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계 열속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8초

페놀 폼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henol Foam)

  • 박형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22-127
    • /
    • 2010
  • 외부복사 열원(20, 25, 35, 50, $70kW/m^2$)과 산소/질소의 혼합가스의 농도 변화에 따른 페놀폼의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산소지수는 KS M ISO 4589-2를 만족하는 산소지수시험기를 사용하였으며, 점화시간, 임계열속, 그리고 질량감소속도는 ISO 5660-1를 만족하는 mass loss calori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외부 복사열원에서 임계열유속은 $28.99kW/m^2$, 평균질량감소속도는 $0.56{\sim}1.77g/m^2s$로 측정되었으며, 한계산소지수는 45.1%를 나타내었다. 모든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페놀 폼이 다른 발포 물질에 비해 아주 우수한 화재안정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정한 응고속도를 갖는 2성분 응고에서 조성 대류의 특성 및 안정성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Compositional Convection in Binary Solidification with a Constant Solidification Velocity)

  • 황인국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2호
    • /
    • pp.199-204
    • /
    • 2014
  • 2성분 응고계에서 다공성 mush 층에서의 조성 대류는 생성되는 제품의 질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속도로 응고되는 mush 층을 고려하였다. 선형 안정성 이론을 사용하여 mush 층에 대한 교란방정식을 유도하였고, 기본상태 온도장과 mush 층에서 기공률의 분포를 수치해법으로 조사하였다. 과열량이 클 때 mush 층의 두께는 열경계층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과열량이 감소함에 따라 mush 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한 Rayleigh 수는 증가하였고, mush 층은 조성 대류에 대해 안정해졌다. mush 층의 윗면에 등온조건을 적용한 경우보다 온도 및 열속의 연속조건을 액체-mush 계면에 적용한 경우에 임계 Rayleigh 수가 더 작게 얻어졌다.

수직면에서의 비등 열전달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Boiling Heat Transfer on the Vertical Square Surface)

  • 김재광;송진호;김신;김상백;김희동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5권9호
    • /
    • pp.1237-1244
    • /
    • 2001
  •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various regimes of natural convective pool boiling and to determine the boiling heat transfer curve and Critical Heat Flux(CHF) on a vertical square surface having a 70mm width and a 70mm height. The heater made of copper block with embedded cartridge heaters is submerged in a water tank at atmospheric pressure. As the heat flux increases from 100kW/㎡ to 1.2MW/㎡, the heat transfer regime migrates from the nucleate boiling to the film boiling. The boiling heat transfer data are fitted by Rohsenow type correlation. An explosive vapor generation on the heated surface, whose size and frequency are characterized by the heat flux, is visualized using a high speed digital imaging system.

CANFLEX-RU(0.9%) 핵연료다발의 예비 열수력 특성 해석

  • 전지수;박주환;민병주;정창준;석호천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526-531
    • /
    • 1998
  • 본 논문은 농축도 0.9%의 순환우라늄 핵연료(CANFLEX-RU)에 대한 축방향 출력분포(AFD) 및 반경방향 출력분포(RFD) 특성을 조사하고 CANFLEX-RU 다발이 장전된 CANDU줄 채널의 예비 열수력 해석을 수행하였다. CANFLEX-RU 다발의 4 bundle shift 핵연료 교체 방법에 따라 AFD 분포 특성은 정점(Peak) 열속이 채널 상류쪽으로 이동하였고 채널 중심 부근에서 평탄하거나 다소 오목한 형상을 보여주었다. RFD 분포를 표현하는 적절한 변수로서 국부 다발열유속비를 정의하고, 이 비와 국부 표면열유속비의 상호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연소도에 따른 최외환봉의 국부 다발열유속비 변화를 조사한 결과로서, CANFLEX-RU 다발의 최대 국부 다발열유속비는 초기 연소도에서 발생되었고 이 값 CANFLEX-NU 다발 보다는 크고 37-핵연료봉다발 보다는 작았다. CCP 계산시에 RFD 분포 효과를 고려하는 방안으로서 최외환봉 열유속을 다발의 국부 열유속으로 가정하였다 이는 임계열유속이 -10.2% 감소한 조건을 사용하여 CCP를 계산하는 결과가 되었다. 다발-블균형 계수를 이용한 CCP 민감도 결과와 본 계산에서 얻은 CCP 결과에 의하면, CANFLEX-RU의 CCP 는 CANFLEX-NU에 비교해서 土1.0% 이내로 근사한 분포가 예상되었으며 이는 AFD 분포 효과가 RFD 분포에 의한 CCP 감소를 보상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CANFLEX-RU는 열수력적 설계 관점에서 CANFLEX-NU에 비교해서 열적 성능이 저하되지 않았고 따라서 기존 37-핵연료봉다발에 대한 CANFLEX-NU의 열여유도 증가와 같은 장점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KMRR 핵연료에 대한 고유량 임계열속 상관식 개발 (Development of a High Flow CHF Correlation for the KMRR Fuel)

  • Park, Cheol;Hwang, Dae-Hyun;Yoo, Yeon-Jong;Park, Jong-Ryu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6권2호
    • /
    • pp.237-246
    • /
    • 1994
  • KMRR 노심의 열수력 설계 및 안전 해석을 위한 고유량 CHF 상관식을 개발하였다. 상관식 개발에는 fin이 부착된 경우와 부착되지 않은 경우의 가열봉에 대한 단일봉 CHF 실험 자료를 사용하였다. 상관식은 Reynolds 수, 열역학 평형 건도, 액상과 기상의 밀도비 및 등가수력 직경비 등의 무차원 변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fin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가열 둘레비를 사용하여 fin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이처럼 단일봉에 대하여 개발된 상관식의 KMRR 핵연료 집합체에 대한 적용 타당성을 보이기 위하여 비가열면 및 축방향 비균일 출력 분포의 영향을 논의하였다. CHF 실험 자료 분석 결과, 상관식 한계 DNBR은 1.44로 결정되었다.

  • PDF

최적 핵연료집합체와 표준 핵연료집합체의 열수력학적 특성비교 (Comparison of the Thermal-Hydraulic Characteristics of Optimised Fuel Assembly with That of Standard Fuel Assembly)

  • Paik, Hyun-Jong;Rim, Chang-Saeng;Park, Goon-Cher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2권1호
    • /
    • pp.66-74
    • /
    • 1990
  • 원자력 7, 8호기에 장전된 17$\times$17 최적 핵연료집합체의 열수력학적 특성을 원자력 5, 6호기에 장전된 17$\times$17표준 핵연료집합체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열수력학적 특성은 정상상태와 과도출력상태에서의 최소 DNBR, 연료봉 중심온도, 출구 기포율등이며, 아울러 연료봉의 중심이 용융되는 국부선출력과 원자로 운전변수들에 대한 DNBR 민감도 계수도 계산하였다. 사용된 코드는 COBRA-IV-I이며, 임계열속 계산에는 R형 그리드에 대해 수정된 W-3 상관식을, 기포율계산에는 drift-flux model을 이용하였다. 계산결과, DNB가 발생할 확률은 최적 핵연료집합체가 더 높았으나, 연료봉의 중심이 용융되는 국부선출력은 표준 핵연료집합체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호화 옥수수전분의 노화속도에 미치는 온도 및 수분활성도의 영향 (The Effect of Water Activity and Temperature on the Retrogradation Rate of Gelatinized Corn Starch)

  • 이석원;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0-374
    • /
    • 1994
  • 본 실험은 호화 옥수수전분 분말의 저장 중 이의 노화에 미치는 저장온도 및 수분활성도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저장 중 노화도는 효소적 평가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로부터 노화속도상수를 Avrami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저장 중 일어난 노화도는 수분활성도 0.8을 전후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분활성도 0.52 및 0.75에서는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일어난 노화도도 작았다. 그러나 수분활성도 0.83, 0.88, 0.93에서는 저장온도 간의 차이가 컸으며, 노화 또한 크게 일어났다. 이런 현상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뚜렷해졌다. 그리고 수분활성도 0.43에서는 3중의 저장기간 중에 일어난 노화도가 3.9%보다 작게 나타나 노화가 일어날 수 있는 임계수분활성도는 0.43으로 추정된다. 24일간 저장한 호화 옥수수전분의 경우 $4^{\circ}C,\;20^{\circ}C$$30^{\circ}C$의 세 가지 저장온도에서 공히 수분활성도 0.8에서 0.9사이의 경우 30%, 0.9이상에서의 경우 50% 이상의 노화가 일어났으나 수분활성도 0.8 이하의 경우는 20% 정도의 낮은 노화도를 보였다. 노화속도상수는 $20^{\circ}C$$30^{\circ}C$에서는 수분 활성도간의 차이가 작았으나, $4^{\circ}C$에서는 수분활성도간의 차이가 컸다. 또한 온도가 낮아질수록 수분활성도간의 차이에 따른 노화속도상수의 차이가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Avrami 식에 의해 구한 Avrami 지수는 온도 및 수분활성도데 관계없이 모두 거의 1.0의 값을 나타내었다. 속도상수는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저장수분활성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여 저장 25일 경까지는 빙장의 경우가 가장 양호 하였고 , 0.2% $NaHSO_{3}$ 용액에 침지하여 $-35^{\circ}C$에서 저장한 시료가 저장 85일경과 후에도 품질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찹쌀 또는 멥쌀만 사용한 경우보다 두 원료를 혼합했을 경우에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열속도는 급속히 증가하였다.하였다. 6. 수분(水分) potential 엽수분함량(葉水分含量)이 동일(同一)한 조건(條件)에서 콩보다 인삼(人蔘)이 낮았으며, 수분(水分) potential과 광합성(光合成) 및 기공식도도(氣孔傳導度)와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있었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인삼(人蔘)의 광합성(光合成)이 타식물(他植物)보다 낮은 것은 기공식도도(氣孔傳導度)와 수분(水分) potential이 낮은 것과도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g\;/\;\ell$ 처리(處理)의 대부분(大部分)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거의 1개체(個體) 정도(程度)이도 발육상태(發育狀態)도 불량(不良)하였으나 NAA $4mg\;/\;\ell\;Kinetin\;2mg\;/\;\el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1g\;/\;\ell$ 첨가처리(添加處理)에서 만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개이고 개체당(個體當) 발근수(發根數)가 월등(越等)히 많았다. 5. 실험결과(實驗結果) 마 경절편(莖節片) 배양(培養)의 Shoot유가(誘起)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배지(培地)는 1/8MS+1AA $2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

  • PDF