impact of Simulation Education within Schools on the Clinical Practice Ability of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t a Nursing College: Applying Community Nursing)

  • 김진;차남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543-550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 후 임상에서의 현장실습 능력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은 2022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간호학과 4학년 106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연구 설계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도구는 비판적 사고, 자기효능감, 실무능력, 임상실습 만족도이었고 통계 분석은 SPSS 27.0 버전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무능력은 임상실습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실무능력은 비판적 사고와 자기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실무능력에의 영향요인은 임상실습 만족도(β=.85, p<.001)와 자기효능감이었고(β=.25, p<.05) 설명력은 57.0%(F=13.25, p<.001)이었다.

클로로필 a가 UVB 유도성 산화적 스트레스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활성화 및 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lorophyll a on UVB-induced Cellular Responses and Type I pN Collagen Synthesis in vitro)

  • 전희영;김정기;서대방;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00-70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식물에서 추출된 천연 클로로필 a를 이용하여 UVB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적 손상 및 MMPs의 변화를 평가하고, 콜라겐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클로로필 a는 UVB에 의해 유도되는 ROS의 발생을 저해함으로써 그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일련의 물리화학적 혹은 생물학적 신호 전달을 방지하는 효능을 가지며, 지질 과산화 역시 억제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피부의 콜라겐, 탄력 섬유 등 기질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s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고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보여 피부 광노화에 대한 예방제로서 클로로필의 임상 적용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보고된 피부에 대한 클로로필의 효능은 DMBA 또는 TPA 등의 화학 물질로 유발된 피부암을 예방하거나 억제하는 효능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본 연구와 같이 UVB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 반응에 대한 클로로필 a의 효능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클로로필의 피부암 예방 및 치료뿐 아니라 피부 노화의 예방 관점에서 클로로필의 효능을 검토하고 확인했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만으로는 클로로필의 농도 의존적 효능에 대한 명확한 판단을 하기에 부족한 부분이 있어 클로로필 효능의 농도 의존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클로로필의 농도에 따른 효능 및 세포 독성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동물, 인체효능 용량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가장 바람직한 효능을 나타내는 클로로필의 농도를 산정하기 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피부 노화 예방을 위한 유용한 소재로서 클로로필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동물, 인체 시험을 통한 클로로필의 효능 검증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